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미래 교육이다 - 태국의 무반덱 학교>를 보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것이 미래 교육이다 - 태국의 무반덱 학교>를 보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며

2.무반덱 학교의 전반

3.자연과 함께 하는 무반덱 학교

4.학습자의 자유를 보장하는 수업

5.학습자의 자발적 참여를 요구하는 수업

6.무반덱 학교의 설립 배경

7-1. 무반덱의 교육 사상 - 니일의 영향

7-2. 무반덱의 교육 사상 - 불교사상

8.소외된 아이의 치유와 교육

9.교사들의 철저한 학습 준비

10. 결론

본문내용

설 설치를 돕고 있다.
“지루해요. 그래서 적응이 안됩니다. 제가 옳지 않은 건 알아요.
그런데 솔직히 지금은 공부하고 싶지 않아요“
“그래서 수업 안 들어갔니?” 라고 묻는 제작진에게
“어디 놀데 있으면 안 들어가고 그냥 놀러가요”
라고 말한다.
영어교사인 다니엘은 말한다. 외부의 강요로 공부를 하게 되면 그것은 스스로의 결정이 아니기 때문에 스스로 생각하지 않고 따라 하라면 따라하고, 쓰라면 쓰게 된다고 한다. 이 경우에는 스스로 생각하지 않고 하기 때문에 공부를 하고 있지만, 실제로 배우는 것을 습득하지는 못하게 된다고 말한다.
즉, 무반덱에서는 공부를 시작할 시기를 아이들이 스스로 선택하게 한다. 학습 준비성이란 나이만을 의미하지 않는 것이다. 바로 아이의 심리 상태와 정신 까지 살펴서 수업 참여를 보내는 것이다. 그래서, 교장은 첫째로, 어린이에게 전혀 강요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학교장의 원칙하에 자유롭게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어린이에게 강제로 교실에 들어가라고 하지 않는다. 선생님들은 어린이가 무엇을 하는지 지켜보기만 한다. 그리고 아이들은 일하는 동안에 노는 친구가 있어도 뭐라고 하지 않는다.
5.학습자의 자발적 참여를 요구하는 수업
여기서, 학습에 참여하지 않고, 힘들어하는 한 학생이 보인다. 분 이라는 학생이다. 분은 국어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지가 벌써 사흘 째 이다. 무료해 보이는 모습이지만, 교감선생님과 교사는 전혀 개의치 않는다. 그리고, 분은 결국 교실을 나가 버린다.
교감은 멀리서 아이의 기분을 살핀다고 말한다. 말을 듣지 않아 몇 번씩 주의를 준 아이는 거리를 두고 주시하는 방식을 적용한다고 한다. 그러한 아이는 교사가 가까이 가는 것이 자기를 도와주려 한다는 것을 잘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교사의 사명감과 자세 같은 것이 나온다. 바로, 교사는 인내심을 가지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냥 방치만 하는 것이 아니라 했다. 멀리서도 항상 관심을 갖고서 자유롭게 두고 지켜보는 것이다.
얼마 지나지 않아 분이 다시 교실로 돌아온다. 망설이는 분을 교감 선생님은 나무라지 않고 분을 책상으로 이끈다. 이렇게 무반덱에서 어린이는 배우거나, 배우지 않을 선택권이 있다. 하지만, 교사는 강제적인 수업 참여가 아니라,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도록 이끈다.
그리고, 교장은 말한다. 바로, 두 번째는 관심이라는 것이다. 학생들에게 어떻게 즐거움을 주고, 편하게 해줄 수 있는지 생각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교사는 교실의 환경과 어린이의 관심이 서로 일치하는지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렇게 알 수 있듯이 자발적인 수업참여는 학업 성취도를 높인다. 아이들은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 간다.
무반덱에서는 교사의 우월적 지위를 인정하지 않고, 어린이의 권리를 늘리고 있다. 자유와 평등, 상호 존중에 기초해서 권위적인 요소를 최소화한 교육 체제를 유지하려고 한다. 이런 배경에서 스스로의 힘으로 자신을 이해하고,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데 교육 목표를 두고 있다.
6.무반덱 학교의 설립 배경
무반덱 어린이 마을 학교의 설립 배경을 보자. 처음에는 1979년에 문을 열었다. 당시 태국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벌여 온 교육 개혁 운동의 한 산물로 탄생한 것이다. 70년대 태국에서는 권위주의 교육의 폐해가 극심했다.
어린이 재단 단장은 정부에서는 오직 한 가지 방법의 학교제도를 만들어 그것을 배우도록 강요한다고 했다. 바로, 어린이의 개성과 관심을 무시하고 모든 학생들에게 공부만을 주입시켜 온 것이다. 그러한 상황에서 동차이 부부는 권위적인 교육에 맞서 70년대부터 교육 운동을 펼쳐 온 것이다. 그 과정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소외 계층의 자녀를 대상으로 한 무반덱을 설립했다. 의식주 기초 생활을 보장하고, 심신을 치료한다는 원칙을 지키고 지금까지 이를 실천해 가고 있는 것이다.
사실, 무반덱이 들어서기 전 이곳은 황무지나 다름없었다. 나무를 베어 내고 개간하고 농사를 짓던 곳인데, 땅의 수명이 다하자 사람들로부터 버림받은 것이다. 하지만, 무반덱 사람들은 이곳에 다시 나무를 심고 학교와 집을 지었다. 그리고, 현재의 배움터와 삶터, 일터와 놀이터가 함께 있는 마을학교. 자연과 사랑이 공존하는 생명의 땅으로 가꾸어 간 것이다.
7-1. 무반덱의 교육 사상 - 니일의 영향
중앙 광장에서 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이곳 무반덱에서 대안교육 워크
  • 가격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2.29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9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