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덕왕 월명사 도솔가 제망매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경덕왕 시대의 사회상

2. 月明師는 어떤 인물인가?

3. 도솔가에 대하여

4. 祭亡妹歌에 관하여

5. 마무리

본문내용

넓게 잡아 인간의 헤어짐과 만남의 정리를 노래한 서정시로 간주하는 것이 현명한 처리일 것 같다.
또한 수사적 기교를 살펴보면 ⓐ 조락의 계절인 '가을'을 배경으로 깔아놓고 그 위에다가 인간의 죽음을 올려놓은 것, ⓑ '이른 바람'이라고 말함으로써 누이의 죽음이 요절임을 암시하는 것, ⓒ 저승으로 훌쩍 떠나는 것을 '낙엽'으로, 동기간을 '한 가지'로 비유한 것 등에서 문학적 우수성을 느낄 수 있다. 덧붙여 죽음을 무엇에다 비유할 때 불교적인 관념어에 전혀 의존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도 또한 유의할 필요가 있다.
5. 마무리
「도솔가」가 실은 「龜旨歌」나「海歌詞」의 주가적인 전통을 향가의 입장에서 계승하고 있다는 점을 상기할 때 그 문학사적 의의는 결코 가벼운 것이 아니다. 또한 치리가의 성격도 함께 포섭하고 있다는 점까지 고려한다는 이 노래는 그렇게 단순하게만 처리할 수가 없다. 월명사는 초기 주가의 문맥에서 반드시 거론디어야 함이 틀림이 없다.
그가 살다 간 경덕왕대는 10구체 향가가 발달한 시대였다. 이런 시대에 월명사는 「제망매가」를 가창함으로써 그 시대 시가문학의 한복판에 우뚝 서게되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망매가」는 내용과 수사 모두에 걸쳐서 향가를 대표할 수 있는 서정시이다. 서정시다운 서정시가 충담사와 더불어 그에게서 처음으로 비롯되었다는 이 사실 하나만으로도 그가 우리 시가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결코 예사로운 것이 아닐 것이다.
참고문헌
김문태. 「三國遺事의 詩歌와 敍事文脈 硏究」. 太學社
김학성. 「古典詩歌論」. 새문사
박노준. 「韓國文學作家論」 - 月明師論. 螢雪出版社.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7.07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63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