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전도속도 Electroneurogram, ENG = NCV(nerve conduction velocity)
1) 서론
[임상적 의의]
① 일차적인 병변이 신경 섬유에 있는 것 (ex: Compression neuropathy 압박성 신경병 변)
② 신경 손상 정도의 진단
③ 신경 문합술 후 재생 결과 관찰
Result : 잠복기간(latency) ↑ -
진폭(amplitude ↓ | → abnormal
지속시간(duration) ↑ -
⑴ 말초 운동신경 전도속도(MCV :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ο MCV는 운동 신경 자극에 의해 수축된 근육에서의 활동 전위(M파) 기록 - 잠복시
간 측정
ο M파를 유발하여 그 잠복시간과 두 자극점의 거리로 운동 신경의 전도 속도를 측정 해보는 방법
ο 검사부위 - 상지 : 정중 신경, 척골 신경
- 하지 : 경골 신경, 비골 신경
[방법] 정중 신경에서
ο 자극전극 : 막대 전극 또는 원판 전극
ο 자극기계 : 전기 자극 장치 (정류 장치 isolator포함)
ο 자극부위(2군데) s₁: 주부 (주관절부)
s₂: 수관절부 (슬관절부)
ο 자극강도 : 30∼40㎐(M파를 최대로 얻을 수 있는 강도)
ο 유도전극 : surface electrode
ο 유도부위 : 무지구근(pollicis)에 전극을 tape로 고정
[과정]
① s₁에서 자극 → 기록
② s₂에서 자극 → 기록
D(㎜)
전도속도(M/sec) = -------------
t₁- t₂(msec)
D = 두 자극점 간의 거리(㎜)
t₁= s₁자극에서 M파가 나타나기 시작 때까지의 잠복시간
t₂= s₂자극에서 M파가 나타나기 시작 때까지의 잠복시간
* 잠복시간은 온도가 낮을수록 길다 : 31℃이상에서는 일정
ο 정상치 - median nerve 47∼60 m/sec
- tibial nerve 41∼61 m/sec
⑵ 말초 지각신경 전도속도(SCV :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A. 순행성 측정법(orthodromic method) = 정향성 방법
-신경세포 자체의 활동 전위를 측정해 보는 방법
특징 : (근육 활동 전위에 비해) 진폭이 매우 낮다(기록하기 위해서는 정밀도가 높은 기
기 필요)
ο 신경이 전도되는 방향으로 전도속도 측정
말초신경 자극 → 중추쪽 신경에서 측정
손가락, 발가락 자극 → 수관절, 무관절부에서 측정
대뇌피질에서 (원위부) (근위부)
[과정] ① 손가락 (또는 발가락)에 2개 ring자극 전극(먼 곳: +, 가까운 곳: -)
② 슬관절부나 주관절부에서 기록 : 표면전극
- 전위가 매우 미약하므로 침전극 사용도 하지만 한 번으로는 전위를 기록할 수 없으므로 몇 십회 또는 100회 이상을 해서 가산한다.
전극간 거리(mm) → 자극전극과 기록전극간의 거리
SCV(m/sec) = -------------------------
신경 활동 전위 잠복기간 (msec) → 자극 시작부터 첫 전위가 나타날 때까지 걸리는 시간
B. 역행성 방법(antidromic method) = 역향성 방향
ο 순행성과 자극부위, 유도부위 반대
근위부 자극 → 원위부에서 기록(M파의 기록)
주,슬관절부 손가락에서 기록
ο 장점(순행성 보다) : 임상적으로 많이 사용
① 활동 전위(진폭)가 크다 : 가산할 필요가 없다.
② 유도방법이 간단
ο 단점 : 감각섬유와 함께 운동신경 섬유도 자극을 받으면 근의 활동전위까지 혼입
ο 전도속도(m/sec)
AC간의 거리(㎜)
① A∼C간 = ----------------
AC 잠복시간(msec)
AB간의 거리(㎜)
② A∼B간 = -------------------------------
AC 잠복시간 - BC 잠복시간(msec)
BC간의 거리(㎜)
③ B∼C간 = --------------------
BC간의 잠복시간(msec)
10. 근전도 검사시 환자 준비
검사중에 환자의 협조가 필요하므로 진정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가장 중요한 간호는 검사에 대한 설명이다. 검사시간이 길고 불편감을 유발할 수도 있으므로, 바늘 전극을 주입할 때 또는 환자가 체위를 변경할 때 통증이 있을수 있음을 알려준다. 전도속도검사시 사용하는 전압은 매우 낮으므로 근육이 약간 꼬이는 듯한 감각 이외에는 불편감이 거의 없다. 몹시 불안한 환자에게는 검사중 면식이 있는 간호사가 함께 있어 준다면 검사를 잘 끝내는 데 도움이 될것이다. 검사후에는 특별한 간호가 필요하지 않다.
