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Mill, John Stuart]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밀의생애

2. 자유론

3. 전제적 권력과 과대 성장국가의 위험성

4. 정부권력 성장에 대한 밀의 견해

5. 대의정부

6. 공리주의

7. 사회개혁론

8. 여성론

본문내용

가 여러 저작에서 외면상 쏟은 관심에 비해 그렇게 적극적이지 않다는 점이나 그가 빈민에 대해서 지녔던 경멸적 태도와 결부시켜 볼 때 그의 세계관이 상당히 중간계급의 그것을 반영한다는 추측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엘리트에 의한 통치를 주장하는 부분은 지식이 어느 정도로 도덕성을 동반하는가 라는 문제를 가져오며, 설령 지성과 도덕성을 겸비한 엘리트가 존재한다하더라도 어떻게 정치적 파워를 장악할 수 있겠는가 하는 점에서 그 맹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살펴볼 것은 밀의 경제체제론이 강건한 이론틀에 기초하는 세밀한 실증적 제도분석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역사철학’에 휠씬 더 가깝다. 또한 그가 제시한 이상향이 단순히 관념적 유토피아가 아니라 현실세계에서 이루어지기 위한 실천적 방법들에 대한 보다 정밀한 이론을 전개하지 못했다는 데 있다.
8. 여성론
1869년 『여성의 종속(The Subjection of Women)』은 페미니즘의 계보에서 획기적 저작으로 꼽힌다. 남성과 여성의 동등한 시민권과 경제적 기회를 주장했던 19세기 자유주의적 페미니즘의 대표적 저서로 밀은 자신이 남성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밀의 사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사람은 바로 해리엇 하디, 밀의 친구인 존 테일러의 부인이었다. 19세기 엄격한 사회적 인습에서 벗어난 이들의 관계는 파격적이었다. 잘 알려진대로 그들이 처음 만났을 때 이미 두 아들의 어머니였던 해리엇 테일러와 20여년 동안 지적 동반관계, 논란이 있는 플라토닉 관계를 유지하다 존 테일러가 세상을 떠난 뒤에야 결혼했다. 해리엇 테일러와의 지적 교류를 통해 밀은 자신의 사상을 정교화 시키고, 발전시킬 수 있었다.
밀과 테일러는 성적 평등 내지 성별 정의를 성취하려면, 사회는 여성들에게 남성과 똑같은 교육을 제공해야 할 뿐만 아니라, 여성들에게 남성들이 즐기는 시민의 자유와 경제적 기회를 똑같이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밀과 테일러는 함께 여성론에 관한 그들의 견해를 세웠지만 테일러와 밀의 여성론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밀은 『여성의 종속』에서 여성의 교육과 남성과 동등한 사회적 역할을 강조했다. 비록 밀은 여성이 남성들과 사실상 동배이며, 여성들이 남성과의 모든 경쟁에서 상당히 잘할 수 있으리라고 믿으면서도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인 차이점이 어느 정도 있음을 인정했다. 밀은 남성과 여성사이에 지적, 그리고 도덕적 차이점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남성의 지적 우월성에 도전했다. 남성과 여성 사이의 지적 성취의 차이점은 남성들의 좀더 철저한 교육과 남성들의 특권적 위치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밀은 여성이 남성들과 사실상 동배이며, 여성들이 남성과의 모든 경쟁에서 상당히 잘할 수 있으리라고 믿으면서도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인 차이점이 어느 정도 있음을 인정했다.
밀과 테일러의 여성론은 분명 19세기 자유주의적 페미니즘의 중요한 산물이다. 그러나 이들은 가정 내의 노동의 분담에 대해 진정으로 도전하지 않은 점, 무엇보다 사회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가 결여되었다는 점에 그 한계가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2.20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69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