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토로라(motorola) 마케팅사례와 위험관리사례 대안전략제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토로라(motorola) 마케팅사례와 위험관리사례 대안전략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주제 및 해당 기업 선정 이유
2. 기업 개요

Ⅱ. 본론
1. 성공 분석 : 4p 분석
2. 실패 분석 : Risk management 중심
① 모토로라 실패 현황
② Risk management 의 정의
③ Risk management 의 중요성
- 위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 위기는 control 영역이다
④ Risk management 의 핵심 개념 및 모형 제시
- 경고 신호 탐지
- 위기 예방
- 위기 인지
- 위기의 억제와 회복
⑤ Risk management 개념 적용 : for 모토로라
- risk 감지의 외면과 과거 성공에 대한 집착
- 모든 가능성에 대응 실패
- 혁신에 대한 개념 혼동
- 위기에 대한 대응 실패
3. 대안 제시 : 모토로라가 나아갈 방향
- 혁신할 것인가, 모방할 것인가
- 위기관리 시스템을 디자인하라
- 고객과 진정 소통하고 있는가
- risk management 에 대한 상상력을 길러라
Ⅳ. 결론
1. 맺음말

본문내용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편해야 한다. 이렇듯 모두가 참여하여 리스크에 대한 부담감을 어느 정도 상쇄시킬 수 있다면 모토로라가 당한 정도의 충격으로부터는 자유로울 수 있을 것이다.
모든 가능성에의 대응
기업은 모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 기업을 낭떠러지로 몰고 갈 수 있는 모든 위험요소에 대해 점검하고 위기까지 발전할 수 있는 요소에 대해서는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그것만이 위기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가장 확실한 안전을 보장해준다. 이러한 모든 가능성에 대한 대비를 통해 기업은 안정된 환경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고 소비자들에게 확실한 포지셔닝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드러나지 않는 위기요소를 발견할 수 있는 충분한 상상력이 필요하다. 무엇이 위기로 될지는 신이 아니고서는 알 수 없다. 다만 위기로 발전할 수 있는 확률과 문제의 중요성을 따졌을 때 예측할 수 있다. 상상력으로 문제점을 이끌어 내고 이를 구체적으로 예측할 수 있을 때 기업은 비로소 자신들만의 창의력을 추진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는 것이다.
그러나 명심해야 하는 것은 예방이라는 것도 현실에 대한 충분한 통찰력(Insignt)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현실에 충분한 기반을 두지 않는 예측과 예방은 억측과 과잉반응에 지나지 않는다. 이는 기업의 과도한 비용지출로 연결되고 결국 기업의 비효율을 이끌어 낸다. 모토로라 역시 위기 예방에서 무시해서는 안 되는 것이 현실성이다. 여기에 중요한 귀감이 되는 것이 바로 도요타이다. 도요타에서서 팀워크는 개별 책임을 결코 보호해 주지 않는다. 개별 책임은 비난과 벌이 아니라 학습하고 성장하는 것이다. 도요타가 학습하고, 성장하는 것의 핵심은 한세이(hansei, 反省)이다. 도요타는 1994년 한세이를 미국 경영진에게 다음과 소개하였다.
“한세이 없이 카이젠은 불가능하다. 일본의 한세이 에서는 무엇인가 잘못할 때, 먼저 진정으로 슬픔을 느껴야만 한다. 그 다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래 계획을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이 유형의 실수를 결코 다시는 하지 않겠다고 마음속으로 생각한다.
냉정한 반성(한세이)를 통해 문제를 표면화하며, 대책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한세이는 기업 내의 위기의식을 조작하여 직원들을 억압한다는 식의 방식이 아니다. 자기 자신에 대한 냉정한 성찰을 통해 위기요소를 발견하고 이에 의연하게 대응하는 핵심적인 가치인 것이다.
이를 모토로라에 적용한다면 방향은 명확해진다. 예전 시장점유율 2위의 성공을 잊고 모든 가능성에 대응하라. 여기서 냉정한 반성(한세이)를 통해 자신을 객관화하고 날카로운 채찍질로 기업을 다그쳐야 한다. 그럴 때 만이 기업은 만족스러운 결과로 자신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것이다.
