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 요
❒ 실 험 목 적
❒ 기 본 이 론
❍ 기 본 이 론
❍ 기 본 원 리
❒ 실 험
❍ 사용 시약 및 기기
❍ 실 험 순 서
❍ 실 험 결 과
❒ 실험 결과 해석 및 고찰
❍ 실험 결과 해석
❍ 고 찰
❒ 정보 조사 내용
❍ 참 고 문 헌
❍ 정보조사 내용
❒ 실 험 목 적
❒ 기 본 이 론
❍ 기 본 이 론
❍ 기 본 원 리
❒ 실 험
❍ 사용 시약 및 기기
❍ 실 험 순 서
❍ 실 험 결 과
❒ 실험 결과 해석 및 고찰
❍ 실험 결과 해석
❍ 고 찰
❒ 정보 조사 내용
❍ 참 고 문 헌
❍ 정보조사 내용
본문내용
것도 정말 멋졌다. 역시 가장 성공한 의약품이라는 소리를 들을 만 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 실험 과정은 상당히 많았는데 그렇게 복잡하거나 어렵지는 않았다. salicylic acid와 acetic anhydride, 그리고 황산을 넣을 때는 독성이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넣었으며 특히 salicylic acid를 측정할 때에는 특히 더 신경을 써서 실험에 임했다. 왜냐하면 이번 실험에서 salicylic acid의 양의 정확도가 관건이기 때문이다.
- 용액을 다 섞은 후에 클램프를 이용해서 15분가량 끓이고 나서보니 플라스크안에 하얀 덩어리로 아스피린으로 보이는 것이 결정지어져 있었다. 흔들어도 플라스크 안에 붙어 움직이지 않아 실험이 잘 못된 줄 알고 있었는데 이것을 얼음조에 넣고 냉각을 시키니 아스피린이 결정지어져 있었다.
- 플라스크안에 아스피린을 아스피레이터를 통해 여과 시켰는데 이번실험에서 여과를 시킬 때 부주의로 인해 여과지를 넘어 용액이 들어가 아스피린 결정이 유실되어 오차가 발생한 것 같으며 깔때기에서 분리할 때 플라스크 내 잔유물 들을 걸러낼 때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 그다음으로 진행한 실험은 염화철(Ⅲ) 실험이었는데 염화철(Ⅲ)이 들어있는 시험관에 생성물과 salicylic acid를 넣고 공실험을 위한 실험관을 하나 더 준비해 총 3개의 시험관을 통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 이 실험은 salicylic acid가 완벽하게 반응하였는지 확인하는 실험이었는데 salicylic acid가 들어있는 시험관은 보라색으로 변하였고 생성물이 들어있는 시험관은 공실험과 동일한 색으로 전혀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아스피린 생성 때 salicylic acid가 완전히 반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이번실험을 통해 제약은 너무나 어렵고 또한 만들기도 어려울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없앨 수 있었던 아주 유익한 실험이었던 것 같다. 물론 지금도 신약개발을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아스피린이란 엄청난 의약품이 이렇게 쉽게 생성이 되는 것이 나에게는 너무나 신기하였고 제약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만든 좋은 기회였다. 아직까지 아스피린은 한 번도 복용을 해보지는 않았지만 salicylic acid와 acetic anhydride에 독성분이 있고, 황산도 엄청난 부식성을 갖고 있는데 과연 이것을 먹을 수 있겠느냐는 좀 바보 같은 생각도 한번 해보게 되는 아주 흥미롭고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실험이었다.
참고 문헌 및 정보 조사 내용
정보 조사 내용
- 아스피린의 유래
세상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의약품으로 정식 화학명은 아세틸살리신산(acetylsalicylic acid)이다. 하루 약 1억 정이 소비된다고 하며 우리나라에서도 한해에 보통 20억 원 이상의 아스피린이 판매되고 있다고 한다.
아스피린이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히포크라테스가 산모의 통증을 줄이고 열을 내리는 데 사용한 버드나무 껍질이고 버드나무 껍질에서 분리된 살리실산은 가장 대표적인 진통제로 쓰여 왔다. 그러나 살리신산은 맛이 너무 고약한데다가 위에 큰 부담을 주었다. 지금의 아스피린은 1897년 바이엘 아스피린이 탄생하였고 분말 형태로 시판된 것은 1899년부터며, 알약 형태로는 1915년부터 시판되었다.
아스피린이라는 이름은, 조팝나무의 학명 ‘스파이리어’와 아세틸의 머리글자인 ‘아’를 붙여서 만든 것이다. 1820년대 초에 야생 조팝나무에서 살리실 알데히드를 추출하는데 성공했고, 이것을 산화시키면 살리실산이 되었다.
