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복분자주와 포도주(와인)
1.1 전통주(복분자주)
1.2 와인(포도주)
2. 기존 산업의 전략 캔버스
3. 새로운 전략 캔버스
3.1 4가지 액션 프레임 워크
3.2 ERRC (제거-감소-증가-창조) 구성표
3.3 새로운 전략 캔버스
4. 참고 문헌
1.1 전통주(복분자주)
1.2 와인(포도주)
2. 기존 산업의 전략 캔버스
3. 새로운 전략 캔버스
3.1 4가지 액션 프레임 워크
3.2 ERRC (제거-감소-증가-창조) 구성표
3.3 새로운 전략 캔버스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소비재로서 그 때 그 때의 경기상황에 따라 소비가 민감한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시장의 주류소비 둔화세 지속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류산업의 세계화가 필요하다.
3.1 4가지 액션 프레임 워크
□ 업계에서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요소들 가운데 제거할 요소는 무엇인가?
- 치열한 저가위주의 가격경쟁으로 떨어지는 품질을 제거해야함.
□ 업계의 표준 이하로 내려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
- 대량생산 방식을 낮춰서 소량을 생산하면서 품질을 올림.
□ 업계의 표준 이상으로 올려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
- 가격 및 품질을 올려서 고급화 복분자주의 이미지를 부각시킴.
□ 업계가 아직 한번 도 제공하지 못한 것으로, 창조해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
- 이미 생성 되어 있는 국내의 한정되어 있는 주류 시장에 새롭게 진입하기 보다는 복분자주에 고급화 이미지를 부여 하여 무한한 잠재적 수요를 가지고 있는 중국 시장에 진출을 꾀한다.
3.2 ERRC (제거-감소-증가-창조) 구성표
제 거 (Eliminate)
증 가 (Raise)
저가위주의 치열한 가격경쟁
가격 및 품질
감 소 (Reduce)
창 조 (Create)
대량생산 방식
고급 브랜드화 한 복분자주의
중국 시장 진출
3.3 새로운 전략 캔버스
가격: 가격 경쟁을 통해 경쟁 하기 보다는 비교적 가격과 품질을 높여 가격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높은 구매력을 지닌 소비층을 겨냥한다.
산지명성: 복분자주의 고급화의 한 일환으로서 와인처럼 산지의 명성을 부각시켜 소비자들에게 높은 산지의 명성은 곧 품질이다 라는 인식을 심어 준다.
종류: 현재 복분자주의 종류는 단일 품목화 되어 있다. 때문에 소비자들은 선택의 여지를 갖기가 힘들어 지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의 연구 개발을 통한 제품 라인의 증가가 필요하다. 와인처럼 지나치게 많은 종류의 제품 종류는 선택함에 있어 전문적인 사전 지식을 요구 하고 따라서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지나친 다양화는 피해야 한다.
품질: 복분자주는 건강주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포도주만큼의 고급 이미지는 아니다. 좀더 많은 연구 개발을 통해 품질을 포도주 수준으로 올릴 필요가 있다.
전문성: 기존 복분자 산업에 있어서의 전문성을 유지 해야한다.
고급화: 건강주, 민속주의 이미지를 탈피해서 와인처럼 분위기 있는 장소, 기념할만한 날등에 마실 수 있는 고급술 이라는 이미지를 부여한다.
새로운 시장(중국)
<복분자주 중국 진출>
- 비슷한 문화권을 가진 중국
- 한류열풍으로 인한 우리나라 상품 선호
- 무한한 시장 규모
- 지리적 근접성
- 높은 잠재 수요(세계 최대 인구)
사회 안정 소비층인 중국 30~50대 중년층을 기본 타겟으로 잡고 주류의 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20~30대의 청장년층도 잠재적 구매력이 있는 것으로 보고 추가 타겟으로 한다.
첫째, 고급화, 고가격 전략을 통해 고급 이미지 메이킹. 고급 브랜드화. 고소득 지역을 공략한다.
둘째, 붉은색이나 황색 등의 고급스러운 제품포장을 통해 중국 정서에 맞는 포장으로 공략한다.
셋째, 도수를 다양하게 세분화 시켜 기존의 고도주를 애용하는 중장년층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맛을 원하는 중국 청장년층도 공략한다.
넷째, 중국 내 한류 열풍을 이용하여 중국 내 한국 인기 스타를 모델로 활용하여 중국 시장기반 확대 및 주 타겟 집단을 공략한다.
