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도매업
1) 정의
2) 기능
II. 도매업의 현황
1) 국내
2) 해외
III. 우리나라 도매업의 문제점
IV. 향후 전망과 개선방향
V. 참고문헌
1) 정의
2) 기능
II. 도매업의 현황
1) 국내
2) 해외
III. 우리나라 도매업의 문제점
IV. 향후 전망과 개선방향
V.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하던 초창기에 정부는 유통의 근대화를 달성하기 위해 신업태와 소매업의 대형화를 유도하였으며, 이러한 대형 할인점 등이 물가안정에 기여한다고 보아 준농림지에 할인점을 설립할 수 있도록 허가를 해주는 등 법적규제를 완화하였다. 물론 지금은 대형 할인점의 난립이 재래시장과 영세소매점에 큰 타격을 주고 유통경제를 좌지우지하는 상황까지 왔기 때문에 다시 조금씩 제제를 가하고 있지만 이런 식으로 많아져버린 대규모 소매기관들로 인해 도매기관들은 경쟁력을 상실하게 되었고 도매기능이 약화되면서 대규모 소매기관에게 후방통합되는 등 경영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IV. 향후 전망과 개선방향
1) 전망
-우리나라는 국토가 좁고 戰後국이라는 그 특성으로 인해 점포밀도가 높고 영세점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소매구조는 구매를 자주 소량으로 행하는 소비자들의 소비행태에 맞춰진 구조로서 도매구조도 이러한 배경을 안고 형성되어 점포밀도가 높고 영세하다는 특징이 있다.(세운상가나, 남대문, 동대문 시장을 떠올려 볼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대규모 소매기관의 급성장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소비행태가 빈도수는 낮아지고 구매량은 늘어가고 있다. 대규모 소매기관은 이러한 소비행태에 적합한 업태로서 그 성장에 탄력을 받게 되었지만, 영세 소매업체와 도매기관들은 타격을 받게 되었다. 그리하여 도매 기관은 그 기능이 약화되었으며, 소매기관이 그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하면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도매 기관은 유통 경로 상 에서 퇴출되기 시작하였다. 도매 기관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한 이러한 도매기능의 대규모 소매기관으로의 이전현상은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되며 도매 기관이 유통산업에서 존속하기 위해서는 변화에 적응하고, 체질을 개선하여, 업태혁신을 이루는 수밖에 없다. 그동안 도매업자들은 소비자를 찾아다니지 않고 소비자가 찾아오기를 기다리는 자세로 일관해왔다. 하지만 경제가 성숙기로 접어들수록 생산자보다 소비자가 중요해지기 때문에 소비자를 등한시 했던 대다수의 도매기관들은 이제 서야 그 직격탄을 맞고 있는 것이다.
2) 개선방향
-현재 도매 기관의 가장 큰 문제점은 도매 기관이 영세함으로 인해 전문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매센터의 건립이 필수적이다. 도매센터의 건립도 그냥 계획 없이 하면 안 되며, 영세 도매기관들의 체인화를 통해 추진해야 한다. 그래서 영세 도매기관들의 체질을 개선시켜주면서 규모도 대형화 할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소매업태의 발전방향도 대규모 소매기관을 지나서 대형 쇼핑 센터로 점점 발전해나가고 있다. 대형 쇼핑 센터란 그 안에서 쇼핑, 레져, 금융, 문화, 생활 등의 모든 활동을 할 수 있는 신업태를 뜻한다. 그 기능만 따져보아도 알 수 있지만 엄청나게 대형화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대형화의 흐름에 맞추기 위해서라도 도매센터의 건립은 필수적이다. 이렇게 영세 도매기관들의 체인화로 인해 건립된 도매센터는 영세 도매기관으로 하여금 자력적으로 도매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회적인 효과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개선 외에도 도매기관들은 미국이나 일본의 사례와 같이 자력적으로 정보화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고 소비자를 중시하는 태도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IT 기술의 도입으로 인한 주문, 물류, 생산, 판매관리 등의 전 분야에 걸쳐서 IT 업무 시스템을 도입하고, 효율적인 상품전달 루트를 선택하여 물류를 효율화하며, 마케팅력을 높이고, 소매업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나가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상으로 도매 기관의 발전방향을 가늠해보기 위하여, 도매 기관이란 과연 무엇인지, 도매기관이 왜 필요한 것인지, 해외와 국내의 도매업 현황은 어떻게 되며, 앞으로의 전망과 발전방향은 어떠한지, 그리고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살펴보았다.
