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셔터스피드
개념
활용
셔터스피드 조작의 예
3. 조리개와 피사계 심도
조리개의 개념
조리개와 피사계 심도의 관계
활용
조리개 조절의 예
4. 노출의 측정과 조정
기본 노출 방식
노출계
측광 방식
노출 조정의 예
5. 조리개와 셔터속도 이해의 중요성
6. 조리개와 셔터의 상관관계
2. 셔터스피드
개념
활용
셔터스피드 조작의 예
3. 조리개와 피사계 심도
조리개의 개념
조리개와 피사계 심도의 관계
활용
조리개 조절의 예
4. 노출의 측정과 조정
기본 노출 방식
노출계
측광 방식
노출 조정의 예
5. 조리개와 셔터속도 이해의 중요성
6. 조리개와 셔터의 상관관계
본문내용
조에 셔터 속도의 제한이 있음
○ 움직이는 물체를 촬영하면 상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 반사경과 셔터의 충격과 소음이 커서 아주 조용한 장소에서의 촬영은 곤란했으나 요즘 생산되는 카메라는 성능이 매우 향상되어 충격과 소음이 매우 적어졌다.
○ 현미경 사진 등 정밀 사진을 촬영할 경우는 촬영 전 미러 업(mirror up) 장치를 이용
[셔터막의 이동 방향에 따라]
① 좌우식 포컬 플레인 셔터
○ 셔터의 막이 수평으로 이동
○ 천에 고무를 입힌 포막을 막의 재질로 사용, 주행 속도가 상하식보다 느림
② 상하식 포컬 플레인 셔터
○ 셔터의 막이 상하 수직으로 이동
○ 금속제 날개를 이용, 최근에 가볍고 강한 티타늄 소재를 사용
○ 막의 속도가 같은 경우 화면의 상하 길이가 좌우 길이보다 짧으므로
고속 셔터를 내는 데에 사용
○ 빠른 플래시 동조 가능
[셔터막의 제어 방식에 따라]
① 기계식 셔터
○ 셔터를 구동하는 동력과 셔터 속도의 제어를 스프링의 장력과 같은 것으로 얻는 셔터
② 전자식 셔터
○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제어
○ 기계식보다 셔터 속도가 정확
3) 셔터 속도
○ 셔터 속도는 1, 1/2, 1/4, 1/8, 1/16, 1/32, 1/64, 1/128 등으로 표시하거나 1, 2, 4, 8, 15, 30, 60, 125, 250, 500, 1000, 2000, 4000, 8000 등으로 표시
○ 조리개 값과 양적인 대응을 위해 한 칸(1스톱, 1 stop)이 2배 또는 1/2배의 노출량의 변화를 가진다.
X T B 1 2 4 8 15 30 60 125 250 500 1000 2000 4000 8000
X(Sync) 표시 셔터 : 스트로브 촬영시의 규정 셔터 속도 즉, 플래시 동조 셔터 속도
포컬 플레인 셔터의 경우 셔터가 완전히 열리는 1/60, 1/125, 1/250초 정도인데 셔터 속도는 카메라 본체의 다이얼에 별도의 표시가 있다. 플래시 촬영시 항상 동조 셔터나 그 보다 느린 셔터를 사용해야 한다.
T(Time) 표시 셔터 : T 는 Time 의 약자로 장시간 셔터를 열어놓을 경우에 사용 기종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셔터를 누르면 계속해서 열려 있다가 다시 셔터를 누르면 닫히거나 셔터 다이얼을 돌려서 셔터를 닫히도록 하는 종류가 있다. 야경이나 천체 촬영 시에 사용
B(Bulb) 표시 셔터 : B 는 Blub 의 약자로 T 셔터와 마찬가지로 장시간의 노출에 사용
B 셔터는 1초보다 긴 셔터속도를 촬영할 경우 셔터를 손으로 누르고 있는 동안 열려 있으므로 야경촬영 등에 사용. 단 셔터를 계속해서 누르고 있어야 하므로 카메라가 흔들릴 경우를 대비해 케이블 릴리즈와 삼각대를 함께 사용
* 셔터와 조리개의 상관관계
사진이 너무 밝거나 너무 어둡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필름에 도달하는 광선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한다.
