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터 분석 - KBS 남희석, 최은경의 여유만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텍스트 분석
2.1. 분석 텍스트
2.2. 분석
2.2.1. 화용통사론적 분석
2.2.2. 화용담화적 분석
2.2.2.1. 담화표지
2.2.2.2. 화용의 전략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화제 돌리기 전략을 사용하였다.
예)80. 최은경 : 아유, 코치님 결혼했댜. 아니, 왜냐면 이용대 선수가 딱 누웠을 때 가서 이 렇게 가갔고 이렇게 안는 모습부터 앉아계시는 모습. 그게 제가 어떻게 보 면 이제까지 배드민턴 좀 문외한이라 할 수 있었던 게, 궁금했던 게 코치님 은 계속 화면에 나오는데 감독님은 어디 계셨어요?
·동정심 유발 전략
경험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불우한 징크스가 있다는 것을 말하고자 이러한 전략을 사용하였다.
예)81. 김중수 : 저는 지금 올림픽을 5회를 나갔었거든요. 92년 바르셀로나 합쳐서. 근데 징크스가 하나 있어가지고. 꼭 플로어에 제가 나가면은 금메달을 못 따요.
(3) 대화 태도 전략
·강경한 태도 전략
자신의 아들이 남들과는 다르고 착실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강경한 태도를 취하였다.
예)111. 이애자 : 아니요, 전혀 없었어요. 제가 봐도요, 없더라구요.
·유화적인 태도 전략
긴장된 발화 상황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출연자들이 편안한 분위기에서 인터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개그맨인 남성 사회자가 주로 사용하는 전략이다. 익살스럽고 재미있는 형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9. 남희석 : 예, 형제래도 믿겠어요.
43. 남희석 : 오늘 진짜 다른 질문 할게요. 얼마나 많이 들었겠어, 똑같은 거.
137. 남희석 : 왕자병은 아니구요?
·무시하기 전략
친분 관계가 있는 사회자끼리 서로 무시하는 태도를 보여 상대적으로 출연자들을 치켜세워주는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였다.
예)76. 최은경 : 그게 새로운 질문이야? 그게 새로운 질문?
79. 남희석 : 아니, 방송을 그런 식으로. 코치님 맘에 든다고 코치님을 자꾸 가리킬라 그래. 아니, 감독님이 이용대, 이용대 하고 있는데 혼자 뭐라는 줄 알아 요? 배드민턴 보다말고 ‘코치, 코치, 코치.’ 죽는 줄 알았어요, 그거 쳐다 보다가. 아니, 왜 그래요? 코치님 인사 좀 나누세요.
(4) 대화 방법 전략
·강조 전략
아들의 능력과 인기를 강조하기 위하여 플랜카드의 직접적인 개수를 제시하였다.
예)54. 이애자 : 예, 또 플랜카드도 그냥 거리거리마다 이렇게 도로변에 엄청 한 오십 개 정도 되어 있습니다, 예.
·비껴가기 전략
자신이 원치 않는 질문, 난감한 질문을 받고 단언적으로 답을 하기가 곤란하여 얼버무리며 넘어가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예)106. 남희석 : 이효정 선수. 커플이 되면?
107. 이애자 : 아직 어려서 생각을 못 해봤어요.
·관심을 딴 데로 돌리기 전략
자신에게 불리한 상황에서 사람들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하여 이러한 전략을 사용하였다.
예)80. 최은경 : 아유, 코치님 결혼했댜. 아니, 왜냐면 이용대 선수가 딱 누웠을 때 가서 이 렇게 가갔고 이렇게 안는 모습부터 앉아계시는 모습. 그게 제가 어떻게 보 면 이제까지 배드민턴 좀 문외한이라 할 수 있었던 게, 궁금했던 게 코치님 은 계속 화면에 나오는데 감독님은 어디 계셨어요?
·예시 전략
난감한 질문에 선뜻 대답을 하지 못하는 출연자를 위해 사회자가 답을 될 수 있는 예시들을 제시하였다.
예)118. 최은경 : 어떻게 나왔어요? 사춘기 때 나오는 행동들이 여러 가지가 있잖아요.
119. 남희석 : 사랑도 있을 수 있고.
120. 최은경 : 일탈도 있을 수 있고.
·인용 전략
자신의 발언에 대해 타당성을 더욱 부여하기 위하여 익히 들어본 말을 인용하였다.
예)135. 남희석 : 아니, 솔직히 아니 ‘지나친 겸손은 뭐, 위선이다.’ 그런 말도 있지만 이용 대 선수는 가방에 이렇게 ‘잘생긴 용대’라고 써있다는 게 사실입니까?
3. 결론
·화용 장르 : 방송 인터뷰
·참여자 : 사회자(최은경, 남희석), 운동선수(이용대), 운동선수의 부모(이자영, 이애자), 감독(김중수), 코치(이동수)
·주제 :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이용대의 모든 것
·인터뷰 내용 : 이용대가 배드민턴을 시작하게 된 계기, 이용대가 금메달을 따기까지 훈 련한 과정, 이용대의 좌절, 이용대의 넉넉하지 못한 집안 사정, 이용대의 효심, 이용대의 연애 경험, 이용대의 앞으로의 꿈 등 이용대가 금메달을 딸 수 있었던 원동력과 그 외 신변잡기적인 내용
·화용의 특징 : 발언이 객관적이고 논리적이기보다는 주관적이고 신변잡기적임. 한 사람 이 오래 발언하기보다는 짤막한 문답을 주고받고 있음. 사회자가 분위기 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재치 있는 발언을 많이 함. 출연자의 체면을 세워 주는 발언을 많이 함.
·화용의 전략 : 순서 교대 전략(순서에 따르기 전략, 끼어들기 전략), 대화 내용 전략(칭 찬 전략, 격려 전략, 비판 전략, 설득 전략, 화제 돌리기 전략, 동정심 유 발 전략), 대화 태도 전략(강경한 태도 전략, 유화적인 태도 전략, 무시하 기 전략), 대화 방법 전략(강조 전략, 비껴가기 전략, 관심을 딴 데로 돌 리기 전략, 예시 전략, 인용 전략)
방송 인터뷰는 사회자가 출연자에게 특정한 질문을 하고 출연자는 즉각적으로 그에 맞는 대답을 해야 하므로 말이 무의식적으로 튀어나올 수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공식적인 자리임에도 토론이나 선언, 무대 인사 등에 비해 자연스러운 대화 상황이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연구 자료로 쓰인 방송 인터뷰에는 전문 사회자, 개그맨, 운동선수, 일반 대중 등 여러 사람들이 등장한다. 따라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대화 상황보다 더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이 어떠한 언어를 사용하는지 면밀히 살펴볼 수 있었다. 화용통사론적으로 분석했을 때 어미로는 비격식체의 두루 높임인 해요체가 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자연스러운 대화 상황을 연출하고 있기 때문에 어색한 문장들이 연결, 반복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발언 방해나 끼어들기, 사회자의 해설성 개입도 나타났다. 한편, 화용담화적으로 분석했을 때 담화 표지로는 전체적으로 답변 사용이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출연자에게 대해서 많은 것을 알아내기 위해 다양한 화용 전략이 구사되었다.
※참고 문헌
박영순, 한국어 화용론, 박이정, 2007
http://www.kbs.co.kr/2tv/enter/reserve/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12.2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78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