조성음악이론에대한견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조성의 개념 및 조성음악이론

2. 실험 방법 및 결과

3. 결론

본문내용

조의 조성 도식을 사용한 결과로 생각된다. 즉, 서양 음악의 단조에서 단3화음을 이루는 매우 중요한 음인 Eb는 계면조의 협종에 해당하므로 협종을 Eb으로 지각하여 이를 중요 음계음으로 인식한 것이다. 계면조의 중요 음계음을 황,중,임 대신 황,협,임으로, 기타 음계음을 협,무 대신 중,무로 보면 양자간에 유의미한 차이(F=4.19,p<.05)가 나타나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평조의 경우는 중요 음계음(황,중,임)이 기타 음계음(태,남)보다 높게 평가되어 서양음악 전문가도 국악전문가와 유사하게 중요 음계음, 기타 음계음, 비음계음 순의 조성위계를 추출한 듯 보인다. 그러나 평조의 경우도 서양음악의 조성 도식에 따르면 황(도),임(솔)과 더불어 고선(미)이 높은 평가를 받아야 하나, 고선은 평조의 음계음이 아니므로 서양음악에서 미,솔에 이어 중요시되며, 고선과 음고가 가장 가까운 파에 해당하는 중려를 중요하게 평가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3. 전체 결론
결론적으로 서양 음악 전문가는 친숙하지 않은 음악의 맥락이 암시하는 조성적 정보를 잘 탐지한다기보다 자신에게 친숙한 서양 음악의 조성도식을 국악의 해당 음에 적용하여 해석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11.29
  • 저작시기200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80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