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봉사 철감선사탑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부도(쌍봉사 철감선사탑)의 연혁-

-부도(쌍봉사 철감선사탑)의 소개-

-부도(쌍봉사 철감선사탑)의 세부명칭-

본문내용

개부
연꽃무늬를 새겨 넣은 옥개 추녀 끝 막새
사리가 모셔진 탑신 몸돌의 여덟 모서리마다 둥근 기둥모양을 새기고, 각 면마다 문짝모양, 사천왕상, 비천상등을 아름답게 조각해 두었다.
탑신에 새겨진 비천상
상대석에 새겨져있는 가릉빈가
하대석의 구름 문양과 사자상
하대석 상단부에 새겨진 사자상
앙코르왓트의 압살라는 힌두교의 요정이지만, 석재를 떡 주무르듯 조각한 그 솜씨에 세계인이 감탄하나, 이 비천상을 보고 있으면 저절로 선조들의 석조공예술에 고개를 숙이게 된다.
상하 각부가 평면 8각형을 이루는 것은 통식에 속하나, 2단을 이룬 하대석에는 하단에 구름무늬, 상단에 사자를 조각하고, 상대석에는 앙련 위에 8각 대석이 있어, 2중으로 된 안상 안에 가릉빈가 1구씩이 새겨져 있으며, 탑신을 받는 부분에는 연꽃무늬가 둘려 있다. 탑신은 각 우각에 원주형을 세우고, 각면에는 전후에 문비형, 그 좌우에 신장상, 남은 2면에 비천상이 조각되었다.
극락정토의 설산에 산다는 가릉빈가는 머리와 상반신은 사람의 모양이고, 하반신과 날개, 발, 꼬리는 새의 모습을 하고 있다. 아름다운 목소리로 울며, 춤을 잘 춘다고 하여 호성조, 묘음조, 미음조, 선조 등의 별명이 있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12.28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1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