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L(간접광고, 제품배치) 유형, PPL(간접광고, 제품배치) 효과, PPL(간접광고, 제품배치) 활용분야, PPL(간접광고, 제품배치) 사례, PPL(간접광고, 제품배치) 활용확대, 효과적인 PPL(간접광고, 제품배치) 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PL(간접광고, 제품배치) 유형, PPL(간접광고, 제품배치) 효과, PPL(간접광고, 제품배치) 활용분야, PPL(간접광고, 제품배치) 사례, PPL(간접광고, 제품배치) 활용확대, 효과적인 PPL(간접광고, 제품배치)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PPL의 개념

Ⅲ. PPL의 등장배경

Ⅳ. PPL의 두 가지 유형

Ⅴ. PPL의 효과

Ⅵ. 국내 PPL 산업 현황
1. 국내 PPL 시장
2. 국내 PPL 대행

Ⅶ. PPL의 활용분야
1. 불특정 다수를 위한 무차별적 광고의 한계
2. 왜 PPL인가

Ⅷ. PPL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Ⅸ. win-win마케팅 전략으로 발전해 가는 영화 PPL

Ⅹ. 영화 마케팅의 프로모션 전략의 종류

Ⅺ. 사전분석과 합리적인 계약

Ⅻ. 영화 혹은 드라마 촬영 장소협찬 PPL 사례
1. 사례 1
2. 사례 2
3. 사례 3
4. 사례 4
5. 사례 5

ⅩⅢ. PPL 활용의 확대와 효과적인 PPL을 위한 방안

ⅩⅣ. 결론

본문내용

정도로 이 영화에서의 유니텔 광고는 엄청난 효과를 가지고 왔다. 소재 자체가 컴퓨터 통신을 통한 사랑을 나타내주고 있기 때문에 주 협찬사인 삼성의 유니텔이 대상이 되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할 수도 있다. 어쨌든 이 영화의 흥행의 호조에 힘입어 유니텔의 가입자수가 엄청나게 늘었고 통신상에서 채팅방이 엄청나게 붐볐다는 사실은 바로 PPL의 성공적인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접속> 아벨라 - 기아자동차
<접속>에서 전도연의 자동차인 기아자동차의 아벨라이다. 이것은 PPL이라기 보다는 영화상에 당연히 등장하는 차량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 이것 역시 기아자동차에서 정식으로 협찬을 해서 영화 속에서 상표를 비추며 간접적인 광고효과를 기대한 것이다.
<접속> 유니텔 - 삼성SDS
한석규가 청취자 신청곡을 보면서 “이거 유니텔에서 온 거죠 ?”라며 직접 유니텔이라는 상호를 언급하고 있다. 유니텔의 그 어떤 광고보다도 한석규의 말 한마디가 훨씬 더 큰 광고효과를 가져왔다. 이처럼 PPL의 한 분류로서 등장배우의 대사를 통한 노출로도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3. 사례 3
<총잡이> 타이레놀 - 한국얀센
여자 주인공인 이화란이 TV를 시청하는 장면에서 TV CF로 타이레놀 광고가 등장하는데, ‘두통약 타이레놀’이라는 대사가 2회 정도 노출된다. 이 영화는 한국얀센에서 PPL 지원을 하였고, 이 회사의 대표적인 제품인 타이레놀 상표와 한국얀센의 상호가 빈번히 노출되었다.
4. 사례 4
<닥터봉> 럭키죽염치약 - LG생활건강
남자주인공인 한석규가 극중 CF 모델로 등장해 럭키죽염치약에 대한 광고 멘트를 하는 장면이다. 극중 한석규의 역할이 치과의사로 등장하기 때문에 역할과 제품의 성격이 일치하는 PPL로 극전개와 자연스럽게 노출된 예이다.
5. 사례 5
<쉬리> 011 핸드폰
영화의 극적인 마지막 장면에서 “SK텔레콤 소리샘입니다”라는 휴대폰의 안내 목소리로 노출되는 예이다.
ⅩⅢ. PPL 활용의 확대와 효과적인 PPL을 위한 방안
PPL은 이제 영화, 드라마에 국한되지 않고 연극과 인터넷에서까지 활용되고 있다. 연극무대에서는 큰비용은 아니지만 단순 협찬차원을 넘어 연극자체의 세트와 대사와 줄거리변화에 소재로서 점차적으로 PPL이 적용되어가고 있다. ‘황구도’에서 동산 C&C의 비드 아웃 샴푸가, 그리고 올 초에 성황리에 끝난 뮤지컬 ‘더 플레이’ 에서는 웅진 식품등 약 10여개사가 제품 및 서비스가 PPL로 뮤지컬 작품 사이사이에 녹아 노출되고 있어 연극, 뮤지컬 등에도 PPL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최근 가장 뜨거운 관심매체인 인터넷에서는 드라마트가 인터넷 PPL 전용드라마인 ‘i드라마’를, SBSi는 ‘아미지몽’을 만들었으나 성공을 거두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PPL이 단순배치에서 나아가 연기자를 통한 실사용, 제품정보를 대사를 통한 표현, 기업서비스장소의 노출 및 영화와 방송드라마, 연극 등의 작품의 줄거리에서 극적인 소재로 사용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PPL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PPL이 보다 체계적인 시스템으로 소화된다면 광고의 새로운 전략으로서 활용가치는 무궁무진하며 기술과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더욱 커질 것이다.