4. 블루오션을 창출하기 위한 체계화 방법 중 어떤 방법을 활용했는가
블루오션을 창출하기 위한 체계화 방법에는 다음의 6가지가 있다.
① 대안산업을 관찰하라
② 산업 내 전략적 그룹들을 관찰하라
③ 구매자체인을 관찰하라
④ 보완적 제품과 서비스 상품을 관찰하라
⑤ 구매자에 대한 상품의 기능적 또는 감성적 매력 요소를 관찰하라
⑥ 시간흐름을 고찰하라
복분자주의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해 ②, ④, ⑤ 을 고려하여 생각해 보았다.
② 산업 내 전략적 그룹들을 관찰하라.
- 최근 국내에서 복분자 산업의 급성장으로 5년 만에 무려 7배 정도 폭증 했다는 계산이 있다. 이처럼 복분자 산업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고 그에 따른 경쟁 또한 치열하다. 복분자 상품의 유사품과 모조품 제조의 성행과 치열한 가격경쟁으로 인해 복분자의 공급에 비한 수요가 부족한 실정이다. 복분자 산업 내 경쟁기업들과 차별화 된 전략을 세우기 위한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④ 보완적 제품과 서비스 상품을 관찰하라.
- 최근 저 알코올 음주문화가 확산되고 있고 과실주 소비가 늘고 있다. 가장 대중화 되어 있는 품목이 와인(포도주)이다. 포도주는 여러 등급으로 나뉘고 세계적으로 명성을 자랑하는 포도주도 있다. 그에 따라 품질 또한 다양한데, 대체적으로 와인을 떠올리면 고급 이미지를 연상시키기 때문에 포도주의 품질은 사람들에게 고품질로 지각된다. 이에 반해 복분자주는 포도주만큼의 고급 이미지는 아니다. 따라서 복분자의 약리작용과 다이어트 효능 등의 장점을 이용하여 건강주의 이미지를 부각시킨 고급화 전략을 세우기로 했다.
⑤ 구매자에 대한 상품의 기능적 또는 감성적 매력 요소를 관찰하라.
- 최근 웰빙열풍으로 인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주류 시장 또한 저 알코올 음주 문화의 확산과 건강주에 대한 관심 또한 늘고 있다. 이러한 구매자의 요구에 맞추어 복분자의 효능을 강조해서 구매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5. 참고 문헌
인터넷
<사이트>
http://www.wineok.com/
http://www.bokbunjajuwine.co.kr/
http://www.bokbunjawine.com/
http://www.bokbunjasul.co.kr/
<신문기사>
http://www.dailian.co.kr/news/n_view.html?id=70558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6/13/2007061301015.html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706130200
http://blog.daum.net/amsirang/10063770
도서
- 블루오션전략(김위찬, 르네마보안 저)
3.1 4가지 액션 프레임 워크
□ 업계에서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요소들 가운데 제거할 요소는 무엇인가?
- 치열한 저가위주의 가격경쟁으로 떨어지는 품질을 제거해야함.
□ 업계의 표준 이하로 내려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
- 대량생산 방식을 낮춰서 소량을 생산하면서 품질을 올림.
□ 업계의 표준 이상으로 올려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
- 가격 및 품질을 올려서 고급화 복분자주의 이미지를 부각시킴.
□ 업계가 아직 한번 도 제공하지 못한 것으로, 창조해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
- 이미 생성 되어 있는 국내의 한정되어 있는 주류 시장에 새롭게 진입하기 보다는 복분자주에 고급화 이미지를 부여 하여 무한한 잠재적 수요를 가지고 있는 중국 시장에 진출을 꾀한다.
3.2 ERRC (제거-감소-증가-창조) 구성표
제 거 (Eliminate)
증 가 (Raise)
저가위주의 치열한 가격경쟁
가격 및 품질
감 소 (Reduce)
창 조 (Create)
대량생산 방식
고급 브랜드화 한 복분자주의
중국 시장 진출
3.3 새로운 전략 캔버스
가격: 가격 경쟁을 통해 경쟁 하기 보다는 비교적 가격과 품질을 높여 가격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높은 구매력을 지닌 소비층을 겨냥한다.
산지명성: 복분자주의 고급화의 한 일환으로서 와인처럼 산지의 명성을 부각시켜 소비자들에게 높은 산지의 명성은 곧 품질이다 라는 인식을 심어 준다.
종류: 현재 복분자주의 종류는 단일 품목화 되어 있다. 때문에 소비자들은 선택의 여지를 갖기가 힘들어 지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의 연구 개발을 통한 제품 라인의 증가가 필요하다. 와인처럼 지나치게 많은 종류의 제품 종류는 선택함에 있어 전문적인 사전 지식을 요구 하고 따라서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지나친 다양화는 피해야 한다.
