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
Testing Method for Specific Gravity and Absorption of Fine Aggregate
1. 시험목적
2. 시험기구/ 기계 및 재료
3. 시험방법
4. 시험 시 주의 및 참고사항

Ⅱ. 굵은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
Testing Method for Specific Gravity and Absorption of Coarse Aggregate
1. 시험목적
2. 시험기구/ 기계 및 재료
3. 시험방법

Ⅲ.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
1. 잔골재
2. 굵은골재

본문내용

기의 최대 치수에 따라 시료의 양을 결정한다
공칭 최대치수(mm)
시료의 최소 중량(kg)
13또는 그 이하
2
19
3
25
4
38
5
50
8
63
12
75
18
90
25
3. 시험방법
1) 시료를 충분히 물로 씻어 청정하게 한 후 항량이 될 때까지 시료를 105±5℃의 온도에서 건조시키고, 1~3시간동안 실내 온도로 냉객시킨다음, 24±4시간동안 실내 온도의 물에 침수시킨다
2) 물에서 꺼집어낸 시료를 흡수성이 큰 천위에 굴려서 표면에 붙어있는 물기를 전부 없앤다.(표면건조포화상태에 달하게 한다)
3) 표면건조포화상태동안 골재의 구멍에서 물이 증발되는 것을 막도록하여야 하며,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무게를 달고, 이 무게와 다음의 무게를 0.5g 또는 시료 무게의 0.0001배 중 큰 쪽의 정밀도로 기록한다
4) 무게를 단 후 표면건조포화상태의 시료를 철망태에 넣어, 밀도 0.997±0.002의 수중에서 무게를 단다. 침수중 무게를 달기전에 용기를 흔들어 갇힌 공기를 조심스럽게 제거한다
5) 시료를 105±5℃의 온도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킨 다음, 1~3시간 동안 실온에서 냉각시켜 무게를 단다
6) 비중 및 흡수량은 다음식에 따라 구한다
· 겉보기 비중 =
· 표면건조포화상태의 비중 =
· 진비중 =
· 흡수량(%) =
· A = 공기중 시료의 건조기에서 건조시킨 중량(g)
· B = 공기중 시료의 표면건조포화상태의 중량(g)
· C = 시료의 수중 중량(g)
7) 시험을 두 번 행하여 그 측정값의 차가 비중 시험인 경우 0.02 이하, 흡수량 시험인 경우 0.05% 이하이여야 한다
◆ 참고 2-1 ◆
· 골재의 비중은 2.50~2.70
- 도로용 부순돌의 비중은 2.50이상, 흡수량은 2.5%이하(KS F 2525)
· 댐 콘크리트용 굵은골재의 비중은 2.60이상을 표준으로 함
· 흡수량이 높을 경우 비중이 적게 나오고 이것은 골재의 상태가 좋지 않다는 뜻이다. 또한 콘크리트의 강도를 낮추고 내구성을 떨어트린다.
Ⅲ.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
1. 잔골재
2. 재료
2.1.3.3 입도
(1) 잔골재는 대소의 알이 알맞게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입도는 표 2.2의 범위를 표준으로 한다. 체가름 시험은 KS F 2502에 따른다.
(2) 품질이 좋은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표 2.2의 입도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조립률이 2.3~3.1인 잔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률이 이 범위를 벗어난 잔골재를 쓰는 경우에는, 2종류 이상의 잔골재를 혼합하여 입도를 조정해서 쓰는 것이 좋다. 또 표 2.2에 표시된 연속된 2개의 체 사이를 통과하는 양의 백분율은 45%를 넘지 않아야 한다.
(3) 잔골재의 조립률이 콘크리트 배합을 정할 때 가정한 잔골재의 조립률에 비하여 ±0.20 이상의 변화를 나타내었을 때는 배합을 변경하여야 한다. AE콘크리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입도변화의 허용치를 앞의 값보다 작게 규정하는 것이 좋다.
(4) 공기량이 3% 이상이고, 단위시멘트량이 250kg/㎥ 이상인 AE콘크리트나 단위시멘트량이 300kg/㎥ 이상인 콘크리트 또는 0.3mm체와 0.15mm체를 통과한 골재의 부족량을 양질의 광물질미분말로 보충한 콘크리트에서는 0.3mm체와 0.15mm체 통과 질량백분의 최소량을 각각 5% 및 0%로 감소시켜도 좋다.
(5) 잔골재에 부순 잔골재나 고로슬래그 잔골재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0.15mm체 통과 분의 대부분이 부순 잔골재나 슬래그 잔골재인 경우에는 15%로 증가시켜도 좋다.
표 2.2 잔골재의 입도의 표준
2.1.3.4 유해물 함유량의 한도
(1) 잔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한도는 표 2.3의 값으로 한다. 표 2.3에 지시하지 않은 종류의 유해물에 관해서는 책임기술자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2) 점토덩어리 시험은 KS F 2512, 0.08mm체 통과량 시험은 KS F 2511, 석탄 갈탄 등 밀도 2.0g/㎤ 의 액체에 뜨는 것에 대한 시험은 KS F 2513에 따른다. 또 염화물 함유량의 시험은 KS F 2515에 따른다.
(3) 잔골재에 함유되는 유기불순물은 KS F 2510에 의하여 시험하여야 한다. 이 때 모래 위에 있는 용액의 색깔은 표준색보다 엷어야 한다.
(4) 모래 위에 있는 용액의 색깔이 표준색보다 진한 경우라도 그 모래로 만든 모르타르 시험체의 압축강도가 그 모래를 3%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씻고, 다시 물로 씻어서 사용한 모르타르 시험체의 압축강도의 90% 이상이 된다면 책임기술자의 승인을 얻어 그 모래를 사용해도 좋다. 이 때 모르타르 시험체의 재령은 보통 포틀랜드시멘트,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 및 혼합시멘트의 경우 7일과 28일, 조강포틀랜드시멘트에 대해서는 3일과 7일로 한다.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에 의한 잔골재의 시험은 KS F 2514에 따른다.
표 2.3 잔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한도(질량백분율)
2. 굵은골재
2.1.4.3 입도
(1) 굵은골재는 대소의 알이 알맞게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그 입도는 표 2.7의 범위를 표준으로 한다. 골재의 체가름 시험은 KS F 2502에 따른다.
2.1.4.4 유해물 함유량의 한도
(1) 굵은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한도는 표 2.8의 값으로 한다. 표 2.8에 지시하지 않은 종류의 유해물에 관해서는 책임기술자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2) 점토덩어리 시험은 KS F 2512, 연한 석편의 시험은 KS F 2516, 0.08mm체 통과량의 시험은 KS F 2511, 석탄 및 갈탄 등 밀도 2.0g/㎤의 액체에서 뜨는 것에 대한 시험은 KS F 2513에 따른다.
(3) 점토덩어리와 연한 석편의 합은 5%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무근콘크리트에 사용할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표 2.7 굵은골재의 입도의 표준
표 2.8 굵은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한도(질량백분율)
2.4.6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1)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부재 최소치수의 1/5, 철근피복 및 철근의 최소 순간격의 3/4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2)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표 2.16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표 2.16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2.22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7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