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개혁개방과 경제성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개혁개방과 경제성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개혁개방 이후의 중국 경제
1. 중국의 개혁과 경제성장
2. 중국 경제 성장의 특징
3. 개혁 · 개방 정책의 성과와 과제
(1) 대내 개혁의 성과와 성공 요인
(2) 대외 개혁의 성과와 성공 요인
(3) 개혁 · 개방의 과제
Ⅲ. 2008년 중국 경제 동향
Ⅳ. 향후 중국 경제 전망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짐을 보이고 있다. 2008년 4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8.5% 상승해 1996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8월 생산자 물가상승률도 10.1%로 3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5월 이후 둔화되기 시작한 소비자 물가 상승세는 앞으로 계속 둔화될 전망이다.
소비자 물가지수(CPI) 및 생산자 물가지수(PPI) 추이
(단위 : %)
구 분
2007
2008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CPI
4.8
7.1
8.7
8.3
8.5
7.7
7.1
6.3
4.9
PPI
3.1
6.1
6.6
8.0
8.1
8.2
8.8
10.0
10.1
글로벌 경제위기가 중국 경제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전에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급속히 둔화되었다. 그동안 중국은 글로벌 금융위기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어 왔으며, 글로벌 경제위기가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내년에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경제의 성장세 둔화와 위안화 환율 상승 등으로 수출이 부진하여 3/4분기 중국 경제는 2003년 2/4분기 이후 처음으로 한 자릿수 성장에 그쳤다.
2007년
2008년 1/4
2008년 2/4
2008년 3/4
성장률
11.9%
10.6%
10.1%
9.0%
분기별 성장률
중국 경제는 8월 베이징올림픽을 계기로 성장 둔화가 지속돼 4/4 분기 경제 성장률은 9%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 2008년 상반기 성장세가 둔화됐지만, 여전히 잠재성장률인 9.1%를 초과하고 있어 경기과열 현상(overheating)이 지속되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경기과열로 인한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지방정부간 중복 및 과잉 투자를 억제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소득 격차가 확대되면서 경제 성장 혜택을 누리지 못한 저소득층의 불만이 고조된 가운데, 물가상승은 저소득층의 실질구매력을 떨어뜨려 사회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Ⅳ. 향후 중국 경제 전망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 전망
(단위 : %)
경제성장률
소비
고정투자
순수출
2008
9.7
7.0
13.5
-2.0
2009
8.1
7.0
10.0
0.0
2009년에도 중국 경제는 감속성장이 지속되면서 경제성장률이 8.1%까지 하락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내 생산비 상승으로 수출가격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고, 세계경제가 하락세로 접어들면서 수출시장 여건도 악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올림픽 개최 이후 투자가 급속히 줄어들면서 경제성장률이 큰 폭으로 하락하는 ‘밸리효과(Valley Effect)’가 나타날 전망이다. 실제로 올림픽 이후로 성장이 둔화되고 있다. 과거 올림픽 개최국 중 10%이상의 고속성장을 구가했던 개발도상국들은 올림픽 이후에 성장률이 4%가량 하락하였다.
또한 2009년에는 4%대의 소비자 물가상승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중국 정부가 실질구매력 하락에 따른 저소득층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물가상승 억제에 적극 나서겠지만, 식료품 및 수입 물가 상승으로 과거와 같은 1% 수준의 저물가를 유지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중국 정부는 물가 변동에 주의하면서 일정 수준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할 전망이다. 중국 정부는 2008년 하반기부터 경제 정책을 물가 안정 속에 성장세를 유지하는 ‘일보일공(一保一控)’ 정책으로 전환해 올림픽 이후 경기급랭을 묵과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이에 대한 조치로 수출 증치세(부가가치세) 환급률 상향조정, 외자 선별유치정책 유예, 위안화 절상속도 조절 등의 정책이 예상된다.
중국 경제 전망
구 분
2007년
2008년
2009년
중 국
11.9
9.8
8.1
(단위 : %, 전년 동기 대비)
Ⅴ. 결론
최근 글로벌 경제위기로 전 세계가 경제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중국 역시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2020년까지 7% 대의 성장을 유지함으로 GDP를 4배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중장기 목표가 크게 어려워 보이지는 않는다. 대내외 환경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중국 경제는 9% 이상의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풍부한 노동력과 무한한 성장 잠재력을 가진 내수 시장, 개혁을 통한 경제 효율성의 제고, 외자 및 기술 도입의 확대 등 중국 경제의 성장 여건이 지속되는 한 성장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중국 경제의 중장기 전망에 부정적인 요인들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 요인들로 첫째, 재정 적자의 문제이다. 이미 중국 정부는 지난 수년간 국채 발행 규모를 늘리는 등 확대 재정 정책을 실시해 왔고, 그 결과 재정 적자가 빠른 속도로 누적되고 있어 재정 건전성 문제가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둘째, 금융 부실과 금융 개혁의 문제이다. 외국 정부나 국제 기구들은 금융 기관의 부실 채권과 금융 개혁의 미흡 등의 문제가 중국 경제의 위기 가능성을 높이는 가장 주요한 요인이라고 지적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은 명확히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 실업 문제에 대한 대책이다. 실업 문제를 담당하고 있는 노동 사회 보장부에 의하면 중국의 도시 지역 등록 실업률은 2000년 말 3.1%, 2001년 3.6%, 2002년에는 4% 수준에 이른다. 특히 중국에서는 각 행정 기구에 등록한 실업자만을 실업 통계에 포함시키고 있어서 미등록자는 물론 일시 휴직자나 농촌 지역 실업자는 통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제 실업률은 공식 통계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부정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세계 경제의 흐름에 적합한 정책을 수립하여 적용시켜 나갈 때, 중국의 경제는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부산대학교 출판부「중국의 경제 발전과 21세기 발전 전략」- 조준현 , 2003
네이버 블로그
삼성경제연구소 「최근 현황 및 2009년 경제 전망」, 2008. 11
http://www.seri.org
http://www.naver.com
매일경제신문
KDI 「중국의 경제 성장과 한국」, 2008. 4
한 중 경제 포럼 「미국발 금융위기가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2008. 11
「글로벌 금융위기의 중국 경제에 대한 영향 및 향후 전망」, 이정진, 이치훈, 2008.10.21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2.23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2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