카메라 안에 들어있는 필름에 도달하는 광량은 조리개와 셔터 속도의 조합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너무 밝거나 너무 어둡지 않은 적정 노출의 사진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필름에 알맞는 광선의 양을 받아들이는 셔터속도와 조리개 값의 조합을 알아야 한다. 셔터속도는 움직이는 물체에, 조리개는 피사계 심도에 영향을 미친다.
어떤 장면에서 적정 노출이 1/30초에 f8로 나왔다면, 노출 시간을 두배(1/15, 한 단계 더 느린 셔터 속도)로 늘리고, 광선의 양을 반(f11, 한 단계 더 작은 조리개 값)으로 줄였을 때도 같은 양의 노출을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 많이 찍어봐야 조리개와 셔터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셔터와 조리개(1)
셔터(Shutter)는 열려있는 시간으로 광량을 조절하게 된다. 반면 조리개(aperture)는 구멍, 즉 조리개의 크기를 변화시키면 필름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각 셔터의 수치는 바로 옆 단계셔터의 반(혹은 두 배)의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고, 셔터가 열려있는 시간의 분모로 표시된다. 1(1초), 2(1/2초), 4(1/4초), 이런식으로 해서 2000(1/2000)초 이상까지 나뉘어지는데, 어떤 카메라는 12,000까지 나뉜다고 한다. 일반 카메라에서의 셔터속도는 왼쪽의 다이얼이나 오른쪽의 데이터 표시판, 혹은 뷰 파인더 안에서 설정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셔터에는 기본적으로 포컬플레인셔터(focal plane shutter)와 리프셔터(leaf shutter) 이 두 가지 형태의 셔터가 있는데, 포컬플레인셔터(focal plane shutter)는 카메라 몸체 안의 필름, 즉 초점면 바로 앞에 설치되어 있고, 리프셔터(leaf shutter)는 렌즈의 가운데 위치하며, 포컬 플레인 셔터보다 조용하고, 어떤 셔터 속도 속에서도 플래시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조리개(aperture)는 광선을 적게 또는 많이 받아들이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확대되는 눈의 동공과 같은 역할을 한다. 렌즈의 표면에 들어오는 광선이 대부분 그대로 통과되도록 활짝 열어 젖힐 수도 있고, 렌즈의 구경을 아주 작게 만들어 통과하는 광선의 양을 줄일 수도 있다. 렌즈 구경의 크기는 f스톱(f-stop), 또는 f넘버(f-number)로 표시된다.
셔터와 조리개(2)
표준화된 f스톱의 숫자는 f1.4, f2, f2.8, f4, f5.6, f8, f11, f16, f22, f32, f45, f64의 배열로 되어 있다. 가장 큰 구경인 f1.4는 광선을 가장 많이 받아들인다. f스톱의 수치가 한 단계씩 증가할 때 마다 광선이 통과되는 양은 반으로 줄어든다. 조리개 f4의 렌즈 구경에서는, f2.8에서 통과되는 광선의 반만큼, 그리고 f2의 1/4만큼 광선이 통과된다. f 스톱의 배열은 셔터속도와 마찬가지로 관선을 받아들이는 양이 반씩 줄어들거나 두 배씩 늘어나도록 되어 있다. f1.4에서 f64까지 모두 내장 된 렌즈는 없고 일반적인 35mm카메라의 조리개는 f1.4에서부터 f22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렌즈가 밝다(fast) 어둡다(slow)로 표현되는 말은 최대개방치가 얼마다 되는가에 관해서 말할때 사용된다. f1.4까지 개방되는 렌즈는 f2가 최대 개방치인 렌즈보다 더 밝다고 말한다.
