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력 측정 평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게 적합한 검사항목으로는, 선택반응검사, 손반응검사 등이 있다.
① 선택반응검사
선택된 자극에 대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종목으로 각종 스포츠종목의 운동수행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종목은 어린이들로부터 노인들에 이르기까지 적용 할 수 있는 방법이다.
[ 측정방법 ]
㉠ 빛반응으로 측정하며, 연속 3회 실시하여 높은 값을 택한다.
㉡ 피검자는 발판위에 올라서서 준비 자세를 취한다.
㉢ 불이 들어옴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1㎝정도 살짝 뛰어오른다.
㉣ 검사자는 상해의 위험이 있으므로 피검자가 높게 점프하지 않게 한다.
② 손반응 검사
시각적 자극에 의한 손의 반응시간을 거리로 측정하는 종목으로서 주로 손을 이용하는 배구, 농구, 권투 등의 종목에 대한 민첩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종목은 봉반응 시간 테스트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 낙하된 계측기의 거리를 시간으로 나타내는 것이 다르다.
[ 측정방법 ]
피검자는 책상 끝 부분에 손의 일부를 얹어 놓고 엄지와 인지의 중간에 스틱타이머(stick timer)의 및 부분이 오도록 준비 자세를 취한다.
㉠ 눈금이 표시된 막대가 벌린 손 사이에 낙하하도록 준비한다.
㉡ 막대가 손가락 사이를 지나면 엄지와 4개의 손가락으로 막대를 잡아 눈금을 읽는다.
㉢ 20회를 실시하여 상위기록 5개와 하위기록 5개를 제외하고 나머지 10개의 점수를 평균한다.
③ 인지기능 검사(시,청각 반응 검사)
시,청각 반응 검사는 외부 자극을 지각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각성상태를 유지하는 능력, 관심을 한 가지 자극에 집중할 수 있는 정도, 한 가지 자극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는 능력, 여러 자극 중에서 한 가지 자극에만 주의를 집중하는 주의력 등을 검사하는 복합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 시각 수행력 검사(Visual test)
[ 측정방법 ]
㉠ 컴퓨터 화면에 0부터 9까지 숫자가 일정한 시간 동안 일정한 간격으로 하나씩 제시된 다.
㉡ 표적자극인 ‘3’이 제시될 때만 가능한 한 빨리 단추를 누르게 한다.
㉢ 정반응, 누락오류, 오경보반응, 반응시간을 측정한다.
㉣ 반응시간은 millisecond 단위로 측정한다.
㉯ 청각 수행력검사(Auditory test)
[ 측정방법 ]
㉠ 시각 수행력 검사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
㉡ 청각 자극은 0부터 9까지 녹음한 숫자가 일정한 크기로 제시된다.
㉢ 자극인 ‘3’이 들릴 때만 가능한 한 빨리 단추를 누르게 한다.
㉣ 반응시간은 millisecond 단위로 측정한다.
㉰ 시,청각 복합수행력 검사(Crossover test)
컴퓨터 화면에 시각적 반응을 보여주고 청각적 자극을 주어 반응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 측정방법 ]
㉠ 화면에 “준비”라는 시각적 자극에 의해 버튼을 누른다.
㉡ 청각적 자극 “땡(종소리)”이 주어졌을 때 가능한 빨리 손가락을 떼는 반응시간을 측정한다.
㉢ 반응시간은 millisecond 단위로 측정한다.
⑸ 평형성의 측정
① 외발서기(stork stand)
평형성 검사의 가장 대표적인 측정방법으로서 남녀 모두 손쉽게 측정할 수 있다.
[ 측정방법 ]
㉠ 선 자세에서 한쪽 다리는 들고, 다른 쪽 다리는 수직으로 펴고 뒷발꿈치는 든 상태에서 측정한다.
㉡ 양손은 허리를 잡고 든 다리는 발뒤꿈치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여 지탱하는 다리의 관절부위에 걸친다.
㉢ 지지하는 발을 움직이거나 든 발을 바닥에 대었을 경우, 지지하는 발의 무릎을 굽혔을 경우, 손이 허리에서 이탈하였을 경우에 검사를 중지한다.
[ 외발서기 평가기준 ]
(단위 : 초)
연령
평균±SD
낮다
약간 낮다
보통
약간 높다
높다
남자
20~29
390±66
19 이하
44~140
44~140
141~215
216 이상
30~39
418±75
15 이하
31~101
31~101
102~156
157 이상
40~49
443±94
11 이하
21~71
21~71
72~109
110 이상
50~59
475±104
7 이하
16~49
16~49
50~74
75 이상
60~69
521±115
3 이하
12~23
12~23
34~44
45 이상
여자
20~29
90±96
19 이하
20~42
43~138
139~212
313 이상
30~39
66±70
15 이하
16~30
31~101
102~156
157 이상
40~49
46±49
11 이하
12~21
22~71
72~109
110 이상
50~59
32±33
7 이하
8~15
16~49
50~74
75 이상
60~69
22±21
3 이하
4~11
12~33
34~49
50 이상
② 균형능력측정
노인에게 있어 균형 능력의 감소는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때문에 노인에게 낙상의 가능성 증가와 관련 있는 균형반응의 향상은 낙상을 방지하고 노인의 생활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 Habitual stance
[ 측정방법 ]
㉠ 피검자는 측정대의 좌,우 foor plate 위에 올라선다.
㉡ 피검자는 검사자의 ‘시작합니다’라는 구령과 동시에 편안한 자세로 서서, 시선은 전방을 향한다.
㉢ 10초간 좌,우 균형을 측정한다.
㉯ Balance when standing
[ 측정방법 ]
㉠ 피검자는 측정대의 측면을 향에 foor plate 위에 올라선다.
㉡ 피검자는 좌,우 발판 사이에 발의 중심을 맞춰 선다.
㉢ 피검자는 검사자의 ‘시작합니다’라는 구령과 동시에 편안한 자세로 서서, 시선은 전방을 향한다.
㉣ 10초간 좌,우 균형을 측정한다.
㉰ To stand up and sit down
[ 측정방법 ]
㉠ 피검자는 측정대의 좌,우 foor plate에 올라선다.
㉡ 피검자는 좌,우 발판 사이에 발을 고정시킨다.
㉢ 피검자는 검사자의 ‘시작합니다’라는 구령과 동시에 앉았다 일어서기 동작을 반복한다.
㉣ 10초간 좌,우 균형을 측정한다.
※ 참고문헌 ※
일상생활 수행을 위한 노인건강 체력검사 - 홍춘기, 오상덕, 이승주 지음 <창지사>
운동생리학과 운동처방 - 백일영 저 <대한미디어>
체육측정평가 - 유승희, 송종국, 김형돈, 윤형기 <산과들>
운동검사와 처방 - 전태원 편저 <태근문화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2.26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9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