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의 전원도시 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하워드의 전원도시 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며

2)배경

3)하워드의 생애

4)사상의 원천

5)전원도시의 실현

6)하워드의 영향과 그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성공이냐 실패냐에 관계없이 충분한 논의의 가치가 있고 각국의 도시정책에 실제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특히 제 2차 세계대전 후 영국정부는 도시성장이 제어수단으로서 일련의 신도시계획을 추진하면서 그린벨트, 전원도시 등의 개념을 활용해왔다. 한편 전원도시 사상이 영향을 미친 것은 널리 알려진 대로 페리(Clarence Perry)의 근린 주구단위 개념, 2차 대전 후 미국도시의 건물블록, 경제대공황 중 미국정부에 의해서 건설되었던 그린벨트타운 등이었다. 3개의 그린벨트타운은 하워드의 전원도시와 아주 유사한 것이었는데, 단지 미국의 것은 영국과 달리 자족도 아니고 토지이용의 균형도 이루지 못한 교외주거지에 불과했다. 또한 ‘균형된 공동사회(Cooperative Quadrangle)'라는 하워드의 사상은 샤를푸리에(C.Fourier)로부터 르코르뷔제(LeCorbusier)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도시형태 및 이론에 나타났고, 그가 비판받을 때마다 그가 주장한 균형과 기능적 완벽성의 원리가 재조명되고 재창조되었다.
하워드의 전원도시가 기존의 건축 및 도시계획기법과 근본적으로 다른 것은 그것의 도시성이며 조경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지적되는 하워드의 오류는 자본주의 경제체제 속의 대도시 중심부가 발휘하는 흡인력을 과소평가했다는 점이다. 전원도시가 대도시에 의존하지 않고 위성도시로 격하되지 않으려면 늘어난 신도시들을 새로운 조직 속에 집단화해야 하는데, 그는 이것을 ‘사회적 도시’로 불렀고 후에 스타인은 ‘지역도시’라고 불렀다.
하워드의 유기적 접근 방식은 터무니없고 실패할 것으로 보는 이가 많지만 어쨌든 레치워스와 웰윈 이라는 두 개의 전원도시가 건설되었고, 민간투자도 이익배당이 없을 것으로 전망했지만 두 도시는 살아남았다. 또한 스코틀랜드에서 인도에 이르기 까지 많은 지역에서 주택 및 도시건설의 형태에 큰 영향을 끼쳤다.
전원도시는 분명히 일종의 실패였다. 그러나 그 이후 영국에서만 15개의 신도시가 건설되었으며 스웨덴, 네덜란드, 이탈리아 등에서도 유사한 도시들이 건설된 것은 어떻게 설명되어야 할까? 전원도시 이후에도 런던의 혼잡은 여전하다면서 하워드의 제안을 무시하지만, 하워드이 제안 덕택에 50만 인구가 런던시민보다 훨씬 우월한 여건 속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한마디로 하워드의 전원도시는 최초의 도시공간구조의 개념이라 할 수 있고 기존도시의 팽창압력을 다핵 외연적 확산으로 유도하려는 시도였다.
  • 가격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2.31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18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