○ 움직이는 물체를 촬영하면 상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 반사경과 셔터의 충격과 소음이 커서 아주 조용한 장소에서의 촬영은 곤란했으나 요즘 생산되는 카메라는 성능이 매우 향상되어 충격과 소음이 매우 적어졌다.
○ 현미경 사진 등 정밀 사진을 촬영할 경우는 촬영 전 미러 업(mirror up) 장치를 이용
[셔터막의 이동 방향에 따라]
① 좌우식 포컬 플레인 셔터
○ 셔터의 막이 수평으로 이동
○ 천에 고무를 입힌 포막을 막의 재질로 사용, 주행 속도가 상하식보다 느림
② 상하식 포컬 플레인 셔터
○ 셔터의 막이 상하 수직으로 이동
○ 금속제 날개를 이용, 최근에 가볍고 강한 티타늄 소재를 사용
○ 막의 속도가 같은 경우 화면의 상하 길이가 좌우 길이보다 짧으므로
고속 셔터를 내는 데에 사용
○ 빠른 플래시 동조 가능
[셔터막의 제어 방식에 따라]
① 기계식 셔터
○ 셔터를 구동하는 동력과 셔터 속도의 제어를 스프링의 장력과 같은 것으로 얻는 셔터
② 전자식 셔터
○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제어
○ 기계식보다 셔터 속도가 정확
3) 셔터 속도
○ 셔터 속도는 1, 1/2, 1/4, 1/8, 1/16, 1/32, 1/64, 1/128 등으로 표시하거나 1, 2, 4, 8, 15, 30, 60, 125, 250, 500, 1000, 2000, 4000, 8000 등으로 표시
○ 조리개 값과 양적인 대응을 위해 한 칸(1스톱, 1 stop)이 2배 또는 1/2배의 노출량의 변화를 가진다.
X T B 1 2 4 8 15 30 60 125 250 500 1000 2000 4000 8000
X(Sync) 표시 셔터 : 스트로브 촬영시의 규정 셔터 속도 즉, 플래시 동조 셔터 속도
포컬 플레인 셔터의 경우 셔터가 완전히 열리는 1/60, 1/125, 1/250초 정도인데 셔터 속도는 카메라 본체의 다이얼에 별도의 표시가 있다. 플래시 촬영시 항상 동조 셔터나 그 보다 느린 셔터를 사용해야 한다.
T(Time) 표시 셔터 : T 는 Time 의 약자로 장시간 셔터를 열어놓을 경우에 사용 기종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셔터를 누르면 계속해서 열려 있다가 다시 셔터를 누르면 닫히거나 셔터 다이얼을 돌려서 셔터를 닫히도록 하는 종류가 있다. 야경이나 천체 촬영 시에 사용
B(Bulb) 표시 셔터 : B 는 Blub 의 약자로 T 셔터와 마찬가지로 장시간의 노출에 사용
B 셔터는 1초보다 긴 셔터속도를 촬영할 경우 셔터를 손으로 누르고 있는 동안 열려 있으므로 야경촬영 등에 사용. 단 셔터를 계속해서 누르고 있어야 하므로 카메라가 흔들릴 경우를 대비해 케이블 릴리즈와 삼각대를 함께 사용
* 셔터와 조리개의 상관관계
사진이 너무 밝거나 너무 어둡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필름에 도달하는 광선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한다.
카메라 안에 들어있는 필름에 도달하는 광량은 조리개와 셔터 속도의 조합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너무 밝거나 너무 어둡지 않은 적정 노출의 사진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필름에 알맞는 광선의 양을 받아들이는 셔터속도와 조리개 값의 조합을 알아야 한다. 셔터속도는 움직이는 물체에, 조리개는 피사계 심도에 영향을 미친다.