품질: 복분자주는 건강주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포도주만큼의 고급 이미지는 아니다. 좀더 많은 연구 개발을 통해 품질을 포도주 수준으로 올릴 필요가 있다.
전문성: 기존 복분자 산업에 있어서의 전문성을 유지 해야한다.
고급화: 건강주, 민속주의 이미지를 탈피해서 와인처럼 분위기 있는 장소, 기념할만한 날등에 마실 수 있는 고급술 이라는 이미지를 부여한다.
새로운 시장(중국)
<복분자주 중국 진출>
- 비슷한 문화권을 가진 중국
- 한류열풍으로 인한 우리나라 상품 선호
- 무한한 시장 규모
- 지리적 근접성
- 높은 잠재 수요(세계 최대 인구)
사회 안정 소비층인 중국 30~50대 중년층을 기본 타겟으로 잡고 주류의 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20~30대의 청장년층도 잠재적 구매력이 있는 것으로 보고 추가 타겟으로 한다.
첫째, 고급화, 고가격 전략을 통해 고급 이미지 메이킹. 고급 브랜드화. 고소득 지역을 공략한다.
둘째, 붉은색이나 황색 등의 고급스러운 제품포장을 통해 중국 정서에 맞는 포장으로 공략한다.
셋째, 도수를 다양하게 세분화 시켜 기존의 고도주를 애용하는 중장년층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맛을 원하는 중국 청장년층도 공략한다.
넷째, 중국 내 한류 열풍을 이용하여 중국 내 한국 인기 스타를 모델로 활용하여 중국 시장기반 확대 및 주 타겟 집단을 공략한다.
4. 블루오션을 창출하기 위한 체계화 방법 중 어떤 방법을 활용했는가
블루오션을 창출하기 위한 체계화 방법에는 다음의 6가지가 있다.
① 대안산업을 관찰하라
② 산업 내 전략적 그룹들을 관찰하라
③ 구매자체인을 관찰하라
④ 보완적 제품과 서비스 상품을 관찰하라
⑤ 구매자에 대한 상품의 기능적 또는 감성적 매력 요소를 관찰하라
⑥ 시간흐름을 고찰하라
복분자주의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해 ②, ④, ⑤ 을 고려하여 생각해 보았다.
② 산업 내 전략적 그룹들을 관찰하라.
- 최근 국내에서 복분자 산업의 급성장으로 5년 만에 무려 7배 정도 폭증 했다는 계산이 있다. 이처럼 복분자 산업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고 그에 따른 경쟁 또한 치열하다. 복분자 상품의 유사품과 모조품 제조의 성행과 치열한 가격경쟁으로 인해 복분자의 공급에 비한 수요가 부족한 실정이다. 복분자 산업 내 경쟁기업들과 차별화 된 전략을 세우기 위한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④ 보완적 제품과 서비스 상품을 관찰하라.
- 최근 저 알코올 음주문화가 확산되고 있고 과실주 소비가 늘고 있다. 가장 대중화 되어 있는 품목이 와인(포도주)이다. 포도주는 여러 등급으로 나뉘고 세계적으로 명성을 자랑하는 포도주도 있다. 그에 따라 품질 또한 다양한데, 대체적으로 와인을 떠올리면 고급 이미지를 연상시키기 때문에 포도주의 품질은 사람들에게 고품질로 지각된다. 이에 반해 복분자주는 포도주만큼의 고급 이미지는 아니다. 따라서 복분자의 약리작용과 다이어트 효능 등의 장점을 이용하여 건강주의 이미지를 부각시킨 고급화 전략을 세우기로 했다.
⑤ 구매자에 대한 상품의 기능적 또는 감성적 매력 요소를 관찰하라.
- 최근 웰빙열풍으로 인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주류 시장 또한 저 알코올 음주 문화의 확산과 건강주에 대한 관심 또한 늘고 있다. 이러한 구매자의 요구에 맞추어 복분자의 효능을 강조해서 구매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5. 참고 문헌
인터넷
<사이트>
http://www.wineok.com/
http://www.bokbunjajuwine.co.kr/
http://www.bokbunjawine.com/
http://www.bokbunjasul.co.kr/
<신문기사>
http://www.dailian.co.kr/news/n_view.html?id=70558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6/13/2007061301015.html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706130200
http://blog.daum.net/amsirang/10063770
도서
- 블루오션전략(김위찬, 르네마보안 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