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해저케이블조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해저케이블(Fiber Cable)의 정의
2. 해저케이블의 역사.
3. 해저 케이블 통신 시스템 구성
4.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한 해저 광케이블현황
5. 해저 광케이블의 기술동향

본문내용

여 전송되는 파장의 수를 늘리고 있는데, 태평양 횡단과 같은 초장거리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한 DMF(Dispersion Managed Fiber) 이 고려되고 있다. 현재 새롭게 고려되고 있는 증폭 방식은 DRA(Distributed Raman Amplification) 인데 이는 파이버 전구간에 걸쳐서 증폭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방식인데 장거리 구간에서 대역폭을 넓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며 , 현재 곧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저 케이블망의 발전은 초기의 Fish-bone Network 에서 지금은 NPE(Network Protection Equipment) 를 통하여 자동복구가 되는 Ring Network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Ring Network 의 단점은 대용량 시스템이 될 경우 NPE 수량 증가로 인한 전력소모의 증가와 복구를 위해 항상 50% 의 용량을 미사용 상태로 두어야 하는 것과 이중 고장시 복구가 불가능 하다는 단점들이 지적되어 왔으므로 차세데 Network 으로 OXC(Optical Cross Connect) 를 NPE 대신 채택한 Mesh Network 이 Ring Network 의 단점들을 보완할수 있는 차세대 네트워크로서 인식되고 있다.
WDM 기술 개발에 따른 전송용량의 획기적인 증가로 해저 광 케이블의 경제성이 한층 증대되었고 DWDM 및 광 스위칭 기능에 대한 신기술 개발과 더욱더 경제적이고 대용량의 해저 광 케이블 건설이 기대되고 있다 .
참고자료
http://www.ktsubmarine.co.kr/ KT서브마린
네이버 백과사전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12.09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30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