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EC][인터넷전자상거래][인터넷쇼핑]전자상거래(EC)의 개념, 전자상거래(EC)의 유형, 전자상거래(EC)의 기법, 전자상거래(EC)의 모델, 전자상거래(EC) 보안기술, 전자상거래(EC) 보안시스템 전략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자상거래][EC][인터넷전자상거래][인터넷쇼핑]전자상거래(EC)의 개념, 전자상거래(EC)의 유형, 전자상거래(EC)의 기법, 전자상거래(EC)의 모델, 전자상거래(EC) 보안기술, 전자상거래(EC) 보안시스템 전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전자상거래(EC)의 개념

Ⅲ. 전자상거래(EC)의 유형
1. 기업간 전자상거래
2. 기업·소비자간 전자상거래
3. 기업·정부간 전자상거래

Ⅳ. 전자상거래(EC)의 기법과 모델
1. 인터넷과 기타의 새로운 기법
2. 전자상거래의 모델
1) 신뢰성의 확보
2) 거래교섭
3) 지급과 결제
4) 지급장치
5) 상품과 인도

Ⅴ. 전자상거래(EC)의 보안 기술
1. 대칭적 암호화방법[비밀키기법]
2. 비대칭적 암호화방법[공개키기법]
3. 인증기관과 인증절차
4. 전자서명

Ⅵ. 전자상거래(EC)의 보안시스템 전략
1. 보안 프로토콜 분야
1) 기술 개발 현황
2) 시장성
3) 비용
4) 국내 개발 가능성 및 타당성
2. 지불 프로토콜 분야
1) 기술개발 현황
2) 시장성 및 비용
3) 국내 개발 가능성 및 타당성
3. 전자화폐 시스템 분야
1) 기술개발 현황
2) 시장성
3) 비용
4) 국내 개발 가능성 및 타당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부 업체들은 자사만의 Non-SET을 개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1) 기술개발 현황
현재 지불 프로토콜의 대표적인 예로는 비자사와 마스터카드사를 주축으로 개발된 SET 1.0이 있으며, Non-SET으로는 미국의 CyberCash, First Virtual 등이 있다. 국내의 경우 SET 관련하여 커머스넷 코리아(CNK:CommerceNet Korea)에서 한국형 전자상거래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데이콤 등이 기술개발을 담당하여 SET 시스템을 구축하고 현재 운영 중이다. 한국과학기술원의 국제전자상거래연구센터(ICEC : International Center for Electronic Commerce)는 메타랜드를 설립하여, SET 시스템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비씨카드 등 4개 신용카드사와 한국통신 등은 공동으로 코리아사이버페이먼트(KCP : Korea Cyber Payment)를 설립하여 SET 시스템 구축 중이다. Non-SET 관련 이니텍 전자지불 시스템이 이니텍(주)社에 의해 개발된바 있다.
2) 시장성 및 비용
SET 개발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더욱이 개발된 제품의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미국의 검사기관인 SETCo에 많은 수수료를 납부해야만 하는 실정이다. 국내에서 개발된 제품들은 현재까지 SETCo에 인증 신청을 하지 않은 상태이며, 이것은 국제호환이 아닌 국내에서만 사용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SET용 인증기관은 별도로 마스터카드사나 비자카드사의 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아야 하며, 그 과정에서 수만 불에 이르는 수수료가 요구된다. 이러한 SET 시스템 구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Non-SET 형태인 독자적 지불프로토콜이 일부 업체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 강원도청 전자상거래 사업에는 이니텍(주)이 참여하여 자사의 지불 시스템을 구축한바 있다. 커머스넷코리아의 인증기관 서버는 IBM Registry 인증기관 서버를 도입 하였고, KCP는 GTE CyberTrust 인증기관 서버를 도입하여 시험 운용 중이다.
3) 국내 개발 가능성 및 타당성
Non-SET 유형의 지불 프로토콜은 이미 몇몇 업체에 의해 개발, 사용 중이며, 그 기술 또한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국내 SET 시스템 구축업체가 국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사용자 전자지갑, 머천트 서버, 지불게이트웨이 서버 등의 국산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더불어 SETCo의 인증마크 획득을 통하여 대외 수출의 기반을 마련해야만 할 것이다. 미국의 IBM, HP 등은 자사의 H/W에 머천트서버나 PG서버를 탑재한 시스템을 Turnkey 방식으로 일괄 판매하는 등, SET 관련 솔루션의 판매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지불 프로토콜 분야는 보안 프로토콜과는 달리 응용 계층에서의 작업이기 때문에 설계 및 개발이 국내 기술에 의해 추진될 수 있으며, 지불 프로토콜에 대해 SET과 같은 형식의 국내 표준을 제정함으로써 국내 보안관련 업체들의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특화된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3. 전자화폐 시스템 분야
전자화폐 프로토콜 분야는 몇몇 연구기관에 의해 일부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나, 국가 프로젝트나 기업체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례는 없다.
1) 기술개발 현황
전자화폐 분야는 인터넷 기반이 아닌 오프라인 방식의 일반 직불카드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시스템으로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나, 현재는 인터넷 전자상거래와 접목되어 개발 전개되고 있는 추세이며, 유럽의 Mondex나 Ecash가 가장 앞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일본의 NTT는 전자화페 시스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금융결제원을 중심으로 은행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산하의 전자화폐연구회 등에서 소규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화폐 시스템은 보안 프로토콜이나 지불 프로토콜과는 달리 웹기반 기술보다는 스마트카드나 관련 장비에 대한 H/W 및 S/W 기술이 요구되며, 국내의 하드웨어 기술은 유럽의 수준과 많은 격차를 보이고 있다.
2) 시장성
Mondex는 유럽을 중심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 및 호주도 Mondex 시스템을 도입 구축하고 있다. Ecash는 미국의 Mark Twain 은행과 협력하여 전자화폐 발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크게 확산되고 있는 상태는 아니다. 그러나 전자화폐 시스템은 지불 프로토콜에 기반을 둔 지불시스템을 대치할 미래지향적 기술로 뛰어난 안전성, 사용의 편리성(온라인 및 오프라인지원),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장 등의 강력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서 미래 전자상거래 시장의 독점적인 지불수단으로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3) 비용
일반 지불 프로토콜 개발에 비해 기술개발 및 구현이 다소 어려우며, 특히 암호기술의 적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4) 국내 개발 가능성 및 타당성
전자화폐 시스템 개발은 프로토콜 설계 부분과 시스템 구축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프로토콜 설계 부분은 전자서명 알고리즘, 은닉서명 알고리즘 등의 요소기술 알고리즘을 필요로하며, 더불어 그것들을 기반으로 인출 프로토콜(은행과 사용자간), 지불 프로토콜(사용자와 상점간), 예치 프로토콜(은행과 상점간)에 대한 설계능력이 요구된다. 국내에는 현재 KCDSA 전자서명 알고리즘이 표준화중이나 나머지 프로토콜 설계 부분에 대한 기반기술은 확보치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국산 전자서명 알고리즘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연구개발이 진행된다면 개발 가능성은 충분하다. 시스템 구축 부분은 스마트 카드 및 관련 시스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가 필수적이다. 결론적으로, 단기적인 성과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을 통해 집중적인 전략사업으로 육성한다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참고문헌
문병설(2001) /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대 경영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송태준(2004) / 우리나라 전자상거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목원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석기(2000) / 우리나라 전자상거래 실태분석과 활성화방안, 동의대학교 석사논문
탁승호(1998) / 알기쉬운 전자화폐 이야기, 영풍문고
최경진(1998) / 전자상거래와 법, 현실과 미래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12.2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2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