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덜트 문화와 그 지향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키덜트란 무엇인가
2. 키덜트 문화의 특징과 확산 요인
2.1. 키덜트 문화의 특징
2.1.1. 시각적 가치 중시
2.1.2. 상상의 현실화 추구
2.1.3. 추억의 소비
2.2. 키덜트 문화의 확산 요인
2.2.1. 현실도피적 탈출구
2.2.2. 아날로그 시대로의 회귀 욕구
2.2.3. 자기 정체성 탐구
2.2.4. 인터넷 매체의 발달
3. 산업으로써의 키덜트 문화
3.1. 성인용 장난감
3.2. 패션
3.3. 영화
4. 키덜트 문화에 대한 비판과 문제점
4.1. 사회적 의무감의 상실을 우려
4.2. 특정 문화에 편중된 시장
5. 키덜트 문화의 긍정적 측면
5.1. 타인과의 차별화 추구
5.2. 음지에서 양지를 지향한다.
5.3. 아동과 성인의 중계자 역할
6. 키덜트 문화가 지향해야 할 방향
6.1. 키덜트 문화의 문제점
6.1.1. 폐쇄적인 동호회 문화
6.1.2. 소극적인 가치 표출
6.2. 키덜트 문화의 개선 방향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그 자신들은 그런 것을 감지하지 못 하거나, 감지하고 있다하더라도 밖으로 적극적으로 표출하기를 꺼려한다. 그들의 가치 표출의 수단은 자연스럽게 그들이 즐기는 취미가 주가 될 터인데 일반인들의 입장에선 그게 거북할 수도 있다. 이런 거부감이 키덜트족이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자유롭게 표현하는데 방해됐을 것이다.
6.2. 키덜트 문화의 개선 방향
우선 자신들에 대해 사회가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노력해야 한다. 사회의 시선이 곱지 않고 자신들에 대해 잘못 알고 있다고, 그저 무시해버리고 자신과 비슷한 부류와 어울리며 외부와 담을 쌓는다면 결국 사회적으로 고립될 뿐이다. 사회가 그들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건 사회의 무관심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들 스스로 적극적으로 자신을 알리지 않고, 자신들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조차 -귀찮기 때문이거나 기타 이유로-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기도하다. 좀 더 적극적으로 자신들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는데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자신이 추구하는 내적 가치를 외부로 표출해야 할 것이다. 키덜트족이 추구하는 가치가 사회에 도움이 되는 가치라면, 그러한 가치의 추구가 단지 자신의 욕구를 해소하는데 그치지 말고, 좀 더 확대하여 사회적으로 산재되어있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일조해야한다. 사회에서도 그들의 가치 표현 방식이 특이하다고 무조건 거부할게 아니라, 또 하나의 방식으로 생각하고 포용해야 할 것이다.
결 론
지금까지 키덜트 문화의 특징, 확산요인,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앞에서 말했듯이 키덜트 문화는 이런저런 문제점을 가진 아직은 불완전한 형태이다. 하지만 키덜트 문화는 기존 문화들이 갖지 못하는 다양한 특성과 장점을 갖고 있다. 키덜트 문화가 자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좀 더 나은 모습으로 발전하기 위해선, 사회와 좀 더 소통하려하는 개방된 마음도 중요하지만 사회의 관심도 필요하다. 사회에서는 좀 더 넓은 마음가짐으로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려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과거, 추억이 있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에 대한 동경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지나간 과거는 언제나 현실보다 아름다워 보이니까. 과거, 동심에 대한 동경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잠재적으로 키덜트적인 요소를 갖는다고 한다. 이들과 키덜트족의 차이는 단지 그 요소를 밖으로 드러내는 정도의 차이일 뿐이다. 이는 곧 키덜트 문화의 잠재적인 수효가 무궁무진하다는 것을 뜻한다. 산업적으로는 수효가 존재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마케팅이 이루어 질수 있다. 이같은 잠재적 수효와 심리적 동질성은 앞으로 키덜트 문화 혹은 이와 유사한 문화가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결국 키덜트 문화의 다양한 가능성이 빛을 볼 수 있는 가능성이 된다. 키덜트 문화가 앞으로 어느 수준까지 도달할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참고문헌
김민경, ‘동심 자극 ‘키덜트’ 주류문화로 컸다.‘, 주간동아 488호, pp.66~68.
김윤현, ‘어른들, 인형놀이에 지갑을 열다.’, 주간한국 2005년 7월 14일 발행판
http://www.kt.co.kr/ktvalley/ktwebzine/sabo/200204/trend.htm
http://www.wordspy.com/words/kidult.asp
http://www.hani.co.kr/section-004100001/2002/05/004100001200205071827022.html
http://www.hani.co.kr/section-004100001/2002/05/004100001200205071943049.html
http://kotra.go.kr/main/read_small.jsp?inpt_no=1205075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2.01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94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