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침사현미경검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요침사현미경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때문이다. 또한 약물치료나 방사능 염료도 결정체나 침전을 일으켜서 신 세뇨관을 폐색시켜 신장 손상의 전조가 될 수 있다.
<표 1-2> 소변 결정체의 유형과 임상적 의의
소 변
결정체의 유형
임상적 의의
정상 산성뇨
amorphous urates, 요산, calcium oxalate, clacium sulfate
정상
정상 알칼리성뇨
amorphous urates, triple phosphate, calcium phosphate, calcium carbonate
정상
비정상뇨
cystine, tyrosine, leucine, cholesterol, sulfonamide
선천성 대사질환(시스틴뇨증), 심한 간질환, 백혈병, 장티프스, 요로감염, 신염, 신장에 지질축적 설파제 요법 시
⑥ 기타
수많은 다른 물질들 즉 세균, 이스트, 점액, 정자, 기생충 등이 현미경적 소변감사에서 발견된다. 세균은 정상적으로 소변에 존재하지 않으나 비뇨 기관의 감염이나 검사물이 오염되었을 때 발견된다. 세포 수는 검사 물을 실온에 몇 시간 이상 방치하면 증가하므로 소변의 세균은 일반적으로 감염이나 염증 과정일 때 보이는 백혈구의 과다 증가와 동반되지 않으면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 소변 중 이스트는 칸디다증과 같은 이스트 감염에 걸린 여성의 질 분비물로 오염 되었을 때 나타난다. 소변 중 점액은 대체로 비뇨생식기관의 분비물이며 질 분비물로 오염되었을 때 나타난다. 정자는 성교 후나 정루 시 발견된다. 기생충은 질구에 존재하고 흔히 트리코모나스 질염으로 인해 나타난다. 진성 비뇨기 기생충은 빌하르쯔 주혈흡충증(schistosoma hematobium)이다. 이것은 주혈흡충증에 걸린 사람에서 볼 수 있지만 드문 병이다. 만일 요충과 다른 장내 기생충이 발견된다면 검사물이 대변으로 오염되었음을 나타낸다.
* 임상적 의의
세균 : 요 1㎖당 100,000 이상의 세균이 검출될 경우 요로감염증을 의심할 수 있다.
2. 검사목적 및 적응증
일반 소변검사는 입원이나 수술 전 신체검사의 필수적인 선별 검사이며, 신장이나 전신질환이 의심될 때도 실시한다. 사전에 확인된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므로 일반 소변검사도 필요시 개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적응증이나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비린내나 고약한 냄새나 아질산염, 백혈구 에스테라제, 백혈구, 적혈구, 박테리아 등이 존재하는 비뇨 기관의 감염을 탐지하기 위해
②소변에 당이나 케톤체가 나타나고 비중이 낮은 당뇨병을 알아내기 위해
③임신 중 당뇨병을 알아내기 위해
④단백뇨로 표시되는 임신의 합병증을 탐지하기 위해
⑤혈액 시약지 검사에 양성반응을 보이고 현미경적 검사에서 적혈구가 나타나는 비뇨 기관의 출혈을 확인하기 위해
⑥신장 질환을 알아내기 위해
⑦빌리루빈이나 과다한 유로빌리노겐 또는 leucine이나 tyrosine 결정체가 나타나는 간질환을 확인하기 위해
⑧빌리루빈이 나타나고 유로빌리노겐이 나타나지 않은 담관 폐색을 탐지하기 위해
⑨Bence Jones 단백질이 나타나는 다발성 골수종을 진단하기 위해
⑩케톤이 나타나는 체중감량식이의 효율성을 조사하기 위해
⑪유리 헤모글로빈과 유로빌리노겐 수치가 상승하는 전신 순환계 내에서의 과다한 적혈구 용혈을 알아내기 위해
⑫광범위한 근육 손상을 확인하기 위해
3. [나-5] 요 백혈구 시험지봉 검사 (Urine WBC stick test)
요 시험지봉 검사(reagent strip)는 가느다란 strip에 정사각형의 모양의 다양한 색깔로 된 시험지가 붙어 있는 것을 이용한다. 주로, pH(산도), 요당, 요 단백, 빌리루빈, 케톤, 잠혈 반응, 유로빌리노겐, 질산, 백혈구 등을 검사할 수 있다. 그러나 시험지봉 하나로 여러 가지 많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서 간편한 검사이긴 하지만 측정되는 양이 정확하지가 않은 반정량 검사다. 단지 정상, 비정상 여부를 판정해 줄 뿐 정확한 수치를 제시하지는 못하는 검사다. 이것으로 일단 몇 가지 이상 유무를 감별(screen)한 다음에 이상이 있으면 정밀검사를 받게 된다. 이처럼 요 시험지봉 검사는 정밀검사의 필요성의 판단지표가 될 뿐이다.
1) 요 백혈구 시험지봉 검사 방법
요 시험지봉 검사에서 검사할 수 있는 많은 항목들 중 가운데 요 중에 백혈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요 백혈구시험지봉 검사이다.
소변을 통해 백혈구 에스테라제(leukocyte esterase)가 있는지 보는 것은 특정 백혈구(호중구)가 존재하는지를 빠르게 선별하여 비뇨기 감염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 검사는 시약지로 시행되며, 호중구에 있는 에스테라제가 시약지 상에서 indolxyl carboxyl로 전환시켜 실온에서 남색으로 변한다. 호중구가 있을 때 이 반응이 나타나려면 약15분이 필요하다. 이 검사 결과가 만일 양성이면 소변배양 검사를 실시한다.
그러나 요 시험지봉 검사에서는 양성인데 현미경관찰에서는 음성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아질산염(Nitrite)과 백혈구 에스테라제(leukocyte esterase) 검사를 함께 요로감염증의 진단에 이용한다면 검사예측치가 97.5%에 이른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두 검사에서 모두 음성이라면 요 배양을 할 필요는 거의 없다고 본다. 요 침사관찰 상 세균 없이 농뇨만 존재하는 경우(sterile pyuria)는 신세뇨 간질성 질환(tubulointerstitial disease), 신결석, 발열, 스테로이드 치료 등에서 가능한 소견이다.
백혈구 에스테라제 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저해하는 요인 또한 여러 가지가 있다. 검사물이 질 분비물에 오염될 경우 거짓 양성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거짓 양성 반응은 소변 내에 단백질이나 아스코르빈산이 많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소변에 노란색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면 푸른색 대신 초록색으로 변화된다.
* 참고문헌
도서명
저 자
출판사
암성검사와 간호
송 경애, 장 혜숙 외
수문사
임상병리검사학 개론
한국임상병리학과 교수 협의회
고려의학
* 참고사이트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이 수 연(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님의 요 검사 강좌.
  • 가격1,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2.28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3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