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론
1. 텍스트의 갈래
2. 텍스트 해석 이론
2.1. 행위 참여자의 인지적 평가
2.2 텍스트수용 전략
3. 김춘수의 詩 세계의 전반적 특징
4. 김춘수 ‘꽃’ 분석
4.1 원문
4.2 내적 의미
4.3 내용 구조
Ⅲ. 결론
김춘수 ‘꽃’ 의 수용 전략
Ⅳ. 참고문헌 및 출처
Ⅱ. 본론
1. 텍스트의 갈래
2. 텍스트 해석 이론
2.1. 행위 참여자의 인지적 평가
2.2 텍스트수용 전략
3. 김춘수의 詩 세계의 전반적 특징
4. 김춘수 ‘꽃’ 분석
4.1 원문
4.2 내적 의미
4.3 내용 구조
Ⅲ. 결론
김춘수 ‘꽃’ 의 수용 전략
Ⅳ.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현상
꽃
현존재
눈짓
영원한 실재
4.3 내용 구조
<꽃>은 주체가 개입하여, 즉 명명이라는 언어행위에 의해 대상에 대한 인식의 과정을 각 시행을 통해 논리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래서 대부분의 다른 시들처럼 꽃이 아름답다는 미의식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존재자의 근거인 존재로서의 ‘꽃’이다. 다시말해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어 나에게로 온 꽃은 ‘현존재’를 상징화한 것이다.
이 시에서, 명명행위의 대상 및 소망의 주체가 A,B 연에서 ‘그’이고, C연에서 ‘나’, D연에서는 ‘우리’로 바뀌어져 가고 있는데, 이 시에서 ‘우리’는 등장인물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우리={나+너+그+그+ 그}의 구성일 것이다. 김광희, 『인칭대명사의 조응현상에 대하여』, 『국어학』22, 국어학회, 1992
그래서, 이 시의 전체 내용 구조 면에서 ‘그→나→우리’로 인칭의 변증법적 상승구조를 알 수 있다.
또한, 상위문의 동사에서 알 수 있는 시제에 있어서도 ‘과거→현재→미래’라는, 과저와 현재가 미래를 지향하는 시간의식으로써 의미의 무게도 미래에 놓인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S,S, S,S에서 ‘그’라는 3인칭 대명사가 S에서 ‘너’라는 2인칭 대명사로 바뀜으로써 ‘그와너’의 패러다임은 ‘나’의 인식과 관련하여 ‘몸짓→꽃→눈짓’ 으로 구체화, 발전해 간다. 그래서 세계 혹은 대상이라 할 수 있는 ‘그와 너’ ‘나’와의 관계는 현상(비인식)→ 현존재(인식)→ 영원한 실재(공동인식)의 차원으로, 의미의 변증법적인 상승 작용을 가져 오고 있다.
Ⅲ. 결론
김춘수 ‘꽃’ 의 수용 전략
지금까지 텍스트의 수용 전략에 대한 이론과, 김춘수 꽃을 통해 살펴본 원문, 그리고 내적 의미와 내용 구조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이것은 수용 전략을 살피기 위해 시의 내적 의미와 내용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따라서 수용전략은 이 두 가지를 바탕으로 하여 결론을 지은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결국 김춘수의 ‘꽃’ 은 수용 전략에 있어서 명명행위로 하여금 수용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대상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명명행위에 있는 것이고 그것으로 하여금 수용자는 그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처음부터 대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내가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꽃이 되었다’ 라는 것을 통해 대상의 존재를 더욱 부각시켜 주고 있다. 텍스트의 수용전략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내용의 의미파악을 해야하겠다. 그 텍스트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서 수용자는 텍스트를 해석하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점에서 이 김춘수의 ‘꽃’ 이라는 텍스트는 명명행위로 하여금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할 수 있겠다.
Ⅳ. 참고문헌 및 출처
볼프강 하이네만, 『텍스트 언어학 입문』역락, 2001
고영근,『텍스트 이론』, 아르케, 1999
고경희,『김춘수 시의 언어기호학적 해석-<꽃Ⅱ>, <꽃>,<꽃을 위한 序詩>를 중심으로』, 건국대교육대학원, 석사, 1993
함종호, 『김춘수 무의미시의 발생과 구성원리』, 서울시립대학원, 석사, 2003
꽃
현존재
눈짓
영원한 실재
4.3 내용 구조
<꽃>은 주체가 개입하여, 즉 명명이라는 언어행위에 의해 대상에 대한 인식의 과정을 각 시행을 통해 논리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래서 대부분의 다른 시들처럼 꽃이 아름답다는 미의식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존재자의 근거인 존재로서의 ‘꽃’이다. 다시말해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어 나에게로 온 꽃은 ‘현존재’를 상징화한 것이다.