◎ 결론
이번 조사를 하면서 느낀 점은 Risk management는 단순히 교과서에서 다루고 지나칠 개념이 아니라는 점이다. 위기 관리는 공기와도 같다. 공기가 없으면 생명체는 죽는다. 마찬가지로 위기 관리를 하지 않는 기업은 자연의 순리에 따라 도태된다. 자신을 죽음으로 몰아 갈 수 있는 요소에 반응하지 않고 과거 성공에 안주하며 갇혀 있는 기업이 살아남는 건 소비자에겐 독(毒)이 된다. 이 점에서 위기 관리는 기업 특히 현장에서 체득해야 될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체계적인 예방시스템과 사후 위기를 위한 커뮤니케이션과 매뉴얼로 효과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 타이레놀과 도요타 같은 기업이 존경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시장에서 사라질 뻔한 위기를 극복하고 효과적인 위기관리로 시장과 고객에게 신뢰감을 주었다.
이번에 우리가 조사한 모토로라의 경우 아쉬웠던 점은 레이져 시리즈로 시장선도업체가 된 입장에서 위기 관리에 조금만 신경을 썼다면 현재와 같은 위기는 맞지 않았을 거라는 점이다. 시장의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자세를 낮춰 고객의 눈높이를 맞췄다면 노키아의 자리도 위협할 수 있었을 것이다. 위기는 단순히 불확실성의 영역이고 우리가 하던 대로만 하면 된다는 식의 안이함을 가지고 사업에 임하지는 않았나는 생각이 든다.
개인적으로 모토로라의 안이함을 이번 조사를 통해 몸소 체험하였다. 기업의 위기관리와 관련하여 모토로라 마케팅팀에 문의하여 자세한 인터뷰를 계획하였다. 현장 실무자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보고서의 완성도를 높이고 싶은 욕심도 있었고, 단순히 책을 벗어나 실제 치열한 업무를 보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 그러나 우리의 꿈은 산산이 부서졌다. 마케팅 팀에 전화하여 4~5차례 전화를 해봤지만 들어오는 대답은 “다음에 전화해주셨으면 합니다”라는 말 뿐이었다. 결국 연결이 되었지만 요번 주 인터뷰는 힘들 거 같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물론 대학생이란 위치가 높은 위치는 아니지만 잠재 고객인 이들을 귀찮게 여기는 기업의 태도를 보면서 왜 모토로라가 실패했는지 느낄 수 있는 대목이었다. 정말 그들에게 사소한 문제겠지만 반대로 뒤집어보면 위기는 사소한 문제에서 시작된다. 모토로라가 만약 우리를 환대했다면 조그만 인터뷰지만 우리는 감동했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고객 생애 가치를 그들에게 기꺼이 제공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였을 것이다. 적어도 이번 경험으로 모토로라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나빠졌으니 그들에게는 밑지는 장사(?)를 한 것 이다.
마지막으로 모토로라(motorola)에게 제안 한 가지를 하고 싶다. 시장에서 성공하고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고 싶은가? 그렇다면 자신의 motto(표어)를 ‘고객,고객,고객’으로 바꿔라. 우리 조에서 주제로 잡은 위기 관리 역시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한다면 문제는 간단해진다. 자신의 기업의 커다란 비용부담을 주진 않을까? 고객에게 나쁜 이미지를 주지 않을까? 하는 쓸데없는 질문에 시달리지 마라. 대신 고객의 입장에서 위기 관리해야 한다. 고객을 안심시키기 위해서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낼 수 있을까? 이 문제로 고객이 불안해 하지 않을까? 라는 질문을 하며 대응해야 한다. 사소하지만 이러한 마인드로 위기에 대응할 때 기업에게 위기는 극복가능한 문제로 다가온다. 이제 위기는 관리할 수 있는(Controllable)대상이 되고 그 막연히 두려움에서 벗어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할 수 있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0.08.26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82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