핵심적인 부분을 다시 언급하자면 최근 들어 대규모 소매기관과 제조업자로부터 전후방통합의 물결이 거세지고 있지만, 수익성에 사로잡힌 이들은 도매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독점 이윤화 되기 때문에 도매 기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설령 도매 기관이 없어진다고 해도 그 기능은 다른 유통기관에 전가되어 수행 되어야 한다. 하지만 도매 기관이 체질개선을 한다면 충분히 변화에 적응하며 존속이 가능한데, 그 대응방책에는 세 가지가 있다. 우선 도매경영을 합리화하고, 도매상을 연계하여 협업화하며, 도매상 주도 연쇄점(앞서 언급한 도매센터에 해당한다.)을 추진하는 것이다. 정상적인 도매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도매기관을 통한 유통이 유통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이상, 도매 기관은 우려와는 달리 쉽게 퇴출되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고 이는 물론 도매 기관의 발전을 위한 의지가 있을 때, 비로소 핑크빛 미래가 다가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V. 참고문헌
1) 서적 및 논문
- 유기준 (2004), 『유통경제 길잡이』, 형설출판사, 180~195
- 삼성경제연구소(2005), 『한중일 유통물류 보고서』, 32~34
- 대한상공회의소(1997), 『21세기 유통비전 및 유통산업의 발전전략』
- 박소현, 안혜영(2006), “주요 유통업태 현황 및 2009년 전망”
하나금융경영연구소
- 박봉두 외 5명, 「21세기 유통론」, 한경사, 2007년 3월
- KOTRA 일본 시장동향 보고서(2006.7.25)
- No마진 시대의 도소매업 (1995) - 나미카타 카쓰히코, 삶과 꿈
- 1998년 한국의 시장 (자유기업센터)
2) 웹사이트
- http://blog.daum.net/joybells/2177675
- http://www.jejubit.net/utong/co_se/14.htm
-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3jujj [키 큰 미류 나무]
- 매일경제신문 http://www.mk.co.kr - 증권 및 뉴스 카테고리
- 하나증권 http://www.clickhana.co.kr - 뉴스시황
- 통계청 http://www.nso.go.kr/
-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IV. 향후 전망과 개선방향
1) 전망
-우리나라는 국토가 좁고 戰後국이라는 그 특성으로 인해 점포밀도가 높고 영세점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소매구조는 구매를 자주 소량으로 행하는 소비자들의 소비행태에 맞춰진 구조로서 도매구조도 이러한 배경을 안고 형성되어 점포밀도가 높고 영세하다는 특징이 있다.(세운상가나, 남대문, 동대문 시장을 떠올려 볼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대규모 소매기관의 급성장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소비행태가 빈도수는 낮아지고 구매량은 늘어가고 있다. 대규모 소매기관은 이러한 소비행태에 적합한 업태로서 그 성장에 탄력을 받게 되었지만, 영세 소매업체와 도매기관들은 타격을 받게 되었다. 그리하여 도매 기관은 그 기능이 약화되었으며, 소매기관이 그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하면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도매 기관은 유통 경로 상 에서 퇴출되기 시작하였다. 도매 기관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한 이러한 도매기능의 대규모 소매기관으로의 이전현상은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되며 도매 기관이 유통산업에서 존속하기 위해서는 변화에 적응하고, 체질을 개선하여, 업태혁신을 이루는 수밖에 없다. 그동안 도매업자들은 소비자를 찾아다니지 않고 소비자가 찾아오기를 기다리는 자세로 일관해왔다. 하지만 경제가 성숙기로 접어들수록 생산자보다 소비자가 중요해지기 때문에 소비자를 등한시 했던 대다수의 도매기관들은 이제 서야 그 직격탄을 맞고 있는 것이다.
