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구의 구성
-연구의 방법
-TV 광고 텍스트 분석
-심층 인터뷰
-설문조사
-연구의 결과
-문화욕구의 미래
-연구의 방법
-TV 광고 텍스트 분석
-심층 인터뷰
-설문조사
-연구의 결과
-문화욕구의 미래
본문내용
이 거시적인 방법론이나 해석법을 택하지 않는다는 것은 앞으로도 응용적인 연구에서 인류학적 관점이 크게 기여를 못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겠다.
추상화/구체화 : 연구 결과의 해석
연구의 결과를 해석하여 해당 부서에 전달하는 것은 포스터도 주지했듯이(Foster 1969: 39-54) 응용 연구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들이 훈련받은 인류학을 포함한 모든 학문에서 마찬가지이겠지만 학문적인 접근은 구체적 현실을 추상화하며 이론을 정립하는 것이며 이러한 방면에 꽤나 익숙해져 있다. 즉 앞의 연구에서도 알 수 있듯이 "노래방을 좋아하는 것"을 "퍼포먼스의 욕구"로 요즘 흔히 눈에 띄는 "머리를 부분 염색한 것"을 "불균형의 심미 욕구"라는 식으로 추상화해 나가는 것이 학문적 접근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응용연구는 그결과를 사용해야 하는 고객이 어떤 것을 요구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고 많은 경우 고객은 실제적으로 문제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요구하는 것이다.
위의 연구와 연관하여 예를 들자면 문화를 연구하는 인류학자들은 흔히 "요즘 IMF 구제금융 체계의 영향때문에 전통으로 돌아가자는 욕구가 많다"고 할 수 있겠지만 이는 응용연구를 실생활에 적용하려는 부서에게는 알려주는 것이 아무것도 없는 것이다. 응용연구의 고객이 원하는 것은 그렇다면 "한복을 만들까?" "한국 전통을 바탕으로 한 테마파크를 운영할까?" 아니면 "'시골생활 3일'과 같은 팩키지 여행상품은 어떨까?" 등으로 구체화되며 "'시골생활 3일'이라고 했을 때 어떤 이벤트로 어느곳으로 여행을 구성하나?"에 대한 해답이 나와야지만 응용연구의 결과를 실제적으로 가시화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는 것이다.
위의 보기에서는 "전통에의 욕구"가 가장 추상적인 해석이며, "시골생활 3일"이란 아이디어는 중간 정도이며, 실제 "시골생활 3일의 구성"이 가장 구체적 수준의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경우 응용연구의 결과를 실제 상황에 적용하고자 하는 고객들이 원하는 가장 구체적인 수준의 해석은 인류학자나 다른 인문사회과학자들이 잘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요구되지도 않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실제 사업 일선의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반면 인문사회과학자들이 흔히 제시하는 가장 추상적인 수준의 결과를 제시하는 것은 아무런 효용성이 없기에 최근까지도 사적 부문에서 인류학을 포함한 인문사회과학적 연구를 필요로 하지 않았는지도 모르는 것이다. 따라서 응용연구의 결과를 실제에 적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입장을 생각하면 연구결과를 어느정도는 구체적으로 해석해 주는 것이 필수적이며, 그렇게 되어야지만 성공적인 응용연구라고 할 수 있으며 기업과 같은 사적부문에서도 인류학이나 기타 인문사회과학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요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 문헌
김성철, 최우영, 박현귀, {정보사회/문화시대의 문화욕구 전망}(LG커뮤니카토피아연구소 연구보고서).
Fell, Kathleen, Elizabeth Briody, and Tomoko Hamada, "Evaluating the Impact of Anthropologists on Private Sector Firms", Abstracts of the 96th Annual Meeting,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Foster, George M., Applied Anthropology,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Webster, Frank, Theories of the Information Society,(조동기역 {정보사회이론}, 사회비평사)
추상화/구체화 : 연구 결과의 해석
연구의 결과를 해석하여 해당 부서에 전달하는 것은 포스터도 주지했듯이(Foster 1969: 39-54) 응용 연구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들이 훈련받은 인류학을 포함한 모든 학문에서 마찬가지이겠지만 학문적인 접근은 구체적 현실을 추상화하며 이론을 정립하는 것이며 이러한 방면에 꽤나 익숙해져 있다. 즉 앞의 연구에서도 알 수 있듯이 "노래방을 좋아하는 것"을 "퍼포먼스의 욕구"로 요즘 흔히 눈에 띄는 "머리를 부분 염색한 것"을 "불균형의 심미 욕구"라는 식으로 추상화해 나가는 것이 학문적 접근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응용연구는 그결과를 사용해야 하는 고객이 어떤 것을 요구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고 많은 경우 고객은 실제적으로 문제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요구하는 것이다.
