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통편 이야기 분석을 통한 감통편의 성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선도성모 불사를 수희하다 편에서

여종 욱면

광덕과 엄장

경흥대덕이 문수보살을 만나다.

진신이 공양을 받다

월명의 도솔가

미륵보살의 감화

선율이 되살아나다.

김현이 범을 감동시키다

혜성가

정수사가 얼어 죽게 된 여자를 구하다

결론

본문내용

p374
정수사가 얼어 죽게 된 여자를 구하다
에서는 정수스님이 다 얼어 죽게 되는 여자를 안아주었더었더니 한 참후에 소생하게 되는 이야기 이다. 보통 감통편은 불법의 위대함이나 부처가 다 사건을 해결하는데 여기서는 스님이 해결하게 되어서 위의 편들과 성격이 좀 다른 듯하다.
결론
감통 편은 감동을 주어서 응답하는 것으로 감동을 주는데 주안점을 주는 편들을 모은 편들인 것 같다. 불교에서 일어난 기이한 일들 그런 것들을 다루어서 여러 사람들에게 감명을 주기 위한 편이다. 그래서 하늘이 하신일이라든지 부처님이 신통력을 내리신다던 지하는 기이한 내용들이 있다. 그 점이 신주편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그래도 신주편과는 약간 성격이 다르다. 신주편이 주로 귀신에게 일어나서 해결되는 사건 그 과정에 주목하였다고 생각 되는 반면 감통편은 그 사건 해결로 인해서 인한 결과 그러니까 감동받게 되어서 불도에 더욱더 정진하게 되게 하는 그런 게 중심이 된 것 같다.
감통 편을 살펴보니 몇 개의 편은 감통편의 성격에 맞지 않는 것이 있었다. 이런 편들은 왜 감통편이 되었는지 의심이 가는 편들이다. 그래서 그런 편들을 빼야지 감통편의 성격이 명확해 지는 것 같다.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1.01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22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