오늘날 아스피린은 단순한 진통제가 아니라 심장병, 뇌졸중, 임신 부작용, 고혈압, 식도암, 대장암, 직장암, 백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 등, 그야말로 이루 헤아릴 수 없는 효능을 발휘하며 물론 아직까지도 그 효능이 완전히 밝혀진 것이 아니고 해마다 새로운 효능이 발견되고 있다.
가장 흔히 나타나는 아스피린의 부작용 증세로는 위장 출혈과 지혈 작용 방해가 있어서 가급적 식후 30분 이내에 복용해야 하며, 수술을 앞둔 환자는 복용을 절대 삼가야 한다.
- 아스피린의 작용
1) 항혈소판 작용
아스피린의 항혈소판 작용으로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관상동맥 질환과 중풍 (뇌출혈, 뇌경색)을 줄일 수 있다. 소량의 아스피린으로는 원래 출혈 성향이 있던 사람을 제외하고는 응고장애로 인한 출혈성은 큰 문제가 되지 않고 특히 상기 혈관성 질환을 줄여준 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소량의 아스피린으로도 급성 위염이나 위장관 출혈이 있을 수 있어서 심혈관 질환이나 뇌혈관 질환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는 소량의 아스피린의 장기 복용이 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하는데 도움이 된다.
2) 해열작용
아스피린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예이다.
3) 항 염증작용
퇴행성 관절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에 이용된다. 그러나 이 때 쓰는 양은 너무 많은 용량을 사용하여 부작용으로 위장장애가 많아 사용량은 많이 줄어들었다.
4) 혈당을 낮추는 작용
형당을 낮추는 작용도 많은 양의 아스피린이 사용되고 있어 최근에는 많이 이용되지 않는다.
5) 그 밖에도 심장병, 뇌졸중, 임신 부작용, 고혈압, 식도암, 대장암, 직장암, 백내장의 예방 등에도 사용된다.
- 유의점
소량의 아스피린이라도 장기적으로 먹을 때에는 출혈성 경향이 생겨 위장에서 출혈을 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스피린을 오랫동안 복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어린 아이에게 먹였을 경우에는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아스피린을 먹어서 생길 수 있는 위험보다 얻을 수 있는 득이 훨씬 더 많은 경우에만 아스피린복용을 권하고 있다.
그리고 부작용으로 쇼크증상인 호흡곤란, 전신조홍, 혈관부종, 두드러기 등과 과민증, 피부염이나 식욕부진, 가슴 쓰림. 위통,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사용을 하기 전에 확인 후 사용해야 한다.
참고 문헌
- http://www.bayeraspirin.co.kr/index.asp (주) bayer
아스피린의 유래 및 작용 등
- http://www.google.co.kr/ 인터넷 웹사이트 검색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시약의 특징 등
- 실험 과정은 상당히 많았는데 그렇게 복잡하거나 어렵지는 않았다. salicylic acid와 acetic anhydride, 그리고 황산을 넣을 때는 독성이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넣었으며 특히 salicylic acid를 측정할 때에는 특히 더 신경을 써서 실험에 임했다. 왜냐하면 이번 실험에서 salicylic acid의 양의 정확도가 관건이기 때문이다.
- 용액을 다 섞은 후에 클램프를 이용해서 15분가량 끓이고 나서보니 플라스크안에 하얀 덩어리로 아스피린으로 보이는 것이 결정지어져 있었다. 흔들어도 플라스크 안에 붙어 움직이지 않아 실험이 잘 못된 줄 알고 있었는데 이것을 얼음조에 넣고 냉각을 시키니 아스피린이 결정지어져 있었다.
- 플라스크안에 아스피린을 아스피레이터를 통해 여과 시켰는데 이번실험에서 여과를 시킬 때 부주의로 인해 여과지를 넘어 용액이 들어가 아스피린 결정이 유실되어 오차가 발생한 것 같으며 깔때기에서 분리할 때 플라스크 내 잔유물 들을 걸러낼 때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 그다음으로 진행한 실험은 염화철(Ⅲ) 실험이었는데 염화철(Ⅲ)이 들어있는 시험관에 생성물과 salicylic acid를 넣고 공실험을 위한 실험관을 하나 더 준비해 총 3개의 시험관을 통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 이 실험은 salicylic acid가 완벽하게 반응하였는지 확인하는 실험이었는데 salicylic acid가 들어있는 시험관은 보라색으로 변하였고 생성물이 들어있는 시험관은 공실험과 동일한 색으로 전혀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아스피린 생성 때 salicylic acid가 완전히 반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이번실험을 통해 제약은 너무나 어렵고 또한 만들기도 어려울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없앨 수 있었던 아주 유익한 실험이었던 것 같다. 물론 지금도 신약개발을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아스피린이란 엄청난 의약품이 이렇게 쉽게 생성이 되는 것이 나에게는 너무나 신기하였고 제약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만든 좋은 기회였다. 아직까지 아스피린은 한 번도 복용을 해보지는 않았지만 salicylic acid와 acetic anhydride에 독성분이 있고, 황산도 엄청난 부식성을 갖고 있는데 과연 이것을 먹을 수 있겠느냐는 좀 바보 같은 생각도 한번 해보게 되는 아주 흥미롭고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실험이었다.
