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결과
2. 결론
3. 토의
2. 결론
3. 토의
본문내용
.7V
2.4V
2
30mA
8.0V
2.8V
1.5V
4.9V
3
45mA
12.0V
4.2V
2.3V
7.3V
4
60mA
14.9V
5.4V
2.9V
9.2V
5
75mA
20.0V
7.3V
3.9V
12.4V
6
90mA
24.3V
8.8V
4.7V
15.2V
7
105mA
28.6V
10.2V
5.4V
17.8V
15.97
5.73
3.06
9.89
측정값 계산 결과 : R = 95.5
L = 437.23mH
C = 52.01
= 8.92V (평균값으로 계산)
Z = 148.59 (평균값으로 계산)
φ = 50.0° (평균값으로 계산)
2. 결론
이 실험은 저항과 콘덴서 코일로 구성된 RLC 교류 회로에서의 임피던스의 위상을 측정하고 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다. 임피던스란 교류회로에 있어서 전류가 흐르기 어려움을 나타내는 양을 나타내는 단위로서 회로에서 일종의 저항과 같은 역할을 한다.
단위는 Ω, 기호는 Z 가 쓰이며, 전압 E에 의해서 흐르는 전류를 I 라고 하면 Z=E/I가 된다. 다만 전압 전류도 실효값을 사용하며, 그 크기 외에 위상(位相)을 나타낼 필요도 있으므로, 일반적으로는 벡터량으로 다루며 복소수 Z=R+jX (j는 허수단위)로 표시한다, 이 경우를 복소 임피던스라고 하며, 보통 임피던스라고 하면 이것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고 실수부분 R를 저항, 허수부분 X 를 리액턴스라고 한다.
우리는 이번 실험으로 교류 회로의 임피던스와 위상을 측정할 수 있었다.
실험의 결과 측정값과 실제값이 조금씩 차이가 났다. 저항은 원래 100이지만 거의 97정도로 측정되었고, 캐패시터는 47이지만 거의 51정도가 나왔고, 코일은 100mH이지만 측정값은 거의 448mH가 나왔다. 각 실험에서 임피던스와 위상은 다양하게 측정되었다.
3. 토의
이 실험에서는 오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오차의 원인을 찾는다면 도선의 미세한 저항에 따른 것이나 기계장치의 조작 미숙 등의 원인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가장 큰 오차의 원인은 교류전원발생기를 이용해서 교류를 발생시킬 때, 정확한 암페어 값으로 맞추었어야하지만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불가능해서 조금씩 오차가 났던게 이 실험에서 가장 큰 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이 실험에서 우리는 임피던스가 일정하면 전류값이 증가함에 따라 전압도 비례관계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다시 말하면 교류회로에서 임피던스는 회로상의 저항과 같은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2.4V
2
30mA
8.0V
2.8V
1.5V
4.9V
3
45mA
12.0V
4.2V
2.3V
7.3V
4
60mA
14.9V
5.4V
2.9V
9.2V
5
75mA
20.0V
7.3V
3.9V
12.4V
6
90mA
24.3V
8.8V
4.7V
15.2V
7
105mA
28.6V
10.2V
5.4V
17.8V
15.97
5.73
3.06
9.89
측정값 계산 결과 : R = 95.5
L = 437.23mH
C = 52.01
= 8.92V (평균값으로 계산)
Z = 148.59 (평균값으로 계산)
φ = 50.0° (평균값으로 계산)
2. 결론
이 실험은 저항과 콘덴서 코일로 구성된 RLC 교류 회로에서의 임피던스의 위상을 측정하고 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다. 임피던스란 교류회로에 있어서 전류가 흐르기 어려움을 나타내는 양을 나타내는 단위로서 회로에서 일종의 저항과 같은 역할을 한다.
단위는 Ω, 기호는 Z 가 쓰이며, 전압 E에 의해서 흐르는 전류를 I 라고 하면 Z=E/I가 된다. 다만 전압 전류도 실효값을 사용하며, 그 크기 외에 위상(位相)을 나타낼 필요도 있으므로, 일반적으로는 벡터량으로 다루며 복소수 Z=R+jX (j는 허수단위)로 표시한다, 이 경우를 복소 임피던스라고 하며, 보통 임피던스라고 하면 이것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고 실수부분 R를 저항, 허수부분 X 를 리액턴스라고 한다.
우리는 이번 실험으로 교류 회로의 임피던스와 위상을 측정할 수 있었다.
실험의 결과 측정값과 실제값이 조금씩 차이가 났다. 저항은 원래 100이지만 거의 97정도로 측정되었고, 캐패시터는 47이지만 거의 51정도가 나왔고, 코일은 100mH이지만 측정값은 거의 448mH가 나왔다. 각 실험에서 임피던스와 위상은 다양하게 측정되었다.
3. 토의
이 실험에서는 오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오차의 원인을 찾는다면 도선의 미세한 저항에 따른 것이나 기계장치의 조작 미숙 등의 원인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가장 큰 오차의 원인은 교류전원발생기를 이용해서 교류를 발생시킬 때, 정확한 암페어 값으로 맞추었어야하지만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불가능해서 조금씩 오차가 났던게 이 실험에서 가장 큰 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이 실험에서 우리는 임피던스가 일정하면 전류값이 증가함에 따라 전압도 비례관계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다시 말하면 교류회로에서 임피던스는 회로상의 저항과 같은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RLC의 실험보고서
`직렬 회로 실험` 실험보고서
`병렬 회로 실험` 실험보고서
`직-병렬 회로 실험` 실험보고서
물리실험보고서 RLC 흐름길
MATLAB과 PSPICE를 이용한 RLC회로의 교류 정상상태
R(저항) L(코일) C(축전기)회로측정 실험
일반물리실험 rlc결과보고서
대학물리실험 예비실험보고서 - RC 및 RL 회로
RLC 실험보고서
전자공학실험 동조회로 실험보고서 < 동조회로 (Tank회로) >
[실험보고서] 전자공학 실험 - 미분, 적분회로 (미적분회로)
[기초회로실험] floyd-옴의 법칙 실험보고서
[실험보고서] 제너 정전압 회로의 고장진단 : 회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고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