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원 경쟁 시장속에서 벅스 뮤직의 BUSINESS 전략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Part 1. 벅스와 DRM-free
1. 벅스뮤직?
2. 벅스의 DRM-free
(1) DRM-free 시대 도래
(2) DRM이 불필요한 이유
(3) 국내에서의 DRM-free논쟁


Part 2. 마케팅 기법을 통한 벅스 음악서비스 분석
1. 피쉬 바인 모델을 통한 경쟁자 분석
(1) 경쟁업체 사전분석
(2) 경쟁업체 선정이유와 벅스의 현 위치
(3) Fishbein 모델 적용
2. SWOT 분석을 통한 벅스 음악서비스 위치 분석
(1) SWOT분석
(2)벅스 음악서비스의 위치


Part 3. 분석에 따른 대안 제시
1.음악 상품제시
2.음악 전문 서비스 실시
3.음악 블로그의 활성화


Part 4. 결론

본문내용

대중들과 음악 블로그 상에서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노래를 홍보 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의 프로필과 사진을 업로드하여 자신의 개성과 매력을 어필 할 수가 있다. 벅스에서는 뮤지션과 음악팬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 시킬 수 있고 블로그를 통한 음악판매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뮤지션과 음악팬들을 음악 블로그를 통해 더 가까운 관계가 형성된다는 점이 가장 기대되는 부분이다.
- 음악블로그로 사용자를 어떻게 만족을 줄까?
첫째, 벅스에서 다운 받은 음악을 즐길 수 있게 한다. 자신이 다운 받은 노래를 음악 블로그에서의 플레이어 리스트에 등록 할 수 있게 하고 골라서 들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벅스 사이트에서 이미 다운받은 노래는 돈을 지불하였기 때문에 저작권 문제에 해당하지 않을 것이다. 지금의 스트리밍 서비스(음악 감상 서비스)가 2,500원이지만 벅스가 기존에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로 사용자들에게 인기를 얻었었다. 그렇지만 유료사이트로 전환했을 때는 벅스의 강점인 무료사이트라 이미지가 희석되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의 유출이 있었던 것이다. 자신이 다운받은 노래를 무료로 웹상에 올리고, 들을 수 있다면 벅스의 강점이었던 무료로 음악을 들을 수 있다는 강점을 살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편리한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재생한 목록, 가수별 노래목록, 앨범별 노래목록, 장르별 노래목록 등을 만들어 편리한 플레이 리스트를 제공하고 제한이 없는 플레이리스트를 지원하는 것이다.
Listen: Your favorite song for Free
Create: Unlimited Play
둘째, 음악 블로그를 꾸미는 재미를 준다. 음악 블로그를 꾸밀 수 있는 다양한 스킨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필요한 메뉴를 고를 수 있게 하여 자신의 취향에 맞게 꾸밀 수 있게 하는것다. 예전에 Winamp라는 음악 플레이어 기기를 쓸때 여러 가지 이쁜 스킨이 있어서 사용한 기억이 있다.
『 그림 3 - 3 winamp 배경스킨 예시 』
winamp 스킨은 자신이 그림 파일만 있으면 윈엠프 스킨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 그래서 좋아하는 가수의 배경으로 스킨을 꾸민다던지 다양한 스킨 배경이 나 올수 있었다. 싸이월드의 미니홈피에서는 스킨을 만들어서 판매하고 기간적용을 하고 있어 스킨의 이용이 자유롭지가 않다. 그러므로 벅스도 처음에는 다양한 스킨 이미지를 유저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자신이 가지고 있는 그림파일로 스킨을 꾸밀 수 있도록 스킨 꾸미기 메뉴를 만들어 쉽고 자신의 스타일대로 스킨을 꾸밀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음악 블로그를 꾸미는 재미를 사용자에게 주는 것이다.
Skin: Make your skin of own will
셋째, 음악 블로그를 통해 서로의 음악을 들을 수 있게 한다. 블로그에 출입문을 만들어 손님형식으로 접속 할 수 있게 하고 그 블로그에서의 해당 플레이어 리스트를 들을 수 있게 지원한다. 자신만의 음악 블로그에서 음악을 듣는 것만으로는 블로그 활성화에 제약이 있다. 서로의 음악 플레이어 리스트를 들을 수 있다면 자신과 비슷한 취향의 음악친구도 만들 수 있고 좋은 음악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진다.
Share: Listen song with your friend
넷째, 음악블로그에 Social network측면을 접목시킨다. 유저들끼리의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친구 맺기, 방명록남기기, 채팅 지원 등 Social network측면도 접목을 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노래 부르는 동영상을 올릴 수 있게 하여 인터넷에서의 얼짱 출신이 탤런트로 데뷔하듯이 벅스의 음악블로그가 신인가수의 데뷔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블로그를 소개하고 벅스의 신인가수 만들기 등의 이벤트를 여는 것이다. 그리고 음악이외에도 바이오리듬이나 다이어리 등의 메뉴를 만들어 방문을 유도한다. 벅스의 social network측면이 강화된다면 벅스 브랜드의 인지도와 선호도가 강해질 것이라 생각된다.
Play: if you listen and like music, we are equal friend
위에 제시한 방안들로 벅스의 음악 블로그를 구축한다면 새로운 형태의 블로그로 발전 할 수 있을 것이다. 벅스의 음악 블로그 안에서 핵심인 음악을 중심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면 성공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5. 결 론
나날이 갈수록 음악 관련 시장에서 오프라인 시장의 중요성보다는 온라인 시장의 중요성이 인터넷의 사용량의 증가와 맞물려 중요시 되고 있다. 벅스 뮤직은 2000년대 초반, 음원 관련 시장의 선두 기업으로서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지만 경쟁업체의 회사경영전략과 자본력에 밀려 그 자리가 현재 위태롭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벅스뮤직이 여태껏 관련 업계 내에서 1위를 유지할 수 있었던 요소인 음원관련 기술과 많은 음원공급업체와의 연결은 당분간은 벅스뮤직을 존재시킬 수 있는 요소이다. 이는 곧 또 다른 기회를 위한 제반요건이 될 것인데, 벅스는 우리가 제시한 대안(part. 3)을 적극 활용, 추후 경영전략에 적용한다면 커져가는 음원 서비스시장에서 부동의 1위를 고수할 수 있다고 전망된다.
▶ 참고문헌 ◀
1. 벅스뮤직
http://www.bugs.co.kr
http://info.bugs.co.kr/company/outline.asp
2. 다음
http://directory.search.daum.net/site_list.daum?dirseq=1816
3. 해피캠퍼스
http://www.happycampus.com
4. 소리바다
http://www.soribada.co.kr
5. 멜론
http://www.melon.co.kr
6. 네이버, 엠넷미디어
http://www.naver.com http://www.mnet.com
. 그 외 자료
http://juke-on.tistory.com/225?srchid=BR1http%3A%2F%2Fjuke-on.tistory.com%2F225
http://blog.empas.com/juneslee/17401832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802290181
  • 가격2,9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8.12.01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89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