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로마의 교육사적 배경
2. 교육의 목적
3. 로마의 교육
4. 교육사상가
1) 키케로
2) 퀸틸리안
2. 교육의 목적
3. 로마의 교육
4. 교육사상가
1) 키케로
2) 퀸틸리안
본문내용
교육전서였으며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세계최초의 교육저서로 11세기경까지 교육계에 보급되었다.
그는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어린이의 선천적 능력을 개발하는 일을 교육의 궁극적 목적으로 삼았으며, 웅변가 양성을 교육의 구체적 목적으로 간주하였다. 그는 웅변가 양성이라는 교육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세 단계의 교육을 제시하였다. 즉, 제1기는 유아기의 가정교육, 제2기는 문법학교 교육, 제3기는 전문적인 수사학교 교육이다. 퀸틸리안의 교육에 대한 생각 중 특히, 조기교육에 대한 부분은 주목할 만한데 그는 교육은 아무리 일찍 시작하여도 지나치지 않다고 믿었다. 그는 교육은 요람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유아의 양육방식에 대해서도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통하여 어린아이들은 올바르고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게 되며, 편협하지 않은 인격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초기단계의 교육에 있어서 부모들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만일 어머니와 아버지가 모두 교육받은 사람들이라면 바람직하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아동의 초기양육에 있어서 보다 큰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어린이의 선천적 능력을 개발하는 일을 교육의 궁극적 목적으로 삼았으며, 웅변가 양성을 교육의 구체적 목적으로 간주하였다. 그는 웅변가 양성이라는 교육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세 단계의 교육을 제시하였다. 즉, 제1기는 유아기의 가정교육, 제2기는 문법학교 교육, 제3기는 전문적인 수사학교 교육이다. 퀸틸리안의 교육에 대한 생각 중 특히, 조기교육에 대한 부분은 주목할 만한데 그는 교육은 아무리 일찍 시작하여도 지나치지 않다고 믿었다. 그는 교육은 요람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유아의 양육방식에 대해서도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통하여 어린아이들은 올바르고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게 되며, 편협하지 않은 인격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초기단계의 교육에 있어서 부모들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만일 어머니와 아버지가 모두 교육받은 사람들이라면 바람직하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아동의 초기양육에 있어서 보다 큰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