방송에 있어서는 해당국가별로 방송법에 따라 다른 규제조치로 인해 영화처럼 활성화되고 있지는 않지만 지엽적인 파급효과는 영화보다 커 세심한 부문에서 보완조치가 이루어진다면 상대적인 부족함을 전략적인 차원에서 소화해낼 수 있다. 즉 무조건적으로 인위적이고 강제적인 노출증가법보다는 PPL제품과 해당 PPL프로그램과의 상호연결고리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거친 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PPL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도 분명 함께 하여야 한다. ‘북경반점’이라는 영화에서 거액을 들여 같은 이름의 라면을 출시한 ‘오뚜기’ 기업은 영화가 흥행에 실패하자 제품판매에서도 영화의 영향을 받아 고전하였던 사례가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허술함과 지나친 과욕의 PPL은 앞뒤가 전도된 PPL이다. 소비자들은 프로그램을 보면서 그 속에 녹아있는 PPL을 느끼는 것이지 광고를 보기 위해 영화나 드라마를 보지는 않는다는 것을 분명 알고 있으면서 우리는 잘 지켜나가지 못하고 있다.
최근 들어 국내제작의 영화와 드라마가 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수출되어 국내제작의 영화, 드라마에서도 동남아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세계화를 향한 국내기업의 글로벌 마케팅에 계기를 마련하는데 큰 매체로 자리잡아 나가고 있다. PPL이 자연스럽게 녹아 있을 때 그 진가를 발휘할 수 있으며 영화나 드라마의 맥을 끊거나 도드라질 때 작품완성도를 떨어뜨림은 물론 제품 호감도에 미칠 우려가 크다. 또 한편으로는 그 관심집중분양에 PPL이 작품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가운데 PPL을 시행할 수 있는 프로듀서들의 감각이 함께 조화된다면 PPL이야말로 효과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될 것이다.
ⅩⅣ. 결론
헐리우드를 기반으로 영화산업의 규모가 거대하고 상업방송이 활성화 되어있는 미국의 경우 PPL은 그다지 규제를 받지 않고 있는 듯 하다. 유해물을 제외하고는 규제기관또한 적극적인 규제를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 같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PPL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reality show의 등장과 성공 그리고 PPL의 이러한 프로그램들의 활용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실제 생활을 보여주는 이러한 프로그램들에서 PPL은 더욱 자연스럽게 표현되고 받아들여질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reality show와 유사한 프로그램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며 따라서 미국의 사례는 주목할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PPL의 효과에 대한 연구도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다. 아직도 PPL이 범람하는 현실과 대응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많지만, 학자들도 PPL의 효과와 그에 따른 정책적인 함의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에도 PPL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우리의 문화적, 사회적인 현실을 반영하는 PPL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PPL을 둘러싼 정책적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11.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8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