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폭력의 정의
2.액션, 느와르, 갱스터 무비
3.폭력의 이미지
4.폭력과 우리영화
5.폭력을 주제로 한 흥행영화의 몇 가지 예
6.폭력영화와 흥행
7.폭력영화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8.폭력영화를 보는 또 다른 시각
Ⅲ. 대안 및 결론
Ⅱ. 본론
1.폭력의 정의
2.액션, 느와르, 갱스터 무비
3.폭력의 이미지
4.폭력과 우리영화
5.폭력을 주제로 한 흥행영화의 몇 가지 예
6.폭력영화와 흥행
7.폭력영화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8.폭력영화를 보는 또 다른 시각
Ⅲ. 대안 및 결론
본문내용
이 때문에 계획된 살인·범죄 등의 폭력은 영화의 사회·교육적 파급효과를 감안할 때 극히 지양해야 한다는 점이다.
한편 한국영화의 발전으로 본다면 '친구' 이후 최근 줄을 잇는 조폭 영화들의 폭력성 시비에 대해 "영화 속 폭력을 사회문제와 결부시켜 해석한다는 것은 무리" 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라고 영화평론가 김시무씨는 지적했다.
8.폭력영화를 보는 또 다른 시각
지금까지 폭력영화의 단점만을 늘어놓았다. 사실 폭력영화에 단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유행처럼 이어지는 조폭영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한편에서는 같은 소재, 장르의 반복이 가져올 한국영화의 퇴보를 걱정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그런 영화에 열광하는 현상을 개탄한다. 하지만 냉정히 본다면 폭력 즉, 액션은 오락영화의 장르 중 멜로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존재이다. 사실 영화계에서 작품성을 항상 논하지만 사실 오락영화가 없다면 사람들은 영화를 멀리 할 것이다. 홍콩이나 헐리우드에서 계속 그런 영화들이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사실 폭력영화의 흥행이 커서 우리 영화계가 몰락해 보인 것이지 국내영화시장은 약간의 발전을 했다. 우리가 심각하게 받아들여 할 것은 영화 속에 표현되는 폭력에 대한 열광과 거기에서 펼쳐지는 폭력에 대한 죄의식의 상실이다. 분명 범죄이고, 악임에도 불구하고 너그럽다. 그만큼 우리사회 전반에 훨씬 추악한 폭력이 지배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꼭 물리적인 행위는 아니라도 현실이 훨씬 폭력적인데 폭력영화가 폭력을 조장한다는 것과는 반대일 것이다. 우리사회가 폭력영화를 낳고 있는지 모른다.
Ⅲ. 대안 및 결론
영상매체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 더군다나 영상매체는 활자매체와는 달리 대중에게 꽤나 수동적인 태도를 요구한다. 영화는 극장에서 꼼짝없이 2시간 동안 정해진 이야기를 받아들이길 강요당한다고도 할 수 있는 매체이다. 폭력이 만연해 있는 사회에서 폭력 영화라는 것은 단순히 현실을 반영하지 만은 않았다. 앞에서도 주지했다시피 영화란 것이 감독 개인, 창작의 자유의 소산이며 그것을 선택해서 보는 관객 또한 개인의 자유에 의한 선택이다. 그러나 실제로 악랄한 범죄가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폭력 영화에 길들여져 심각성에 대해서 모른다면 이는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가끔 뉴스에서 영화를 보고 그대로 살인을 저질렀다는 사건들이 보도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운 또한 폭력 영화의 영향을 심각하게 고려해 보아야 할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러한 영화자체를 제작해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영화를 감상하는데 있어 어느 정도 선별하는 능력이 요구되고 또한 그러한 것들에 무감각해지지 않도록 본인 스스로가 노력하는 것도 필요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대에는 폭력영화가 우리 일상의 일부가 되어 가는 경향이 짙다고 한다. 그러므로 더욱 그러지 않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영화라는 것이 지극히 사적인 섹스의 범주라던가 법에 의해 터부시 된 폭력의 소재를 담고 있어 그것을 통해 관객이 대리 만족의 쾌감을 느끼며 그것을 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현실과 영화의 경계를 분명히 구분할 줄 아는 지성인이란 사실 또한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홍수같이 쏟아지는 영화의 대부분이 그런 내용이며 소위 흥행하는 영화모두가 선정적인 내용과 폭력을 담고 있다면 그 속에 계속 노출되어 있는 사람들의 무뎌지는 그 경계의 벽이 걱정되지 않을 수 없다. 위에서 이야기한 내용에서 보듯 늦었지만 이제 그런 영화의 심각성이나 문제점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고, 영화를 올바르게 만들고 영화를 올바르게 보는 자성과 노력이 필요한 것임은 부인할 수 없는 분명한 사실임을 말하고 싶다.
한편 한국영화의 발전으로 본다면 '친구' 이후 최근 줄을 잇는 조폭 영화들의 폭력성 시비에 대해 "영화 속 폭력을 사회문제와 결부시켜 해석한다는 것은 무리" 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라고 영화평론가 김시무씨는 지적했다.
