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작으로 표현하기⊱
1. 동작으로 표현하기의 중요성 및 발달 단계
2. 동작의 유형
3. 지도방법
⊰ 손유희 ⊱
1. 손유희란 무엇인가? (손으로 재미있게 놀다. 즐겁게 놀다)
2. 손유희(손동작)의 유래
3. 손유희의 종류
4. 율동 및 손유희 활동의 목적
5. 손유희의 교육적인 측면
6. 손유희 교사의 올바른 자세
7. 손유희 창작할 때 주의점
8. 손유희 진행시 주의 사항
1. 동작으로 표현하기의 중요성 및 발달 단계
2. 동작의 유형
3. 지도방법
⊰ 손유희 ⊱
1. 손유희란 무엇인가? (손으로 재미있게 놀다. 즐겁게 놀다)
2. 손유희(손동작)의 유래
3. 손유희의 종류
4. 율동 및 손유희 활동의 목적
5. 손유희의 교육적인 측면
6. 손유희 교사의 올바른 자세
7. 손유희 창작할 때 주의점
8. 손유희 진행시 주의 사항
본문내용
해본다.
③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교사는 언어적 찬트를 제공해 주는 유아는 손동작을 해본다.
④ 교사는 전달할 교육 내용을 먼저 파악해 보고 교사가 처음부터 동작 모델을 제시하지 않아도 유아들이 스스로 표현이 가능한 내용이면 교사는 언어적 찬트만 제공해 주고 유아들의 동작 반응을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들이 어떤 사물이나 사건의 특징을 이해하고 있는가 관찰해 본다.
⑤ 교사 자신이 사전에 자신있게 지도할 수 있는 손동작의 내용을 완전히 익히고, 재미있게 전개해 나갈 수 있는 동작과 언어 리듬을 모색해서 전달해 나갈 때 유아와 동화되어 즐거움을 지속시킬 수 있다
⑥ 손동작의 내용을 다른 영역의 활동과 연관을 맺어서 변화 및 확장시킬 수 있도록 모색해본다.
6. 손유희 교사의 올바른 자세
1) 가르칠 대상은 어린이다. 어린이를 알기 위해 어린이를 사랑해야 한다.
2) 항상 자신을 훈련시킨다.
▶ 구연목소리 ▶ 표정 ▶ 동작
① 큰 목소리, 큰 동작으로 시선을 집중시키는 것은 진행자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한다.
② 슬프고, 기쁘고, 울고, 웃고 등 여러 가지 감정 변화에 따라 동작, 표정 연출을 그 상황에 맞게 한다.
③ 음성의 고저, 완/급, 강/약을 적절히 한다.
7. 손유희 창작할 때 주의점
1) 가장 효과적인 전달이 될 수 있도록 많은 연구를 해야 한다.
2) 어린이들의 정서에 알맞은 내용을 선택한다.
3) 목적과 수단이 바뀌면 안된다.(손유희는 공과수업의 보조 교육기능이다)
4) 내용을 간결하게 하고, 너무 내용이 길지 않도록 한다.
8. 손유희 진행시 주의 사항
1) 교육의 대상이 어린이임을 생각한다.
2) 다음 진행에 차질을 주지 말 것
3) 너무 긴 시간 하지 말고 지루한 내용은 삼갈 것
4) 주의집중이 됐으면 바로 빠져 주는 것이 바람직
5) 지나친 행동, 원맨쇼는 안된다.
※ 손유희 연습할 때 → 단계별로 연습한다.
① 1단계 : 암기는 절대 금물이며 내용을 충분히 읽고 소화한다.
② 2단계 : 내용을 파악한 후, 내용에 맞는 목소리 설정을 한다.
③ 3단계 : 구연 연습을 한다. (발음, 표정, 목소리)
④ 4단계 : 내용, 구연에 맞게 동작화한다.
⑤ 5단계 : 구연과 동작이 자연스럽게 일치되도록 많은 연습을 한다.
⑥ 6단계 : 리허설을 통해 좀 더 나은 손유희를 한다.
⑦ 7단계 : 손유희 진행 후 나만의 반성을 가져봄으로써 다음에 좀더 나은 손유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③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교사는 언어적 찬트를 제공해 주는 유아는 손동작을 해본다.
