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돼지염색체(pig chromosomes)
PSS돼지의 증상
PSE돈육발생원인
PSE돈육발생률
PSE돈육의 육질비교
PSS의 발현 기작
PSS돈육 진단법
재래돼지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References)
본론
돼지염색체(pig chromosomes)
PSS돼지의 증상
PSE돈육발생원인
PSE돈육발생률
PSE돈육의 육질비교
PSS의 발현 기작
PSS돈육 진단법
재래돼지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References)
본문내용
97) 새로운 돼지 사육기술. pp.142-149.
2. 농촌진흥청 (2001) 재래돼지. pp. 48-49.
3.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2003년 4월) 양돈 생산성 향상 및 돈육 품질개선 방안. pp. 37-39.
4.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2006년 4월) 한국 재래돼지 보존과 이용방안 심포지엄. pp. 8-16.
5. 미국곡물협회 (2000) 돼지사양가이드. pp. 270-274.
6. 선진문화사 (1998) 양돈학. pp.82-89.
7. 축산기술연구소(2002) 새로운 돼지 사육기술. pp.9-12. 8.축산연구소 (2005) 고품질 돼지고기 생산 지침서. pp. 9-12.
8.축산연구소 농촌진흥청 (2006년 3월) 고품질 돈육생산을 위한 PSE돈육 발생 감소 현장적용 및 육색 개선 기술개발. pp. 13-16.
9.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 12월) 한국축산식품학회지. pp. 349-354.
10.대한양돈협회 http://www.koreapork.or.kr/)
11. Fujii, J., Otsu, K., Zorzaton, F., De Leon, S., Khanna, V. K., Weiler, J. E., O' Brien, P. J., and MacLennan, L.(1991) Identification of a mutation in porcine ryanodine receptor associated with malignant hyperthermia. Science 253, 448-451.
12. Orita, M., Suzuki, Y., Sekiya, T., and Hayashi, K. (1989) 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of point mutations and DNA polymorphism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Genomics 5, 874-879.
13. Scott Purcell, C. M. Wood. (2001) PSS and Show Pigs. Animal & Poultry Sciences, VA Tech, Livestock Update, December 2001
web1. http://www.thepigsite.com/diseaseinfo/89/porcine-stress-syndrome-pss
web2. http://www.imgge.bg.ac.yu/services/porcine.htm
2. 농촌진흥청 (2001) 재래돼지. pp. 48-49.
3.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2003년 4월) 양돈 생산성 향상 및 돈육 품질개선 방안. pp. 37-39.
4.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2006년 4월) 한국 재래돼지 보존과 이용방안 심포지엄. pp. 8-16.
5. 미국곡물협회 (2000) 돼지사양가이드. pp. 270-274.
6. 선진문화사 (1998) 양돈학. pp.82-89.
7. 축산기술연구소(2002) 새로운 돼지 사육기술. pp.9-12. 8.축산연구소 (2005) 고품질 돼지고기 생산 지침서. pp. 9-12.
8.축산연구소 농촌진흥청 (2006년 3월) 고품질 돈육생산을 위한 PSE돈육 발생 감소 현장적용 및 육색 개선 기술개발. pp. 13-16.
9.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 12월) 한국축산식품학회지. pp. 349-354.
10.대한양돈협회 http://www.koreapork.or.kr/)
11. Fujii, J., Otsu, K., Zorzaton, F., De Leon, S., Khanna, V. K., Weiler, J. E., O' Brien, P. J., and MacLennan, L.(1991) Identification of a mutation in porcine ryanodine receptor associated with malignant hyperthermia. Science 253, 448-451.
12. Orita, M., Suzuki, Y., Sekiya, T., and Hayashi, K. (1989) 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of point mutations and DNA polymorphism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Genomics 5, 874-879.
13. Scott Purcell, C. M. Wood. (2001) PSS and Show Pigs. Animal & Poultry Sciences, VA Tech, Livestock Update, December 2001
web1. http://www.thepigsite.com/diseaseinfo/89/porcine-stress-syndrome-pss
web2. http://www.imgge.bg.ac.yu/services/porcine.htm
키워드
추천자료
PSE돈육 발생의 원인이 되는 PSS 유전자
돼지고기 육질에 관계 있는 Rendement Napole Gene, RN Gene
소, 말, 돼지 조모색(roan) 관련 후보유전자
돼지모색 관련 후보유전자 어구티신호단백질
먹이섭취, 지방생성과 성장의 돼지형질과 관련 후보유전자 Melanocortin–4Receptor
사료섭취량, 지방, 성장과 관련되어 있는 돼지형질 후보유전자, Melanocortin - 4 Receptor(M...
돼지모색과 관련 후보유전자 ASIP(Agouti signalling protein)
PSE돈육 발생의 원인이 되는 PSS 유전자
PSS유전자 보유 돼지 설명 보조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