참고 문헌 및 정보 조사 내용
정보 조사 내용
- 아스피린의 유래
세상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의약품으로 정식 화학명은 아세틸살리신산(acetylsalicylic acid)이다. 하루 약 1억 정이 소비된다고 하며 우리나라에서도 한해에 보통 20억 원 이상의 아스피린이 판매되고 있다고 한다.
아스피린이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히포크라테스가 산모의 통증을 줄이고 열을 내리는 데 사용한 버드나무 껍질이고 버드나무 껍질에서 분리된 살리실산은 가장 대표적인 진통제로 쓰여 왔다. 그러나 살리신산은 맛이 너무 고약한데다가 위에 큰 부담을 주었다. 지금의 아스피린은 1897년 바이엘 아스피린이 탄생하였고 분말 형태로 시판된 것은 1899년부터며, 알약 형태로는 1915년부터 시판되었다.
아스피린이라는 이름은, 조팝나무의 학명 ‘스파이리어’와 아세틸의 머리글자인 ‘아’를 붙여서 만든 것이다. 1820년대 초에 야생 조팝나무에서 살리실 알데히드를 추출하는데 성공했고, 이것을 산화시키면 살리실산이 되었다.
오늘날 아스피린은 단순한 진통제가 아니라 심장병, 뇌졸중, 임신 부작용, 고혈압, 식도암, 대장암, 직장암, 백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 등, 그야말로 이루 헤아릴 수 없는 효능을 발휘하며 물론 아직까지도 그 효능이 완전히 밝혀진 것이 아니고 해마다 새로운 효능이 발견되고 있다.
가장 흔히 나타나는 아스피린의 부작용 증세로는 위장 출혈과 지혈 작용 방해가 있어서 가급적 식후 30분 이내에 복용해야 하며, 수술을 앞둔 환자는 복용을 절대 삼가야 한다.
- 아스피린의 작용
1) 항혈소판 작용
아스피린의 항혈소판 작용으로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관상동맥 질환과 중풍 (뇌출혈, 뇌경색)을 줄일 수 있다. 소량의 아스피린으로는 원래 출혈 성향이 있던 사람을 제외하고는 응고장애로 인한 출혈성은 큰 문제가 되지 않고 특히 상기 혈관성 질환을 줄여준 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소량의 아스피린으로도 급성 위염이나 위장관 출혈이 있을 수 있어서 심혈관 질환이나 뇌혈관 질환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는 소량의 아스피린의 장기 복용이 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하는데 도움이 된다.
2) 해열작용
아스피린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예이다.
3) 항 염증작용
퇴행성 관절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에 이용된다. 그러나 이 때 쓰는 양은 너무 많은 용량을 사용하여 부작용으로 위장장애가 많아 사용량은 많이 줄어들었다.
4) 혈당을 낮추는 작용
형당을 낮추는 작용도 많은 양의 아스피린이 사용되고 있어 최근에는 많이 이용되지 않는다.
5) 그 밖에도 심장병, 뇌졸중, 임신 부작용, 고혈압, 식도암, 대장암, 직장암, 백내장의 예방 등에도 사용된다.
- 유의점
소량의 아스피린이라도 장기적으로 먹을 때에는 출혈성 경향이 생겨 위장에서 출혈을 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스피린을 오랫동안 복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어린 아이에게 먹였을 경우에는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아스피린을 먹어서 생길 수 있는 위험보다 얻을 수 있는 득이 훨씬 더 많은 경우에만 아스피린복용을 권하고 있다.
그리고 부작용으로 쇼크증상인 호흡곤란, 전신조홍, 혈관부종, 두드러기 등과 과민증, 피부염이나 식욕부진, 가슴 쓰림. 위통,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사용을 하기 전에 확인 후 사용해야 한다.
참고 문헌
- http://www.bayeraspirin.co.kr/index.asp (주) bayer
아스피린의 유래 및 작용 등
- http://www.google.co.kr/ 인터넷 웹사이트 검색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시약의 특징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