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작하며
제1장 21세기 세계선교통일 환경
제2장 북한의 종교정책과 종교실상
제3장 남북 이질화 극복과 민족통일
제4장 민족복음화와 북한 선교전략
제1장 21세기 세계선교통일 환경
제2장 북한의 종교정책과 종교실상
제3장 남북 이질화 극복과 민족통일
제4장 민족복음화와 북한 선교전략
본문내용
계속해서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북한 핵문제의 원활한 해결과, 군사적 긴장 완화와 신뢰를 유지하려는 노력은 화해, 협력단계에 이어 더욱 더 통일을 가깝게 할 것이다.
제 4 장 민족복음화와 북한 선교전략
저자는 책을 마무리하며 이 책의 본 주제라 할 수 있는 북한선교에 대한 당위성과 그리고 선교전략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저자는 ‘북한 선교는 하나님의 뜻이요 명령이다.’ 라고 말한다. 또한 ‘동족인 북한동포에 대한 선교는 최우선이다.’라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지하에서 믿음을 지키고 있는 북한 성도에 대한 복음선포는 우리의 사명이다.’라고 말한다. 위와 같은 당위성을 바탕으로 한국교회는 마땅히 북한선교에 대한 역할을 감당해야 하며, 그 것은 현 교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제라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당위성이 충분한 북한선교의 전략을 세우는데 가장 우선시 되야 할 것은 목표를 제대로 설정하는 것이다. 북한에서의 하나님 나라의 실현은 북한선교의 가장 큰 목표가 될 수 있다. 즉, 북한동포에게 복음을 전파하여 북한 땅에 온전한 하나님 나라를 건설하는 것은 우리에게 주어진 뚜렷한 북한선교 목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저자는 북한선교의 전략을 여러 가지로 나눠 설명하고 있는데, 그 중 첫 번 째가 선교조직의 통합 발전이다. 현재는 북한선교를 위한 통합기구 등 창구의 일원화를 위한 강력한 조직이 미흡한 실정에 있다. 각 교단 별의 산발적이고 미미한 북한선교 기구는 그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각 교단별로 산발적이고 미미한 북한선교 기구를 일원화 시키려는 노력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또한 북한선교인력의 전문적인 육성과 교육이 필요하다. 북한선교 사명과 비전의 저변확대를 위한 연구와 노력이 계속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문화를 통한 선교, 즉 문화 선교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할 수 있고 통일의 길을 앞당기는 역할을 문화선교가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북한선교 매체 능력을 확충 시키려는 노력을 해야한다. 북한선교 기구의 선교전략 의도와 선교 내용 현정세, 선교대상의 문화, 환경 등을 고려한 적합한 선교 매체 사용해야 하는 것이다
*목차
시작하며
제1장 21세기 세계선교통일 환경
제2장 북한의 종교정책과 종교실상
제3장 남북 이질화 극복과 민족통일
제4장 민족복음화와 북한 선교전략
제 4 장 민족복음화와 북한 선교전략
저자는 책을 마무리하며 이 책의 본 주제라 할 수 있는 북한선교에 대한 당위성과 그리고 선교전략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저자는 ‘북한 선교는 하나님의 뜻이요 명령이다.’ 라고 말한다. 또한 ‘동족인 북한동포에 대한 선교는 최우선이다.’라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지하에서 믿음을 지키고 있는 북한 성도에 대한 복음선포는 우리의 사명이다.’라고 말한다. 위와 같은 당위성을 바탕으로 한국교회는 마땅히 북한선교에 대한 역할을 감당해야 하며, 그 것은 현 교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제라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당위성이 충분한 북한선교의 전략을 세우는데 가장 우선시 되야 할 것은 목표를 제대로 설정하는 것이다. 북한에서의 하나님 나라의 실현은 북한선교의 가장 큰 목표가 될 수 있다. 즉, 북한동포에게 복음을 전파하여 북한 땅에 온전한 하나님 나라를 건설하는 것은 우리에게 주어진 뚜렷한 북한선교 목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저자는 북한선교의 전략을 여러 가지로 나눠 설명하고 있는데, 그 중 첫 번 째가 선교조직의 통합 발전이다. 현재는 북한선교를 위한 통합기구 등 창구의 일원화를 위한 강력한 조직이 미흡한 실정에 있다. 각 교단 별의 산발적이고 미미한 북한선교 기구는 그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각 교단별로 산발적이고 미미한 북한선교 기구를 일원화 시키려는 노력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또한 북한선교인력의 전문적인 육성과 교육이 필요하다. 북한선교 사명과 비전의 저변확대를 위한 연구와 노력이 계속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문화를 통한 선교, 즉 문화 선교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할 수 있고 통일의 길을 앞당기는 역할을 문화선교가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북한선교 매체 능력을 확충 시키려는 노력을 해야한다. 북한선교 기구의 선교전략 의도와 선교 내용 현정세, 선교대상의 문화, 환경 등을 고려한 적합한 선교 매체 사용해야 하는 것이다
*목차
시작하며
제1장 21세기 세계선교통일 환경
제2장 북한의 종교정책과 종교실상
제3장 남북 이질화 극복과 민족통일
제4장 민족복음화와 북한 선교전략
추천자료
북한 IT산업 정책의 특성에 관한 고찰
북한의 대외정책
도로교통 안전정책 분석 및 평가
중국, 베트남, 북한의 개혁 개방 정책 비교
북핵문제,핵무기개발,북핵위기,대북핵전략,북한핵문제,한반도핵문제,북핵문제의 전개, 핵무기...
[북한경제개혁][북한경제체제][북한경제정책][북한경제]북한경제개혁의 목표, 북한경제개혁의...
북핵 문제를 통해 살펴본 중국의 對북한 정책-6자회담에서 중국의 역할을 중심으로
북한의 군사정책 및 현황
북한 외교정책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통일][남북통일][통일정책][남북통일정책][대북정책][남북관계][북한]통일(남북통일)의 개념...
[주택정책][주택정책의 수단][주택정책의 개혁안][북한의 주택정책 사례]주택정책의 특징, 주...
[일본 정책][일본][대외정책]일본의 대외정책, 일본의 안보정책, 일본의 방위정책, 일본의 동...
동북아시아안보(동북아안보)의 협력필요성, 현황, 동북아시아안보(동북아안보)의 일본대외정...
북한의 대외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