8.폭력영화를 보는 또 다른 시각
지금까지 폭력영화의 단점만을 늘어놓았다. 사실 폭력영화에 단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유행처럼 이어지는 조폭영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한편에서는 같은 소재, 장르의 반복이 가져올 한국영화의 퇴보를 걱정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그런 영화에 열광하는 현상을 개탄한다. 하지만 냉정히 본다면 폭력 즉, 액션은 오락영화의 장르 중 멜로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존재이다. 사실 영화계에서 작품성을 항상 논하지만 사실 오락영화가 없다면 사람들은 영화를 멀리 할 것이다. 홍콩이나 헐리우드에서 계속 그런 영화들이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사실 폭력영화의 흥행이 커서 우리 영화계가 몰락해 보인 것이지 국내영화시장은 약간의 발전을 했다. 우리가 심각하게 받아들여 할 것은 영화 속에 표현되는 폭력에 대한 열광과 거기에서 펼쳐지는 폭력에 대한 죄의식의 상실이다. 분명 범죄이고, 악임에도 불구하고 너그럽다. 그만큼 우리사회 전반에 훨씬 추악한 폭력이 지배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꼭 물리적인 행위는 아니라도 현실이 훨씬 폭력적인데 폭력영화가 폭력을 조장한다는 것과는 반대일 것이다. 우리사회가 폭력영화를 낳고 있는지 모른다.
Ⅲ. 대안 및 결론
영상매체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 더군다나 영상매체는 활자매체와는 달리 대중에게 꽤나 수동적인 태도를 요구한다. 영화는 극장에서 꼼짝없이 2시간 동안 정해진 이야기를 받아들이길 강요당한다고도 할 수 있는 매체이다. 폭력이 만연해 있는 사회에서 폭력 영화라는 것은 단순히 현실을 반영하지 만은 않았다. 앞에서도 주지했다시피 영화란 것이 감독 개인, 창작의 자유의 소산이며 그것을 선택해서 보는 관객 또한 개인의 자유에 의한 선택이다. 그러나 실제로 악랄한 범죄가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폭력 영화에 길들여져 심각성에 대해서 모른다면 이는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가끔 뉴스에서 영화를 보고 그대로 살인을 저질렀다는 사건들이 보도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운 또한 폭력 영화의 영향을 심각하게 고려해 보아야 할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러한 영화자체를 제작해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영화를 감상하는데 있어 어느 정도 선별하는 능력이 요구되고 또한 그러한 것들에 무감각해지지 않도록 본인 스스로가 노력하는 것도 필요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대에는 폭력영화가 우리 일상의 일부가 되어 가는 경향이 짙다고 한다. 그러므로 더욱 그러지 않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영화라는 것이 지극히 사적인 섹스의 범주라던가 법에 의해 터부시 된 폭력의 소재를 담고 있어 그것을 통해 관객이 대리 만족의 쾌감을 느끼며 그것을 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현실과 영화의 경계를 분명히 구분할 줄 아는 지성인이란 사실 또한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홍수같이 쏟아지는 영화의 대부분이 그런 내용이며 소위 흥행하는 영화모두가 선정적인 내용과 폭력을 담고 있다면 그 속에 계속 노출되어 있는 사람들의 무뎌지는 그 경계의 벽이 걱정되지 않을 수 없다. 위에서 이야기한 내용에서 보듯 늦었지만 이제 그런 영화의 심각성이나 문제점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고, 영화를 올바르게 만들고 영화를 올바르게 보는 자성과 노력이 필요한 것임은 부인할 수 없는 분명한 사실임을 말하고 싶다.
추천자료
영화학개론 과목의 레포트중 영화와 패러디
최악의 액션영화 방탄승(영화감상문)
'영화는 영화다' 를 보고
레옹영화감상문[레옹감상문][레옹의인물분석적감상문][영화레옹][레옹]
난징영화분석,난징,영화분석,난징분석,루추안감독
최근_상영되었던_영화_도가니의_내용을_사례로_아래의_실천적_방법_중_한가지를_선택하여 영...
[영화 속 미혼모 문제 해결방안] 미혼모 문제의 심각성과 원인 및 영화로 살펴본 미혼모 문제...
[영화감상문] 영화 『지옥의 묵시록 : 리덕스 (Apocalypse Now) 1979』를 보고
영화 “엘리펀트 (Elephant) 2003”속 청소년의 품행장애 분석 - 영화 엘리펀트 줄거리와 등장...
해바라기 영화 감상문 (해바라기 영화감상문, 해바라기 감상문,해바라기 독후감,해바라기 줄...
‘영화 속 교육철학’ - 영화 ‘Lean On Me(고독한 스승)’ 속 교육철학에 대하여 -
영화 굿 윌 헌팅을 감상하고 영화 속에서 묘사된 문제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을...
범죄영화 속 피해자의 심리분석 - 영화제목 : 『신세계 (New World) 2012』 _ 피해자 : 이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