어떤 장면에서 적정 노출이 1/30초에 f8로 나왔다면, 노출 시간을 두배(1/15, 한 단계 더 느린 셔터 속도)로 늘리고, 광선의 양을 반(f11, 한 단계 더 작은 조리개 값)으로 줄였을 때도 같은 양의 노출을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 많이 찍어봐야 조리개와 셔터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셔터와 조리개(1)
셔터(Shutter)는 열려있는 시간으로 광량을 조절하게 된다. 반면 조리개(aperture)는 구멍, 즉 조리개의 크기를 변화시키면 필름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각 셔터의 수치는 바로 옆 단계셔터의 반(혹은 두 배)의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고, 셔터가 열려있는 시간의 분모로 표시된다. 1(1초), 2(1/2초), 4(1/4초), 이런식으로 해서 2000(1/2000)초 이상까지 나뉘어지는데, 어떤 카메라는 12,000까지 나뉜다고 한다. 일반 카메라에서의 셔터속도는 왼쪽의 다이얼이나 오른쪽의 데이터 표시판, 혹은 뷰 파인더 안에서 설정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셔터에는 기본적으로 포컬플레인셔터(focal plane shutter)와 리프셔터(leaf shutter) 이 두 가지 형태의 셔터가 있는데, 포컬플레인셔터(focal plane shutter)는 카메라 몸체 안의 필름, 즉 초점면 바로 앞에 설치되어 있고, 리프셔터(leaf shutter)는 렌즈의 가운데 위치하며, 포컬 플레인 셔터보다 조용하고, 어떤 셔터 속도 속에서도 플래시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조리개(aperture)는 광선을 적게 또는 많이 받아들이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확대되는 눈의 동공과 같은 역할을 한다. 렌즈의 표면에 들어오는 광선이 대부분 그대로 통과되도록 활짝 열어 젖힐 수도 있고, 렌즈의 구경을 아주 작게 만들어 통과하는 광선의 양을 줄일 수도 있다. 렌즈 구경의 크기는 f스톱(f-stop), 또는 f넘버(f-number)로 표시된다.
셔터와 조리개(2)
표준화된 f스톱의 숫자는 f1.4, f2, f2.8, f4, f5.6, f8, f11, f16, f22, f32, f45, f64의 배열로 되어 있다. 가장 큰 구경인 f1.4는 광선을 가장 많이 받아들인다. f스톱의 수치가 한 단계씩 증가할 때 마다 광선이 통과되는 양은 반으로 줄어든다. 조리개 f4의 렌즈 구경에서는, f2.8에서 통과되는 광선의 반만큼, 그리고 f2의 1/4만큼 광선이 통과된다. f 스톱의 배열은 셔터속도와 마찬가지로 관선을 받아들이는 양이 반씩 줄어들거나 두 배씩 늘어나도록 되어 있다. f1.4에서 f64까지 모두 내장 된 렌즈는 없고 일반적인 35mm카메라의 조리개는 f1.4에서부터 f22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렌즈가 밝다(fast) 어둡다(slow)로 표현되는 말은 최대개방치가 얼마다 되는가에 관해서 말할때 사용된다. f1.4까지 개방되는 렌즈는 f2가 최대 개방치인 렌즈보다 더 밝다고 말한다.
추천자료
기업 리스크관리 가상시나리오
심층생태학 비평
고등학교 전통윤리 정리
[사회학의이해]자율성이라는 명제로 살펴본 공교육과 대안교육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내가 생각하는 진정한 교육은 스승과 제자가 존재하는 것
지질학 연계 학문 (구조지질학)
학부모의 보육기관 선택 기준과 선호도
경북 칠곡군 가산면 일대의 신동층군 진주층의 지질조사
인터넷 가상공동체의 활용과 인터넷 구전
칼뱅의 목회신학
동맥관개존증(PDA) 케이스
기초간호과학 공통-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영향과 전신영향종양의 병기TNM 분류방법혈액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