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임신성 당뇨병
A. 빈도. 모든 임신에서, 당뇨병이 2~5%, GDM이 2~3%(Pillitteri, 2003).
B. 병인론/ 임신성 당뇨에서 병유발 요인
C. 임상적 소견과 임신성 당뇨 판별
D. 잠재적 합병증
E. 평가와 관리
A. 빈도. 모든 임신에서, 당뇨병이 2~5%, GDM이 2~3%(Pillitteri, 2003).
B. 병인론/ 임신성 당뇨에서 병유발 요인
C. 임상적 소견과 임신성 당뇨 판별
D. 잠재적 합병증
E. 평가와 관리
본문내용
슐린을 적정하도록 한 시간마다 혈당레벨이 모니터되어야 한다.
2. 임신성당뇨에서:
a. 단순당은 제한되고 2000~2500 칼로리 다이어트가 권고된다.
b. 금식 후 그리고 식후 2시간이후의 혈당이 매주 체크된다.
c. 산모가 느끼는 태동 카운팅은 28주부터 시작한다.
d. 잘 조절되고 있는 산모의 경우 비수축검사는 40주부터 시작한다.
3. 신생아의 경우:
a. 나이와 크기를 측정한다(LGA 또는 IUGR).
b. 다음을 측정:
(1) 호흡장애
(2) 저혈당증, 저칼슘혈증, 저혈중마그네슘증
(3) 적혈구증가증과 고점도증후군
(4) 혈액흐름 감소, 적혈구 용혈, 혈전증으로부터 기인하는 합병증들
(5) 선천성 기형
(6) 분만시 상해: 쇄골골정, 뇌출혈, 안면신경마비, 상완신경마비, 두개골 골 절.
2. 임신성당뇨에서:
a. 단순당은 제한되고 2000~2500 칼로리 다이어트가 권고된다.
b. 금식 후 그리고 식후 2시간이후의 혈당이 매주 체크된다.
c. 산모가 느끼는 태동 카운팅은 28주부터 시작한다.
d. 잘 조절되고 있는 산모의 경우 비수축검사는 40주부터 시작한다.
3. 신생아의 경우:
a. 나이와 크기를 측정한다(LGA 또는 IUGR).
b. 다음을 측정:
(1) 호흡장애
(2) 저혈당증, 저칼슘혈증, 저혈중마그네슘증
(3) 적혈구증가증과 고점도증후군
(4) 혈액흐름 감소, 적혈구 용혈, 혈전증으로부터 기인하는 합병증들
(5) 선천성 기형
(6) 분만시 상해: 쇄골골정, 뇌출혈, 안면신경마비, 상완신경마비, 두개골 골 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