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경계 특수 진단 검사
1. 뇌혈관 조영술(Cerebral Angiography)
2. 요추천자(Lumbar puncture)
3. 유발전위검사(Evoked Potential Studies)
4. 신경전도 검사 & 근전도 검사(NCV & EMG)
5. 단일 광전자 방출 전산화 단층 촬영술(Brain Spect)
6.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m)
7. 장기간 뇌파기록 장치(long term EEG Monitoring)
8. 신경 전도 검사(ENG: Electroneurography)
9. 척수조영술(Myelogram)
1. 뇌혈관 조영술(Cerebral Angiography)
2. 요추천자(Lumbar puncture)
3. 유발전위검사(Evoked Potential Studies)
4. 신경전도 검사 & 근전도 검사(NCV & EMG)
5. 단일 광전자 방출 전산화 단층 촬영술(Brain Spect)
6.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m)
7. 장기간 뇌파기록 장치(long term EEG Monitoring)
8. 신경 전도 검사(ENG: Electroneurography)
9. 척수조영술(Myelogram)
본문내용
발작의 촉진인자 파악
다. 검사방법
① 뇌파 전극을 삽입한다.
② 두피에 부착된 전극과 증폭기간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한 다.
③ Video system과 EEG computer 간을 연결하여 행동양상과 뇌파소견을 테이프나 디tm크에 저장한다.
④ 충분한 소견이 얻어진 후 뇌파전극을 제거한다.
라. 검사 전후 처치 및 간호
① 검사의 목적 설명
② 음식이나 수분제한은 하지 않는다.
③ 머리에 헤어핀이나 오일 등은 제거한다.
④ 두피전극을 꽂기 전 외부의 자유로운 활동이 금지됨을 설명한다.
⑤ 검사 후 머리에서 collodion이나 paste를 아세톤으로 제거
8. 신경 전도 검사(ENG: Electroneurography)
가. 목적 : 말초신경 손상이나 질병을 발견하고 그 위치를 확인
나. 검사방법
① 환자의 체위는 병변이 의심되는 말초신경손상, 질병 부위에 따라 다름.
② 운동신경 전도 검사 : 말단 자극 전극과 기록 전극사이 거리가 손은 5~7, 발은 7~10㎝ 등으로 일정한 거리 유지
③ 감각신경 전도 검사 : 기록전극과 기준전극 거리는 3~4㎝
④ artifacts를 줄이기 위해 반드시 검사하고 있는 팔, 다리에 붙이는 것을 원칙.(위치→ 자극전극과 기록전극 중간)
⑤ 검사 수행 순서 : 운동신경전도 검사 → 감각신경전도검사
⑥ 운동신경 전도검사 : 기록전극은 복합근 활동 전위를 얻는 근육의 중간에 부착, 기준전극은 tendon에 부착하고 기록전극이 그 근육의 운동종판위에 위치.
⑦ 감각신경전도검사
정중신경, 척골신경 →순방향
Sural, 요골신경 →역방향
⑧ 소요시간 ; 15분
라. 검사 전 처치 및 간호
① 금식이나 진정을 필요하지 않는다.
② 전기자극에 대한 불안감을 가진 환자에게는 검사자체가 전기고문이 아님을 설명해 드리고 환자의 안정과 신뢰감을 얻는 것이 필요
③ 검사 전 환자의 병력조사(신경계이상)
④ 검사 전 환자의 손, 발을 만져 본다.
⑤ 검사 전 환자의 신장을 확인 기록
⑥ 신경전도 검사 후 피부에 전극을 붙일 때 사용한 젤을 제거
9. 척수조영술(Myelogram)
가. 목적 : 척수에 조영제를 넣어서 디스크판정 또는 척수종양의 위치 및 크기를 판정하는 검사
나. 검사 후 처치
① 6시간동안 두부거상 자세 취할 것
② 조영제 배출을 위해 충분한 수분섭취(1일 2000cc이상)
③ 두통 예방 위해 약물 복용
라. 합병증 : Headache, ICP ↑
다. 검사방법
① 뇌파 전극을 삽입한다.
② 두피에 부착된 전극과 증폭기간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한 다.
③ Video system과 EEG computer 간을 연결하여 행동양상과 뇌파소견을 테이프나 디tm크에 저장한다.
④ 충분한 소견이 얻어진 후 뇌파전극을 제거한다.
라. 검사 전후 처치 및 간호
① 검사의 목적 설명
② 음식이나 수분제한은 하지 않는다.
③ 머리에 헤어핀이나 오일 등은 제거한다.
④ 두피전극을 꽂기 전 외부의 자유로운 활동이 금지됨을 설명한다.
⑤ 검사 후 머리에서 collodion이나 paste를 아세톤으로 제거
8. 신경 전도 검사(ENG: Electroneurography)
가. 목적 : 말초신경 손상이나 질병을 발견하고 그 위치를 확인
나. 검사방법
① 환자의 체위는 병변이 의심되는 말초신경손상, 질병 부위에 따라 다름.
② 운동신경 전도 검사 : 말단 자극 전극과 기록 전극사이 거리가 손은 5~7, 발은 7~10㎝ 등으로 일정한 거리 유지
③ 감각신경 전도 검사 : 기록전극과 기준전극 거리는 3~4㎝
④ artifacts를 줄이기 위해 반드시 검사하고 있는 팔, 다리에 붙이는 것을 원칙.(위치→ 자극전극과 기록전극 중간)
⑤ 검사 수행 순서 : 운동신경전도 검사 → 감각신경전도검사
⑥ 운동신경 전도검사 : 기록전극은 복합근 활동 전위를 얻는 근육의 중간에 부착, 기준전극은 tendon에 부착하고 기록전극이 그 근육의 운동종판위에 위치.
⑦ 감각신경전도검사
정중신경, 척골신경 →순방향
Sural, 요골신경 →역방향
⑧ 소요시간 ; 15분
라. 검사 전 처치 및 간호
① 금식이나 진정을 필요하지 않는다.
② 전기자극에 대한 불안감을 가진 환자에게는 검사자체가 전기고문이 아님을 설명해 드리고 환자의 안정과 신뢰감을 얻는 것이 필요
③ 검사 전 환자의 병력조사(신경계이상)
④ 검사 전 환자의 손, 발을 만져 본다.
⑤ 검사 전 환자의 신장을 확인 기록
⑥ 신경전도 검사 후 피부에 전극을 붙일 때 사용한 젤을 제거
9. 척수조영술(Myelogram)
가. 목적 : 척수에 조영제를 넣어서 디스크판정 또는 척수종양의 위치 및 크기를 판정하는 검사
나. 검사 후 처치
① 6시간동안 두부거상 자세 취할 것
② 조영제 배출을 위해 충분한 수분섭취(1일 2000cc이상)
③ 두통 예방 위해 약물 복용
라. 합병증 : Headache, ICP ↑
추천자료
자발성 뇌내출혈, 고혈압성 뇌출혈
지주막하출혈[SAH]
case study 경막하혈종
[간호학]경막하혈종
지주막하 출혈 (SAH) case
뇌경색 케이스
신경외과 주요질환
[성인간호학] 신경과 병동 Cerebral Infarction case study
간암 간호 사례 연구 - HCC 원인, 병태생리
cerebral infarction (뇌경색) 케이스 스터디
cerebrovascular accident, 뇌졸중
뇌졸중 노인간호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 ICU case study- SAH(A+ 칭찬받은자료)
중환자실(ICU) ICH case, A+성적 받은 특급 칭찬 자료입니다!!! 만점보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