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홉스의 사회계약설
1. 정의
2. 정치의 필연성
3. 형태
Ⅱ. 홉스의 사상, 홉스의 철학
Ⅲ. 홉스의 국가론
참고문헌
1. 정의
2. 정치의 필연성
3. 형태
Ⅱ. 홉스의 사상, 홉스의 철학
Ⅲ. 홉스의 국가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시하는 바에 따라 국가설립계약(이른바 \'복종계약\')에 의하여 \'절대권력\'을 가지는 \'국가\'를 만들어 낸다. 즉, 홉스는 \'평화의 질서\' (자신이 말하는 \'자연법\'에 따른 질서)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절대권력\'을 가진 \'국가\'를 요구하고 있다.
칸트는 묻는다. \"어떻게 하면 이성이 실천적인 것으로 될 수 있는가?\" 칸트에 앞서 이런 물음을 자신의 사상의 중심에 놓고 그에 대한 답을 찾는 데 온 열정을 바친 사람이 홉스이다. 홉스의 \'자연법\'은 실천이성의 법칙이다. 따라서 절대권력을 가진 \'국가\'의 설립 또한 실천이성의 명령이다. 즉, 이 말은, 홉스의 자연법론과 국가론이 내포하고 있는 진지한 의미는 \"현세에서의 인간적 평화질서의 현실화 가능성의 조건들\"을 보여 주려는 데 있으며, 단순히 \'생존\'을 보장하려는 데 또는 \'현세에서의 나의 형이하학적(육체적) 삶의 안전\'을 보장하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다. 홉스 사상의 근본에는 다른 것이 아닌, \'양심을 가진 인간\'의 \'자기보존\'이 놓여 있다. \'국가\'의 본질은 각 개인이 자신의 \'양심\'에 따라 \'자유롭고\' \'공공연하게\' 살 수 있는 가능성을 보장하는 데에 있다. 이 가능성이 \'인간적\' \'평화질서\'로서의 \'국가\'이다. 이 가능성은 자연상태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자연상태에서는 자신의 \'양심\'을 지키려는 자는 그 생존을 오래 지탱하지 못한다. 이 점이 국가설립의 근본동기이다. \'원자적 개체\'들은 \'국가\' 속에서, 즉, \'평화의 질서\' 속에서 (다시 말하면, 각 개인의 자신의 \'양심\'에 따라서 \'공공연하게\' \'자유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 속에서) 비로소 \'인간\'으로서 살아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능성 속의 삶이 \'시민\'(Burger)으로서의 삶이다. 다시 말하면, 홉스 사상에서의 국가권력과 국가구성원간의 관계는 국가권력과 \'인간\', 국가권력과 \'시민\'의 관계이지, 국가권력 대 노예, 또는 국가권력 대 신민의 관계가 아니다.
참고문헌
- 강우형(1984), 홉스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석사학위 논문
- 김용환(1999), 홉스의 사회정치철학, 철학과 현실사
- 리차드 턱 외(1993), 홉즈의 이해, 문학과 지성사
- 사무엘 E. 스텀프 저, 이광래 역(1998), 서양철학사, 종로서적
- 허버트 알철 저, 양승목 역(1990), 현대 언론 사상사, 나남
- 홉스 저, 한승조 역(1990), 리바이어던, 삼성출판사
칸트는 묻는다. \"어떻게 하면 이성이 실천적인 것으로 될 수 있는가?\" 칸트에 앞서 이런 물음을 자신의 사상의 중심에 놓고 그에 대한 답을 찾는 데 온 열정을 바친 사람이 홉스이다. 홉스의 \'자연법\'은 실천이성의 법칙이다. 따라서 절대권력을 가진 \'국가\'의 설립 또한 실천이성의 명령이다. 즉, 이 말은, 홉스의 자연법론과 국가론이 내포하고 있는 진지한 의미는 \"현세에서의 인간적 평화질서의 현실화 가능성의 조건들\"을 보여 주려는 데 있으며, 단순히 \'생존\'을 보장하려는 데 또는 \'현세에서의 나의 형이하학적(육체적) 삶의 안전\'을 보장하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다. 홉스 사상의 근본에는 다른 것이 아닌, \'양심을 가진 인간\'의 \'자기보존\'이 놓여 있다. \'국가\'의 본질은 각 개인이 자신의 \'양심\'에 따라 \'자유롭고\' \'공공연하게\' 살 수 있는 가능성을 보장하는 데에 있다. 이 가능성이 \'인간적\' \'평화질서\'로서의 \'국가\'이다. 이 가능성은 자연상태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자연상태에서는 자신의 \'양심\'을 지키려는 자는 그 생존을 오래 지탱하지 못한다. 이 점이 국가설립의 근본동기이다. \'원자적 개체\'들은 \'국가\' 속에서, 즉, \'평화의 질서\' 속에서 (다시 말하면, 각 개인의 자신의 \'양심\'에 따라서 \'공공연하게\' \'자유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 속에서) 비로소 \'인간\'으로서 살아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능성 속의 삶이 \'시민\'(Burger)으로서의 삶이다. 다시 말하면, 홉스 사상에서의 국가권력과 국가구성원간의 관계는 국가권력과 \'인간\', 국가권력과 \'시민\'의 관계이지, 국가권력 대 노예, 또는 국가권력 대 신민의 관계가 아니다.
참고문헌
- 강우형(1984), 홉스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석사학위 논문
- 김용환(1999), 홉스의 사회정치철학, 철학과 현실사
- 리차드 턱 외(1993), 홉즈의 이해, 문학과 지성사
- 사무엘 E. 스텀프 저, 이광래 역(1998), 서양철학사, 종로서적
- 허버트 알철 저, 양승목 역(1990), 현대 언론 사상사, 나남
- 홉스 저, 한승조 역(1990), 리바이어던, 삼성출판사
추천자료
루소의 사상
국가와 정치 생활
루소의 고독한 산책자에 나타난 18세기 프랑스 사회 모습
[독후감] 독후감 21편 모음 - 무정, 사회계약론, 리바이어던, 분노의 포도, 시간의 역사, 자...
[과외]중학 사회 2-1학기 기말 예상문제 14
논술지도4 판사보복테러가 주는 사회학적의미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논술하시오.
데카르트 홉스의 근대적 인간관
[서양철학사] 사회주의와 계몽주의 철학
[신학]사회과학에 관한 기독교 철학적 고찰(레포트)
부유한 불평등 자본주의 체계와 가난한 평등 사회주의 체계 중심으로 [독후감]
[정치철학, 정치사상, 자유, 평등, 정치권력, 플라톤, 마이클 샌델, 실천철학, 사회정치]정치...
[책요약] 성의사회학 - 『페미니즘 정치사상사 (Feminist Interpretations and Political The...
(A+ 레포트,시험대비) [사회복지와 윤리] 윤리학에서의 이기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