1) 서론
[임상적 의의]
① 일차적인 병변이 신경 섬유에 있는 것 (ex: Compression neuropathy 압박성 신경병 변)
② 신경 손상 정도의 진단
③ 신경 문합술 후 재생 결과 관찰
Result : 잠복기간(latency) ↑ -
진폭(amplitude ↓ | → abnormal
지속시간(duration) ↑ -
⑴ 말초 운동신경 전도속도(MCV :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ο MCV는 운동 신경 자극에 의해 수축된 근육에서의 활동 전위(M파) 기록 - 잠복시
간 측정
ο M파를 유발하여 그 잠복시간과 두 자극점의 거리로 운동 신경의 전도 속도를 측정 해보는 방법
ο 검사부위 - 상지 : 정중 신경, 척골 신경
- 하지 : 경골 신경, 비골 신경
[방법] 정중 신경에서
ο 자극전극 : 막대 전극 또는 원판 전극
ο 자극기계 : 전기 자극 장치 (정류 장치 isolator포함)
ο 자극부위(2군데) s₁: 주부 (주관절부)
s₂: 수관절부 (슬관절부)
ο 자극강도 : 30∼40㎐(M파를 최대로 얻을 수 있는 강도)
ο 유도전극 : surface electrode
ο 유도부위 : 무지구근(pollicis)에 전극을 tape로 고정
[과정]
① s₁에서 자극 → 기록
② s₂에서 자극 → 기록
D(㎜)
전도속도(M/sec) = -------------
t₁- t₂(msec)
D = 두 자극점 간의 거리(㎜)
t₁= s₁자극에서 M파가 나타나기 시작 때까지의 잠복시간
t₂= s₂자극에서 M파가 나타나기 시작 때까지의 잠복시간
* 잠복시간은 온도가 낮을수록 길다 : 31℃이상에서는 일정
ο 정상치 - median nerve 47∼60 m/sec
- tibial nerve 41∼61 m/sec
⑵ 말초 지각신경 전도속도(SCV :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A. 순행성 측정법(orthodromic method) = 정향성 방법
-신경세포 자체의 활동 전위를 측정해 보는 방법
특징 : (근육 활동 전위에 비해) 진폭이 매우 낮다(기록하기 위해서는 정밀도가 높은 기
기 필요)
ο 신경이 전도되는 방향으로 전도속도 측정
말초신경 자극 → 중추쪽 신경에서 측정
손가락, 발가락 자극 → 수관절, 무관절부에서 측정
대뇌피질에서 (원위부) (근위부)
[과정] ① 손가락 (또는 발가락)에 2개 ring자극 전극(먼 곳: +, 가까운 곳: -)
② 슬관절부나 주관절부에서 기록 : 표면전극
- 전위가 매우 미약하므로 침전극 사용도 하지만 한 번으로는 전위를 기록할 수 없으므로 몇 십회 또는 100회 이상을 해서 가산한다.
전극간 거리(mm) → 자극전극과 기록전극간의 거리
SCV(m/sec) = -------------------------
신경 활동 전위 잠복기간 (msec) → 자극 시작부터 첫 전위가 나타날 때까지 걸리는 시간
B. 역행성 방법(antidromic method) = 역향성 방향
ο 순행성과 자극부위, 유도부위 반대
근위부 자극 → 원위부에서 기록(M파의 기록)
주,슬관절부 손가락에서 기록
ο 장점(순행성 보다) : 임상적으로 많이 사용
① 활동 전위(진폭)가 크다 : 가산할 필요가 없다.
② 유도방법이 간단
ο 단점 : 감각섬유와 함께 운동신경 섬유도 자극을 받으면 근의 활동전위까지 혼입
ο 전도속도(m/sec)
AC간의 거리(㎜)
① A∼C간 = ----------------
AC 잠복시간(msec)
AB간의 거리(㎜)
② A∼B간 = -------------------------------
AC 잠복시간 - BC 잠복시간(msec)
BC간의 거리(㎜)
③ B∼C간 = --------------------
BC간의 잠복시간(msec)
10. 근전도 검사시 환자 준비
검사중에 환자의 협조가 필요하므로 진정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가장 중요한 간호는 검사에 대한 설명이다. 검사시간이 길고 불편감을 유발할 수도 있으므로, 바늘 전극을 주입할 때 또는 환자가 체위를 변경할 때 통증이 있을수 있음을 알려준다. 전도속도검사시 사용하는 전압은 매우 낮으므로 근육이 약간 꼬이는 듯한 감각 이외에는 불편감이 거의 없다. 몹시 불안한 환자에게는 검사중 면식이 있는 간호사가 함께 있어 준다면 검사를 잘 끝내는 데 도움이 될것이다. 검사후에는 특별한 간호가 필요하지 않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