④ 교사는 전달할 교육 내용을 먼저 파악해 보고 교사가 처음부터 동작 모델을 제시하지 않아도 유아들이 스스로 표현이 가능한 내용이면 교사는 언어적 찬트만 제공해 주고 유아들의 동작 반응을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들이 어떤 사물이나 사건의 특징을 이해하고 있는가 관찰해 본다.
⑤ 교사 자신이 사전에 자신있게 지도할 수 있는 손동작의 내용을 완전히 익히고, 재미있게 전개해 나갈 수 있는 동작과 언어 리듬을 모색해서 전달해 나갈 때 유아와 동화되어 즐거움을 지속시킬 수 있다
⑥ 손동작의 내용을 다른 영역의 활동과 연관을 맺어서 변화 및 확장시킬 수 있도록 모색해본다.
6. 손유희 교사의 올바른 자세
1) 가르칠 대상은 어린이다. 어린이를 알기 위해 어린이를 사랑해야 한다.
2) 항상 자신을 훈련시킨다.
▶ 구연목소리 ▶ 표정 ▶ 동작
① 큰 목소리, 큰 동작으로 시선을 집중시키는 것은 진행자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한다.
② 슬프고, 기쁘고, 울고, 웃고 등 여러 가지 감정 변화에 따라 동작, 표정 연출을 그 상황에 맞게 한다.
③ 음성의 고저, 완/급, 강/약을 적절히 한다.
7. 손유희 창작할 때 주의점
1) 가장 효과적인 전달이 될 수 있도록 많은 연구를 해야 한다.
2) 어린이들의 정서에 알맞은 내용을 선택한다.
3) 목적과 수단이 바뀌면 안된다.(손유희는 공과수업의 보조 교육기능이다)
4) 내용을 간결하게 하고, 너무 내용이 길지 않도록 한다.
8. 손유희 진행시 주의 사항
1) 교육의 대상이 어린이임을 생각한다.
2) 다음 진행에 차질을 주지 말 것
3) 너무 긴 시간 하지 말고 지루한 내용은 삼갈 것
4) 주의집중이 됐으면 바로 빠져 주는 것이 바람직
5) 지나친 행동, 원맨쇼는 안된다.
※ 손유희 연습할 때 → 단계별로 연습한다.
① 1단계 : 암기는 절대 금물이며 내용을 충분히 읽고 소화한다.
② 2단계 : 내용을 파악한 후, 내용에 맞는 목소리 설정을 한다.
③ 3단계 : 구연 연습을 한다. (발음, 표정, 목소리)
④ 4단계 : 내용, 구연에 맞게 동작화한다.
⑤ 5단계 : 구연과 동작이 자연스럽게 일치되도록 많은 연습을 한다.
⑥ 6단계 : 리허설을 통해 좀 더 나은 손유희를 한다.
⑦ 7단계 : 손유희 진행 후 나만의 반성을 가져봄으로써 다음에 좀더 나은 손유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추천자료
[유아교육] 놀이지도 모의수업 단위 활동 계획안 (운동놀이)
유아의 놀이지도시 중요한점(본인생각위주로 작성)
초등학교(초등교육) 동시감상지도와 비유표현지도, 초등학교(초등교육) 서예지도와 생활지도,...
슬기로운생활 수업지도안-2.병원놀이-병원의_종류와_하는일(탐구학습)
2012년 2학기 놀이지도 중간시험과제물 D형(유아교육에서 놀이의 교육적 활용효과)
2012년 2학기 놀이지도 중간시험과제물 E형(유아를 위한 놀이지도 계획안)
유아전통놀이 지도
유아에게 놀이지도가 필요한 이유
2013년 2학기 놀이지도 중간시험과제물 D형 (유아교육에서 놀이의 교육적 활용효과)
2013년 2학기 놀이지도 중간시험과제물 E형 (유아를 위한 놀이지도 계획안)
아동문학작품을 통해 어떻게 유아교육과정의 5개 발달영역(건강사회표현언어탐구생활)과 연계...
[유아교과교육론]교육(부분)활동(수업)계획안 - 학급연령(만4세) 활동유형(음률활동) 주제(가...
[유아교과교육론] <교육(부분)활동(수업)계획안(만3세)> 활동유형(조형활동) 주제(여러가지 ...
놀이지도)현장유아교육기관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유아발달에 적합한 연령별 놀이를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