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표
2. 실험 이론
3. 사용기기와 부품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및 토의
6. 참고
2. 실험 이론
3. 사용기기와 부품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및 토의
6. 참고
본문내용
를 깔끔하게 정리하고 측정을 하니 출력이 제대로 나오게 되었다.
2) Vcc를 5V부터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PWM신호가 출력되기 시작하는 Vcc를 찾아보았는데 15.9V가 측정되었다. datasheet에는 15.5V ~ 16.5V 사이에서 PWM신호가 출력된다고 되어있는데, 평균값이 16V인것에 비교해보면 오차가 거의 없는 정확한 수치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회로가 제대로 구성되었으며, 정확히 측정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Vcc를 낮추어 가면서 신호가 출력되는 최소전압을 찾아보니 8.4V가 측정되었다. datasheet에서 나온 최소 전압값은 8.2V ~ 9.2V였는데, 평균값과는 좀 다르지만 datasheet에 딱 들어맞는 결과를 얻은 것을 알 수 있다.
4) 2)와3)처럼 설계한 가장 큰 목적은 PWM IC가 우리가 도달하기 원하는 값에 이르렀을 때 on/off 되도록 하려고 그런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회로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Soft - start Test
1) 회로를 구성하고 Cs양단을 open/short 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PWM IC를 on/off시킬 수 있었다.
여길 보면 알 수 있듯이 IC가 on되었을 때는 구형파의 파형이 출력되다가, off되면 DC와 같은 파형이 출력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s가 short되면 IC가 off된다는 것이 흥미로운 사실이었다.
2) Cs가 short 되어 있는 상태에서 open상태로 바꾸는 방법을 사용하여 PWM IC를 off에서 on으로 바꾸었다. 오실로스코프를 관찰하여 펄스 폭이 2.36us에서 2.78us로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D는 duty cycle이므로, high전압인 시간을 주기로 나누것에 100을 곱하여 구할 수 있는데, , T = 1.18ms로 66.1%가 나왔다.
f = 866Hz가 측정되었고, 가 측정되었다.
를 가변저항으로 바꾼 후, 이를 변화 시켜가면서 D와 VFB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duty cycle이 0에 근접하게 나올 때 출력파형의 사진은 다음과 같다.
D[%]
0%
10%
20%
30%
40%
50%
70%(Max)
VFB[V]
0.968V
1.239V
1.437V
1.513V
1.777V
1.907V
2.345V
6. 참고
2) Vcc를 5V부터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PWM신호가 출력되기 시작하는 Vcc를 찾아보았는데 15.9V가 측정되었다. datasheet에는 15.5V ~ 16.5V 사이에서 PWM신호가 출력된다고 되어있는데, 평균값이 16V인것에 비교해보면 오차가 거의 없는 정확한 수치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회로가 제대로 구성되었으며, 정확히 측정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Vcc를 낮추어 가면서 신호가 출력되는 최소전압을 찾아보니 8.4V가 측정되었다. datasheet에서 나온 최소 전압값은 8.2V ~ 9.2V였는데, 평균값과는 좀 다르지만 datasheet에 딱 들어맞는 결과를 얻은 것을 알 수 있다.
4) 2)와3)처럼 설계한 가장 큰 목적은 PWM IC가 우리가 도달하기 원하는 값에 이르렀을 때 on/off 되도록 하려고 그런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회로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Soft - start Test
1) 회로를 구성하고 Cs양단을 open/short 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PWM IC를 on/off시킬 수 있었다.
여길 보면 알 수 있듯이 IC가 on되었을 때는 구형파의 파형이 출력되다가, off되면 DC와 같은 파형이 출력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s가 short되면 IC가 off된다는 것이 흥미로운 사실이었다.
2) Cs가 short 되어 있는 상태에서 open상태로 바꾸는 방법을 사용하여 PWM IC를 off에서 on으로 바꾸었다. 오실로스코프를 관찰하여 펄스 폭이 2.36us에서 2.78us로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D는 duty cycle이므로, high전압인 시간을 주기로 나누것에 100을 곱하여 구할 수 있는데, , T = 1.18ms로 66.1%가 나왔다.
f = 866Hz가 측정되었고, 가 측정되었다.
를 가변저항으로 바꾼 후, 이를 변화 시켜가면서 D와 VFB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duty cycle이 0에 근접하게 나올 때 출력파형의 사진은 다음과 같다.
D[%]
0%
10%
20%
30%
40%
50%
70%(Max)
VFB[V]
0.968V
1.239V
1.437V
1.513V
1.777V
1.907V
2.345V
6.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