이 시에서, 명명행위의 대상 및 소망의 주체가 A,B 연에서 ‘그’이고, C연에서 ‘나’, D연에서는 ‘우리’로 바뀌어져 가고 있는데, 이 시에서 ‘우리’는 등장인물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우리={나+너+그+그+ 그}의 구성일 것이다. 김광희, 『인칭대명사의 조응현상에 대하여』, 『국어학』22, 국어학회, 1992
그래서, 이 시의 전체 내용 구조 면에서 ‘그→나→우리’로 인칭의 변증법적 상승구조를 알 수 있다.
또한, 상위문의 동사에서 알 수 있는 시제에 있어서도 ‘과거→현재→미래’라는, 과저와 현재가 미래를 지향하는 시간의식으로써 의미의 무게도 미래에 놓인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S,S, S,S에서 ‘그’라는 3인칭 대명사가 S에서 ‘너’라는 2인칭 대명사로 바뀜으로써 ‘그와너’의 패러다임은 ‘나’의 인식과 관련하여 ‘몸짓→꽃→눈짓’ 으로 구체화, 발전해 간다. 그래서 세계 혹은 대상이라 할 수 있는 ‘그와 너’ ‘나’와의 관계는 현상(비인식)→ 현존재(인식)→ 영원한 실재(공동인식)의 차원으로, 의미의 변증법적인 상승 작용을 가져 오고 있다.
Ⅲ. 결론
김춘수 ‘꽃’ 의 수용 전략
지금까지 텍스트의 수용 전략에 대한 이론과, 김춘수 꽃을 통해 살펴본 원문, 그리고 내적 의미와 내용 구조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이것은 수용 전략을 살피기 위해 시의 내적 의미와 내용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따라서 수용전략은 이 두 가지를 바탕으로 하여 결론을 지은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결국 김춘수의 ‘꽃’ 은 수용 전략에 있어서 명명행위로 하여금 수용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대상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명명행위에 있는 것이고 그것으로 하여금 수용자는 그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처음부터 대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내가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꽃이 되었다’ 라는 것을 통해 대상의 존재를 더욱 부각시켜 주고 있다. 텍스트의 수용전략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내용의 의미파악을 해야하겠다. 그 텍스트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서 수용자는 텍스트를 해석하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점에서 이 김춘수의 ‘꽃’ 이라는 텍스트는 명명행위로 하여금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할 수 있겠다.
Ⅳ. 참고문헌 및 출처
볼프강 하이네만, 『텍스트 언어학 입문』역락, 2001
고영근,『텍스트 이론』, 아르케, 1999
고경희,『김춘수 시의 언어기호학적 해석-<꽃Ⅱ>, <꽃>,<꽃을 위한 序詩>를 중심으로』, 건국대교육대학원, 석사, 1993
함종호, 『김춘수 무의미시의 발생과 구성원리』, 서울시립대학원, 석사, 2003
추천자료
엔씨소프트 분석
범주형자료분석 - 함평나비축제
구조적분석
제주도 SWOT분석과 제주관광 활성화 방안
화용 전략 분석 - '푸른 밤 그리고 성시경 입니다'
화용론의 종합적 분석 - '100인 토론,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신문 표제의 분석 - 수사학, '별 거 아니다'
담화 분석 - 점원과 고객과의 대화
대국민 담화문 분석
텍스터 분석 - KBS 남희석, 최은경의 여유만만
<영화포스터의 기호학적분석>'오!수정'이항대립쌍을 중심으로
구글,구글경영전략,구글경영분석,구글위험요인,구글경영환경,구글경쟁우위,구글서비스분석,구...
빅데이터(big data) 개념분석과 빅데이터 기업활용사례(SK텔레콤)분석 및 빅데이터 향후전망...
CJ E&M(Entertainment& Media) 기업분석과 미래전략 - CJ E&M의 사업분야,비즈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