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너리티 관점에서 본 '무한도전'의 성공요인과 전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방향 및 방법
1.2. 연구사

2. 대중문화의 마이너리티 현상 연구

3.<무한도전> 속의 마이너리티
3.1 <무한도전>의 성공요인
3.1.1 프로그램 내부적 요인
3.1.2 등장인물 캐릭터의 요인
3.1.3 사회적 요인
3.2 <무한도전>에 대한 향후 전망과 제언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있다. 헤럴드 경제, 2006년 12월 19일.
<무한도전>은 지금까지 많은 문화 평론가들로부터 부족한 면이 많은 연예인들이 모여 만들어나가는 도전과 성공기로 후한 평을 들어왔다. 하지만 최근 <무한도전>은 멤버들의 사생활을 폭로하는 이벤트성 뉴스나, 스타급 연예인을 초청해 그들을 무조건 동경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우려의 모습도 보이고 있다. <무한도전>은 초기 기획단계의 의도를 잊지 말고 지속적으로 우리사회의 마이너리티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던져줄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제작뿐만 아니라 출연하는 연예인들도 자신이 가지고 있는 마이너리티적 요소들을 희화화 하려고 하는데 그치지 않고 진정 그것들을 극복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일 때 콘텐츠를 소비하는 시청자들은 동질감을 느끼고 박수를 보낼 것이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시청자들 또한 <무한도전>이라는 프로그램의 픽션을 감안하여 그들의 모습에 몰입하여 동일시하기 보다는 과정과 노력을 그린 그들의 모습을 적절히 볼 줄 아는 혜안을 가져야하겠다.
4. 결론
IMF이후 한국의 경제는 급속도로 침체되었고 그 침체가 2007년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침체된 경제는 서민들이 지갑을 여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고 이는 곧 대중문화에 대한 소비의 감소로 이어졌다. 수없이 많은 대중문화 콘텐츠 생산 업체들은 불황을 겪고 파산을 거듭했다. 서민들은 이제 더 이상 화려하고 멋진 세계를 보여주는 방송매체에 거부감을 가졌고, 이는 시청률 하락으로도 이어졌다. 최용준, 앞의 논문 55p
스타들에 대한 인식 자체도 화려하고 멋진 이미지를 가진 스타들에게는 부정적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그 안에서 자신이 가진 마이너리티적 요소들을 충실히 개발하고 그것들을 적극 활용한 스타들이 시청자들의 눈에 띠기 시작했다. 곧 그러한 마이너리티 요소들을 가미한 프로그램들이 제작되었고 이는 ‘웃음’을 잃은 현대사회의 사람들에게 자신과 다르지 않은 연예인들이 나와 끊임없이 무모한 도전을 펼치고 이를 성공하기 까지 과정을 그린 <무한도전>은 색다른 재미와 감동으로 다가왔다. 이전의 스타들에게서 볼 수 없는 인간미를 가지고 <무한도전>의 멤버들은 마이너리티적 요소들을 자신이 극복해나갈 목표로 보고 절대 이를 부끄러워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시청자들은 이들의 모습에 자신의 모습을 동일시했고, 결과는 사회의 트렌드를 만드는 프로그램으로 거듭났다.
물론 <무한도전>이 앞으로 극복해나가야할 과제는 많이 쌓여있다. 단순한 희화화에 빠지는 것을 주의하고 끊임없이 도전하고 창조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노력하고 시청자들 또한 그러한 모습에서 자신이 본받아야할 요소들을 끄집어 낼 줄 아는 혜안이 필요하다고 앞서 밝혔다. 앞으로도 대중문화에서는 마이너리티들이 끊임없이 등장하고 그와 관련된 콘텐츠들이 생산될 것이다. 그러한 콘텐츠들은 <무한도전>에서 보였던 마이너리티적 요소들을 적절히 활용하여 사회의 흐름을 읽고 소외받는 ‘소수’가 소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콘텐츠 개발자의 과제일 것이다.
<<참고문헌>>
강철수, <대중문화시대의 시적 존재 양상 연구 - 대중성을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2002.
박종규, <거시경제 : 경제위기 이후의 소비성향 추이 분석>, KIF 금융논단 모음집, 2005.
이호영, <디지털 시대의 문화수용 방식에 관한 연구>, 브랜드 KSI, 2005.
장훈, <청소년을 위한 패스워드 (11) : 비주류 문화에 대해 ( 영화 & 음악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2001.
조영각, <항구적인 마이너 활동을 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내야 한다>, 독립영화 통권14호, 2002.
최용준, <방송 프로그램의 사회 문화적 역할>, 한국 방송 영상 산업 진흥원, 2003.
한나영, <90년대 후반 한국 언더그라운드 음악의 사회·문화적 의미와 소비자 성향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1.
21세기 문화광장, <(IMF)문화불황 극복방안 세미나>, 21세기 문화광장, 1998.
KDI 경제정보센터, <이제는 문화콘텐츠 산업이다>, KDI 경제정보센터, 2001.
<신문기사>
한겨레 신문, 2007년 1월 28일.
헤럴드 경제, 2007년 1월 8일.
부산일보, 2006년 12월 30일.
조선일보, 2006년 12월 30일.
헤럴드 경제, 2006년 12월 19일.
한국일보, 2006년 11월 29일.
동아일보, 2006년 10월 30일.
김헌식, 대중문화로 간 마이너리티는?, 고뉴스, 2005.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1.30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83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