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기 용량
2. 유전체와 유전율
2. 유전체와 유전율
본문내용
전율 으로 나타낸다. 진공의 유전율 이다. 진공의 유전율에 대한 유전체의 유전율의 비 를 그 물질의 비유전율 이라고 한다. 비유전율이 큰 물질은 축전기나 도선의 피복 등에 많이 이용된다.
유전율은 다음과 같은데, 이 때 K는 유전 상수라고 부른다.
유전 상수 K는 항상 1보다 큰 갑을 갖는데 공기의 유전 상수 K는 약 1.0005로 1과 거의 같기 때문에 공기 축전기는 진공 축전기와 같다고 간주한다. 물은 매우 큰 K값을 가지고 있지만 축전기에서 유전체로 사용하지는 않는데 왜냐하면 순수한 물은 전도율이 아주 낮지만, 반면 뒤어난 이온화 용매이기 때문에 이온이 물 속에서 녹으면 축전기의 극판 사이에 전하가 흐르게 하여 축전기를 방전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유전체가 있을 때의 전기용량은 다음과 같다.
유전율은 다음과 같은데, 이 때 K는 유전 상수라고 부른다.
유전 상수 K는 항상 1보다 큰 갑을 갖는데 공기의 유전 상수 K는 약 1.0005로 1과 거의 같기 때문에 공기 축전기는 진공 축전기와 같다고 간주한다. 물은 매우 큰 K값을 가지고 있지만 축전기에서 유전체로 사용하지는 않는데 왜냐하면 순수한 물은 전도율이 아주 낮지만, 반면 뒤어난 이온화 용매이기 때문에 이온이 물 속에서 녹으면 축전기의 극판 사이에 전하가 흐르게 하여 축전기를 방전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유전체가 있을 때의 전기용량은 다음과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