위의 연구와 연관하여 예를 들자면 문화를 연구하는 인류학자들은 흔히 "요즘 IMF 구제금융 체계의 영향때문에 전통으로 돌아가자는 욕구가 많다"고 할 수 있겠지만 이는 응용연구를 실생활에 적용하려는 부서에게는 알려주는 것이 아무것도 없는 것이다. 응용연구의 고객이 원하는 것은 그렇다면 "한복을 만들까?" "한국 전통을 바탕으로 한 테마파크를 운영할까?" 아니면 "'시골생활 3일'과 같은 팩키지 여행상품은 어떨까?" 등으로 구체화되며 "'시골생활 3일'이라고 했을 때 어떤 이벤트로 어느곳으로 여행을 구성하나?"에 대한 해답이 나와야지만 응용연구의 결과를 실제적으로 가시화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는 것이다.
위의 보기에서는 "전통에의 욕구"가 가장 추상적인 해석이며, "시골생활 3일"이란 아이디어는 중간 정도이며, 실제 "시골생활 3일의 구성"이 가장 구체적 수준의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경우 응용연구의 결과를 실제 상황에 적용하고자 하는 고객들이 원하는 가장 구체적인 수준의 해석은 인류학자나 다른 인문사회과학자들이 잘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요구되지도 않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실제 사업 일선의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반면 인문사회과학자들이 흔히 제시하는 가장 추상적인 수준의 결과를 제시하는 것은 아무런 효용성이 없기에 최근까지도 사적 부문에서 인류학을 포함한 인문사회과학적 연구를 필요로 하지 않았는지도 모르는 것이다. 따라서 응용연구의 결과를 실제에 적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입장을 생각하면 연구결과를 어느정도는 구체적으로 해석해 주는 것이 필수적이며, 그렇게 되어야지만 성공적인 응용연구라고 할 수 있으며 기업과 같은 사적부문에서도 인류학이나 기타 인문사회과학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요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 문헌
김성철, 최우영, 박현귀, {정보사회/문화시대의 문화욕구 전망}(LG커뮤니카토피아연구소 연구보고서).
Fell, Kathleen, Elizabeth Briody, and Tomoko Hamada, "Evaluating the Impact of Anthropologists on Private Sector Firms", Abstracts of the 96th Annual Meeting,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Foster, George M., Applied Anthropology,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Webster, Frank, Theories of the Information Society,(조동기역 {정보사회이론}, 사회비평사)
추천자료
문헌정보연구의 이론 활용성 분석
[광고기획][광고기획서][광고기획서 작성][광고기획서 작성시 유의사항]광고기획의 흐름, 광...
텍스트 분석 - 수용성측면 - ( 김춘수의 꽃을 중심으로)
[경영학/광고론A+]한국과 미국의 브랜드 인쇄광고 분석통한 정보내용과 표현전략 광고소구 국...
이효석 『메밀꽃 필 무렵』- 텍스트 분석 -
[광고효과측정][측정지표][방송광고][인터넷광고][기사식 광고]광고효과측정과 측정지표, 광...
[광고표현, 광고표현 정의, 광고표현 기능, 광고표현 종류, 광고표현 필요성]광고표현의 정의...
[기업스포츠광고][기업]기업스포츠광고의 효율성, 기업스포츠광고의 스폰서십(스폰서쉽), 기...
중등교원의 행정업무 부담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한국교육종단연구의 위계적 선형모형 ...
가요텍스트 분석
처음처럼 제품분석과 브랜드분석 & 처음처럼 마케팅전략과 SWOT분석 & 처음처럼 광고...
[문학교육론] 문학 텍스트 광고의 호소 전략 - 구성 형식(줄거리와 외부 평가, 작가 이미지와...
[사회복지 자료분석] 감정상황에 따른 음주실태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