2) 개선방향
-현재 도매 기관의 가장 큰 문제점은 도매 기관이 영세함으로 인해 전문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매센터의 건립이 필수적이다. 도매센터의 건립도 그냥 계획 없이 하면 안 되며, 영세 도매기관들의 체인화를 통해 추진해야 한다. 그래서 영세 도매기관들의 체질을 개선시켜주면서 규모도 대형화 할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소매업태의 발전방향도 대규모 소매기관을 지나서 대형 쇼핑 센터로 점점 발전해나가고 있다. 대형 쇼핑 센터란 그 안에서 쇼핑, 레져, 금융, 문화, 생활 등의 모든 활동을 할 수 있는 신업태를 뜻한다. 그 기능만 따져보아도 알 수 있지만 엄청나게 대형화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대형화의 흐름에 맞추기 위해서라도 도매센터의 건립은 필수적이다. 이렇게 영세 도매기관들의 체인화로 인해 건립된 도매센터는 영세 도매기관으로 하여금 자력적으로 도매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회적인 효과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개선 외에도 도매기관들은 미국이나 일본의 사례와 같이 자력적으로 정보화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고 소비자를 중시하는 태도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IT 기술의 도입으로 인한 주문, 물류, 생산, 판매관리 등의 전 분야에 걸쳐서 IT 업무 시스템을 도입하고, 효율적인 상품전달 루트를 선택하여 물류를 효율화하며, 마케팅력을 높이고, 소매업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나가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상으로 도매 기관의 발전방향을 가늠해보기 위하여, 도매 기관이란 과연 무엇인지, 도매기관이 왜 필요한 것인지, 해외와 국내의 도매업 현황은 어떻게 되며, 앞으로의 전망과 발전방향은 어떠한지, 그리고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살펴보았다.
핵심적인 부분을 다시 언급하자면 최근 들어 대규모 소매기관과 제조업자로부터 전후방통합의 물결이 거세지고 있지만, 수익성에 사로잡힌 이들은 도매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독점 이윤화 되기 때문에 도매 기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설령 도매 기관이 없어진다고 해도 그 기능은 다른 유통기관에 전가되어 수행 되어야 한다. 하지만 도매 기관이 체질개선을 한다면 충분히 변화에 적응하며 존속이 가능한데, 그 대응방책에는 세 가지가 있다. 우선 도매경영을 합리화하고, 도매상을 연계하여 협업화하며, 도매상 주도 연쇄점(앞서 언급한 도매센터에 해당한다.)을 추진하는 것이다. 정상적인 도매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도매기관을 통한 유통이 유통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이상, 도매 기관은 우려와는 달리 쉽게 퇴출되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고 이는 물론 도매 기관의 발전을 위한 의지가 있을 때, 비로소 핑크빛 미래가 다가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V. 참고문헌
1) 서적 및 논문
- 유기준 (2004), 『유통경제 길잡이』, 형설출판사, 180~195
- 삼성경제연구소(2005), 『한중일 유통물류 보고서』, 32~34
- 대한상공회의소(1997), 『21세기 유통비전 및 유통산업의 발전전략』
- 박소현, 안혜영(2006), “주요 유통업태 현황 및 2009년 전망”
하나금융경영연구소
- 박봉두 외 5명, 「21세기 유통론」, 한경사, 2007년 3월
- KOTRA 일본 시장동향 보고서(2006.7.25)
- No마진 시대의 도소매업 (1995) - 나미카타 카쓰히코, 삶과 꿈
- 1998년 한국의 시장 (자유기업센터)
2) 웹사이트
- http://blog.daum.net/joybells/2177675
- http://www.jejubit.net/utong/co_se/14.htm
-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3jujj [키 큰 미류 나무]
- 매일경제신문 http://www.mk.co.kr - 증권 및 뉴스 카테고리
- 하나증권 http://www.clickhana.co.kr - 뉴스시황
- 통계청 http://www.nso.go.kr/
-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추천자료
유통관리 사례 eBay(이베이)
SCM(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 관리) _ 유통SCM _ 편의점 등
[유통물류관리] 지게차,크레인,컨베이어
[유통관리 성공사례] Seven-Eleven의 유통관리 현황과 특징 및 4P, STP, SWOT 분석, POS 시스...
유통경로관리,피쉬&그린,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
[물적 유통][유통][물류][물적 유통 개념][물적 유통 환경][물적 유통과 물류관리시스템][물...
[유통기구][유통][유통기구 정의][유통기구 소매상][유통기구 도매상][유통기구 물류관리시스...
[유통경로][유통][유통경로 의미][유통경로 중요성][유통경로 시스템]유통경로의 의미, 유통...
[물적 유통][유통][물류][물적 유통 정의][물적 유통 기원][물적 유통 발전][물적 유통 물류...
[유통업체][유통]유통업체의 영업전략계획서, 유통업체의 고객관리, 유통업체의 동향, 유통업...
[유통경로][유통경로 제조업체 촉진활동][유통경로 갈등관리]유통경로의 개념, 유통경로의 중...
[유통경로][유통경로 설계][유통경로 관리][유통경로 근대화][유통경로 통합]유통경로의 개념...
소비자법=계란 살충제 사건을 통해 본 현행 가축 및 축산물, 식품의 생산, 유통, 관리의 실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