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토로라의 ‘슬림’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토로라의 ‘슬림’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모토로라 선정배경 or 동기

2. 휴대폰 시장
-현황
-국내 & 세계 휴대폰 시장 점유율(2000~2006년)
3. 모토로라의 부진 이유
-신제품 / 신개발 투자 미비
-부실한 서비스
-브랜드 이미지의 구축 실패

4.모토로라의 ‘슬림’전략
-SWOT 분석 -S T P 분석
-마케팅믹스(4Ps) -슬림화 -‘슬림’전략

5. 모토로라의 '슬림'전략 성과

6. 문제점 및 개선방안

7. 결론

본문내용

트렌드인 슬라이드 타입의 초슬림폰 시장에서는 삼성전자 등 국내 업체들에 밀려, 맥을 못 추고 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지난 3월 국내 첫 시판에 들어간 'Z(모델명 MS600)'의 지난달 말 기준 일 평균 판매량은 1000대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 제품인 삼성의 '효리 슬림 슬라이드폰(모델명 SCH840)'의 일평균 판매량 2500대와 비교하면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는 셈이다. LG전자, 팬택 계열 등 다른 경쟁제품과 비교해도 판매량이 뒤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토로라가 `Z`에 거는 기대는 크다. 모토로라의 최 전성기를 이끌었던 아날로그 휴대전화 `스타텍`의 영광을 재현한 `레이저`의 바통을 `Z`가 이어받을 것으로 기대, 국내 시장 광고 및 마케팅에 이례적으로 적잖은 비용을 쏟아 붓고 있다. 출시 이전부터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평가와 미국 본사 및 주요 전략지역에서의 제품 품평회에서 디자인과 기능측면에서 모두 매우 우수한 제품으로 평가 받았다. 모토로라 측은 레이저에 이어 또 다른 대박 신화를 자신한 제품이라고 주장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점은 Z는 모토로라 CDMA 글로벌 전진기지인 모토로라코리아에서 상품기획에서 연구개발,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전 부문을 진행했다는 것이다. Z에 대한 기대 이하의 소비자 반응에도 불구하고, 레이저(모델명 MS500)는 현재 일 평균 2700대의 높은 판매량을 이어가고 있다. Z의 부진을 오히려 지난해 선보인 구 모델 레이저가 만회하고 있어 더 이채롭다. 하지만 선진시장에서 슬림화가 휴대폰의 기본 요건으로 자리 잡게 되면 슬림화가 신규 가치 창출 요인으로서 갖는 영향력은 점차 감소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모토로라가 누렸던 선도자의 이익을 향유하려면 슬림화 이후 소비자들에게 가치를 제공할 새로운 요인을 발굴해야 할 것이다.
6.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철저한 소비자 조사를 통한 선택과 집중의 제품이 필요하다.
스타택2004, 스핀모토(ms280)의 성공적인 비즈니스 사례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한 제품 기획과 마케팅에서 비롯됐다. 점점 가라 앉아 가는 모토로라코리아의 구원투수로 미국 본사에서 투입된 진 사장은 부임한 지난 2002년 말부터 2003년 상반기까지 한국 시장에 대한 철저한 시장 및 소비자 조사를 마쳤다. 진 사장은 “이후 최신 기능으로 무장한 휴대폰이 아닌 세련된 디자인과 일반적으로 유행하는 휴대폰 트렌드와 구별될 수 있는 차별성 있는 휴대폰을 한국의 소비자들이 원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처럼 철저한 시장 및 소비자 조사, 소비자 니즈를 기반으로 한 신제품 준비하고 이를 출시한 덕에 한국시장 점유율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 제품의 종류를 확대한다.(R&D투자 비중 확대, 수익 모텔 창출)
모토로라는 제품의 종류 확대의 필요를 한다. 삼성, 엘지 등 타 메이저 회사에서는 초콜릿 폰, 블루 블랙 시리즈 등으로 계속하여 제품을 이어가고 있는데 모토로라는 이 부분에서 많이 부진하다. 그래서 R&D부분 투자 비중 확대하고 이를 통해 더 많은 수익성 있는 모텔을 창출할 필요가 있다.
- 각 소비층(가격, 성별, 나이)에 맞는 제품을 출시한다.
모토로라의 휴대폰 가격은 저가전략을 쓰고 있는 노키아의 그것보다 훨씬 부담되는 가격이다. 기능에만 충실하여 경쟁력을 높이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다른 제품과비슷한 기능에 제품가격까지 저렴하다면 더 큰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을 위해서 비용을 더 줄일 수 있는 아웃소싱역량을 키운다던지유통마진을 조금이라도 줄여서 가격을 낮추어야 할 것이다. 현재의 모토로라의 타겟은 20~30대의 남성이 위주이다. 예전에는 휴대폰이 자신의 일이 있어서 항상 연락망이 필요한 회사원이나 사업가 위주의 사람들에게 소비되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시장의 성향이 많이 바뀌었다. 무엇보다 휴대폰의 디자인이나 광고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구매를 조장하는 사람은 대부분의 20~30대의 여성이다. 최근핑크 레이저폰이 우리나라에서 대박이 난 것은 얇고 사랑스러운 색깔이 우리나라 여성 소비자들을 유혹할 수 있어서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계기로 이제는 20~30대 여성들을 유혹할 수 있는 제품 출시에 더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A/S센터는 고객이 쉽게 접할 수 있게 한다.
모토로라하면 잦은 고장과 부실한 A/S로 잔고장이 없고 튼튼한 애니콜 제품보다 국내인지도가현저히 낮다. 그것을 개선하기 위해 제품 생산과정부터 잔 고장이 없도록 6시그마에 선도자 맞게 품질관리를 기울기 해야 한다. 그리고 모토로라 직영점과 A/S센터를 만들어서 고객들이 접하기 쉽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고객을 만족하기 위해서 A/S센터는 양뿐만 아니라 질적으로 더 신경이 써야한다.
- 브랜드 인지도를 높인다.(광고)
한국 내에서는 모토로라의 인지도가 그다지 높지는 않는다. 인지도 높이기 위해서 여러 매체를 활용한다.(TV, 신문, 잡지, on-line과 off-line등)
7. 결론
세계흐름 읽기를 거부하고 ‘스타택’이라는 과거의 명성에 자만하며 제품개발에 소홀했던 모토로라는 하락세를 이어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최근 슬림화의 트렌드를 남들보다 먼저 발견하고 개발함으로써 제 2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 그러나 이런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시장의 흐름을 잘 읽고 소비자의 WANT를 잘 파악하여 제품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국내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잦은 고장과 불만족스러운 A/S를 개선해야만 한다. 국내의 모토로라의 이미지는 현재 핑크 레이저폰의 성공으로 많이 나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고장이 잘 나고 고치기 번거로운 휴대폰이라는 인식이 크게 자리 잡고 있다. 항상 어느 지역의 소비자든 다 같은 성향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특히 우리나라의 애니콜과 싸이언과 같은 국내기업의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국내의 까다로운 소비자들에게는
모토로라는 서비스가 형편없는 휴대폰으로 인식될 수밖에 없다. 국내의 소비자들의 휴대폰 life cycle이 짧아진 만큼 모토로라에게는 큰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시장의 흐름과 소비자의 욕구를 잘 파악하여야만 더 크게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2.05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17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