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 옵스큐라에서 ‘디카’까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카메라의 변천사
①탄생(발명)
②발전
③라이카
④모방과 역전

3.현대적 카메라가 가진 디자인적 특징
①그립과 셔터버튼
②메카닉한 이미지

4.디지털 카메라의 개발
①필름의 고정관념에서 탈출하다!
②디지털 카메라가 선물한 개념

5.결론

본문내용

털 카메라가 점차 보편화 될 수 있던 것은 역시 일본의 기업인 CASIO가 90년대에 들어서면서 개발한 QV시리즈였고, 90년 후반과 21세기 초에 접어들면서 세계 각 기업들간의 화소 경쟁과 열정적인 연구로 급진적인 성장을 거두면서 몇 년 사이 눈부신 기술력을 갖추게 되었다.
②디지털 카메라가 선물한 개념
디지털 카메라가 사회적으로 끼친 영향은 생각보다 많은 편이다. 디지털 이미지의 확산과 그로 인한 이미지의 범람이나, 필름이 필요 없게 되면서 기존의 필름 생산 업체나 소규모 현상 업체가 받게 되는 타격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이기에 가능했던 디자인 한 개를 조명해 볼까한다. 그것은 바로 회전의 개념이다.
I. Nikon SQ, Nikon Cp-950,990,4500, SONY DSC-F77A, SONY U-50
II. Nikon Cp-5700, Pentax optimo 33L
렌즈가 회전하는 Nikon Coolpix-4500
현재 시판되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들로 I는 렌즈가 회전하는 방식을 가진 기종들이고 II는 LCD가 회전하는 기종들이다.
여기까지 보고 "근데 그게 어떻다는 거지??" 하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고, 필자도 그렇게 생각하였다. 하지만 회전, 특히 렌즈회전의 경우는 디지털 카메라만이 가능한 것으로, 촬영하기 힘든 각일 경우에도 렌즈의 회전만 조절해 주면 되기 때문에 사진 촬영의 자유를 확장하는 큰 효과가 있다.
Minolta Dimage V
그렇다면 필름 카메라에도 LCD를 만들고 따로 필름과 렌즈를 함께 회전하도록 만들면 되지 않느냐는 말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그런 방식은 카메라의 크기가 커지는 결과를 초래하는,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는 발상일 뿐만 아니라 다음의 MINOLTA 라는 기종을 보게 된다면 그런 생각도 별 호응을 얻지 못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기종의 경우에는 과거에 화제가 되었던 몰래 카메라와 같은 생김새를 하고 있다. 동그란 부분에 달린 렌즈는 따로 독립되어서 영상저장장치와 LCD가 있는 몸체와 가느다란 케이블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필름 카메라에서는 불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의 개발로 가능했던 개념인 것이다.
5. 결론
지금까지 두서 없는 문장으로 '카메라 옵스큐라에서 디카 까지'라는 제목으로 카메라의 발전과 디자인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너무나도 방대한 영역이기 때문에 하나하나에 대하여 다 조명하지 못한 데에 대한 아쉬움이 남기는 하지만, 그것은 실로 눈부신 발전이었고, 나로 하여금 먼 미래에는 어떤 기술이 개발될까 하는 무궁한 호기심을 갖게 하였다. 하지만 그러한 호기심과 함께 나에게는 한가지 아쉬움이 남는다. 그것은 우리나라의 광학기술이 너무나 많은 외면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내가 디지털 카메라를 사기 위해 어떤 제품이 좋은 지 여러 인터넷 사이트에 물어 보던 시절의 이야기이다. 이것저것 여러 조언들이 있었지만, 그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삼성 것은 사지 마세요"라는 답변이었다. 국산은 글렀다는 인식 때문이었을까. 주위 친구들에게 물어보아도 돌아오는 대답은 비슷했고, 결국 나는 일본 제품을 사게 되었다.
하지만 내가 뒤늦게 카메라 매니아들이 쓴 카메라 사용기들을 비교했을 때, 기능, 디자인 등으로 분류한, 삼성 카메라에 대한 평들이 일본 제품의 그것들에 비해 뒤지기는커녕 더 좋은 평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지금 가지고 있는 카메라를 사지말고 삼성 제품을 살껄 하는 생각마저 들었다.
삼성테크윈에서 개발한
Digimax V4
이런 일들은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큰 병폐중의 하나 일 것이다. 맹목적인 기술 사대주의, 그것은 일본이나 미국 등 선진국을 향해 특히 더 하다.
이러한 현상들을 타개하기 위한 방법은 우리 하나 하나가 국산품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뿐이다. 이미 국내 기업이 가지고 있는 기술은 외국의 그것에 결코 떨어지지 않는 수준에까지 와 있다. 우리는 앞서 다룬 '모방과 역전' 단원에서 어떻게 일본이 그러한 도약을 이루어 냈는 지 한번쯤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한다. 그것은 일본이 라이카를 모방해서 개발한 카메라의 성능이 괜찮았던 탓도 있지만, 라이카 보다 더 떨어질지도 모르는 그 제품들을 자국의 제품이라는 이유만으로 관심을 가져준 일본 국민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인 것이다.
<참고한 인터넷 웹 싸이트>
엠파스 백과사전
http://www.infocam.co.kr
http://dica114.com
http://www.dcinside.co.kr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2.30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17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