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우병에 대하여 (광우병 발생원인과 우리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광우병에 대하여 (광우병 발생원인과 우리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광우병 정의
2) 광우병의 발생원인

3. 광우병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위험

본문내용

잘못에 의하여 발생한 것이며 전적으로 인간에게 그 책임이 달려있는 것이다.
실제 소는 자연수명이 20년이다. 35Kg 정도로 태어나고 550Kg 정도까지 크면 도축된다고 한다. 그러나 쇠고기 협상에서 등장하는 소들은 20개월 미만이거나 30개월 미만이다. 그런데도 몸무게는 450-900㎏까지 나간다고 한다. 빅뉴스, ‘미친소는 없다. 동물보호가 곧 식품 안전’, 2008년 05월 28일
30개월 안에 이런 몸무게를 만들려면 정상적인 방식의 방목을 통해서는 안 된다. 항생제와 성장호르몬, 비정상적인 음식을 공급하고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지방을 불리게 해야지만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어린 소들은 좁은 공간에서 시장에 팔 수 있는 무게만을 만들기 위해 여러 고통을 강요받는 것이다. 문제는 이렇게 고통스럽게 자란 소들이 도축되어 시장에 내놓아지면, 그 다음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은 바로 소비자들이라는 것이다. 광우병도 위험하지만 항생제와 성장호르몬, 스트레스를 다량 함유한 고기들이 역시나 소비자들의 건강에 이로울리 없다.
무엇보다 광우병의 잠복기간은 아직 확실하게 정해지지 않았다. 그것이 10년이 되었든 40년이 되었든, 앞으로도 세계에서 그리고 한국에서 인간 광우병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은 여전히 남아있는 것이다. 그래도 현실적으로 나라의 국익을 위하여 쇠고기 수입을 할 수 밖에 없다면 정부는 지금과 같은 일방적 쇠고기 수입 협상 체결과 고시 공포로 국민들의 불신감을 높이는 것이 아닌, 정책 결정 과정에 있어서 국민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노력을 보이고 광우병 우려를 해소할 수 있도록 국민들에게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조기에 광우병을 예방할 수 있는 철저한 감시 시스템과 더불어 장기적인 시각에서도 광우병 예방을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국민들 역시도 단순히 인터넷의 몇몇 주장들만을 믿기 보다는 보다 적극적으로 광우병과 예방책에 대하여 정보를 얻고자 스스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이 광우병으로 인하여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이 없도록 미리 실질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안들이 모색되어 시행되기를 바란다.
<참고 문헌>
로버트 E.애들러(조윤정 옮김), 『의학사의 터닝 포인트』, (아침이슬, 2007)
박상표, 「한국은 광우병 안전지대가 아니다」, (동아일보, 2007)
마크 롤랜즈(윤영삼 옮김), 『동물의 역습』, (달팽이, 2004)
피터 몬타그, ‘미국 소, 결코 안전하지 않다’, (월간말, 2001)
조선일보 칼럼, ‘한미 쇠고기 협상과 촛불 시위’, 2008년 5월 22일
조선일보 경제, ‘귀하신 몸, 돼지고기’, 2008년 5월 12일
빅뉴스, ‘미친소는 없다. 동물보호가 곧 식품 안전’, 2008년 5월 28일
참세상, ‘[광우병 특별기획] 공포의 현실화, 인간 광우병’, 2008년 5월 13일~5월 28일
PD수첩, ‘'미국산 쇠고기 광우병에서 안전한가', 2008년 4월 29일
EBS 지식채널-e, '17년 후 인간 광우병‘, 2008년 5월 12일

키워드

광우병,   프리온,   촛불,   야콥병,   FTA,   쇠고기,   미국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2.25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8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