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로 보는 유럽문화 ocu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원시미술
2.고대미술
3.중세미술
4.르네상스
5.17~18세기
(바로크, 로코크미술)
6.근대미술
7.현대미술
8.2차대전이후

본문내용

런 관련이 없는 사물 들이 엉켜있는 작품에서 당혹스러운 결과를 도출해 낸다.
결국 이들이 찾고자 했던 것은 단순히 꿈을 표현해 낸다는 것이라기 보다는 일상화되고 관념화되어버려서 똑같은 삶속에서 살아가는 인간 들에게 더 넓은 인식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었다.
이 운동을 예시한 미술가들은 보쉬, 아르침볼드, 피라네시, 고야, 롭스, 그리고 연대에 와서는 르동, 키리코 등으로 환상적이면서도 기이한 면에 대해 새로운 관심을 보였다. 이 들과 비슷한 특징 때문에 샤갈 또한 이 운동의 선두주자로 언급된다.
⑩다리파
1905년 드레스덴에서 4명의 젊은 건축과 학생들인 키르쉬너, 헤켈, 슈미트-로틀러프 그리고 블레일리 조직한 미술단체. Brucke(다리)라는 단어는 bridge의 돌어인데 부르케의 목적은 독일의 구예술과 신예술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하자는 것이었다. 공격적이고 반 부르조아적인 그들은 모든 학파와 논리들을 거부한다. 표현의 법칙을 강화하면서 더욱 유동적인 필체를 위해 조금씩 색깔을 두껍게 칠하는 것을 포기하고, 재빠르고 솟아나는 듯한 터치와 단순화된 뎃상을 이용하여 모가 난 형태와 단순하고 부조화한 색채로 주제들을 다듬어 나간다.
(8)2차 대전이후
①추상표현주의(미국)와 엥포르멜(프랑스)
미국([액션 페인팅]-플록,호프만,클라인,데쿠닝)과 프랑스([앵포르멜]-포트리에,볼스,뒤뷔폐)에서 전개된 서정적인 추상 운동으로 격정적이며 주관적인 태도로 인간의극한적인 정신 세계를 표현한 것으로, 현실적인 대상의 구체적인 재현보다는 선, 형, 색채 등의 순수한 조형 요소만을 사용하여 자신의 느낌을 표현한 화파로, 현대 미술에 큰 영향을 끼침.
일반적으로 1940년대와 50년대에 미국 화단을 지배했던 미국 회화사상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회화의 한 양식이다.
추상표현주의는 서구 근대미술의 복합적인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야수파, 표현주의, 다다이즘, 미래주의, 초현실주의로 이어지는 한 계보와 인상주의, 입체파, 기하학적 추상의 계보를 모두 받아들이고 있다.
②누보 리얼리즘(noveau realism)
추상 표현주의의 앵포르멜을 반대하고 어셈블라지와 같이 실제 지각할 수 있는 일상 생활의 오브제를 사용(아르망, 이브 클라인)
③극사실주의(hyper realism)-(미국)
포토 리얼리즘=슈퍼 리얼리즘-극사실주의.1960년대 후반 미국에서 일어난 유파로,일상적인 현실을 생생하고 완벽하게 묘사하여 기계적으로 냉정하게 표현(척 크로스,에스테스,듀안 핸슨,[죠지 시걸])
④팝아트(Pop art)-(미국)
1950년대 중반 영국에서 시작되어 1960년에 미국 작가들이 받아들여 활발히 전개된 미술 운동이다. 통속적인 이미지, 다시 말해서 일상 생활에 범람하는 기성의 이미지에서 제재를 취했던 이 경향의 특징을 압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전후 소비 사회의 광고와 대중 매체의 작품으로 전개(영국-리차드 [해밀튼],데이빗 호크니,미국-[앤디 워홀],로이 [리히텐슈타인],클래스 [올덴버그],짐 다인)
⑤옵 아트(op art)-(미국)
1950년대 미국에서 빌생한 순수하게 시각적인 요소를 사용하여 제작된 추상 미술이다.선,색,면,형 등의 조형 요소를 화면에 교묘하게 그려 내어 움직임을 느끼게 하는 미술 운동으로 지적이고 조직적이며 차가운 느낌을 주는 기하학적 추상(빅토르 바자렐리,브리짓 라일리)
⑥미니멀 아트(minimal art)-(미국)
1960년대 후반에 미국의 젊은 작가들이 최소한의 조형 수단으로 제작했던 회화나 조각을 가리킨다. 여기서 최소한이란 일루전의 극소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은 회화의 감동, 마티에르의 풍부함 내지 자기 표현은 곧 예술이라는 신화를 기본으로 하는 종래의 예술 개념을 거부하는 입장에서 출발하고 있다.
추상 표현주의가 초자아를 표현하여 관객에 호소하는 입장을 취했고 팝 아트가 문명 비판적이고 풍자적인 성격을 띠었던 데 반해, 이들은 엄격하고 비개성적이며 소극적인 화면을 구성했다. 대표작가로는 엘즈워드 캘리, 프랭크 스텔라, 도널드 주드, 케네드 놀런드, 잭 영거맨, 래리 푼즈, 모리스 루이스 등을 들 수 있다.
⑦포스트 모더니즘(post modernism)
작품의 재료나 주제,형식이 다양한 1990년대의 미술 사조로 차용 미술,그래피티 아트,정치적 미술 등으로 다양하게 전개(바브라 크루거,로버트 룽고,신디 셔먼,에릭 퓌슬,[키스 해링])
⑧색면 추상(color field abstation)
1950년대 중반에서~1960년대 말에 일어난 회화의 한 유파로 형태를 단순화시키고 순수한 색채를 사용하여 하드 에지(Hard Edge)와 같은 회화의 평면성을 강조(프랭크스텔라,모리스 루이스)
⑨행위예술(happening=performance=body art)
작가와 관객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예술과 일상생활의 경계를 없애려 한 미술운동으로 작품 제작 행위나 과정 자체를 작품으로 전개(이브 클라인,앨런 카프로,[요셉 보이스])
리포트를 마치며...
- 미술사조가 이렇게도 많이 있는지 몰랐다. 중고등학교를 다니면서 몇가지의 파가 있다고만 알았지, 이렇게 많은 줄은 이번 리포트를 하면서 알게 되었다.
각 미술사조는 그 사조만의 특징이 있고, 추구하는 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예술이란 항상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과 관련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그 사물에 대해 느끼는 방식과도 관련되어 있다. 미술작품을 감상 할 때도 그 작품의 작가가 어느시대, 어느미술사조에 속한 것인지 알고 미술작품을 감상하면 더욱 재미있을 것이다. 이제 무턱대고 작품을 감상하는 것보다 이번에 리포트를 하며 얻은 지식을 활용하여 감상해봐야겠다.
그리고 지금 이 시대 이후에는 어떤 다른 미술사조가 나올 것인지 궁금하다.
<참고문헌 및 출처>
손에 잡히는 미술사조(책) - 스티븐 리틀
http://iartedu.com/misoolsa-main.htm
http://iartedu.com/somimain.htm
http://myhome.shinbiro.com/~paranjk/frameset.htm
http://blog.naver.com/ks070?Redirect=Log&logNo=140043897112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12.0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04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