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명사의 향가 제망매가(소찬진평, 양주동)
生死路隱
此矣有阿米次伊遣
吾隱去內如辭叱都
毛如云遣去內尼叱古
於內秋察早隱風未
此矣彼矣浮良落葉如
一等隱枝良出古
去奴隱處毛冬乎丁
阿也 彌?刹良逢乎吾
道修叱良待是古如
生死(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월명사가 도솔가를 지어 부른 까닭이 태양의 변괴를 다스려서 물리치고자 한 데 있는 이상 그 성격이 치리가일 수밖에 없다. 가사 내용을 보아서도 미륵좌주를 모셔다가 일괴(日怪)를 불양(禳)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치리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할 수 없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월명사가 지은 향가로는 짧은 형식의 「도솔가」와 긴 형식의 「제망매가」가 있는데 「도솔가」는 미륵부처님에 대한 발원으로 재앙을 물리치고자 하는, 미륵 신앙에 근거한 주술적인 향가작품이며 「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9.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월명사 도솔가 조의 이해와 도솔가의 성격>, 어문학 제 86호, 2005
일연, <삼국유사>, 민음사, 2008
박노준, <도솔가의 공효성>, 고려대, 1971
박미정, <향가의 기원성에 대한 유형적 고찰>, 대구대 2009 도솔가의 현대적 분석
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5.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월명사가 누이와 만나자고 한 미타찰은 깨달은 자만이 이를 수 있는 세계이다.
깨달음으로써 현상을 극복하고자 하였다는 사실은 상당히 중요하다. 깨달음은 달리 말하면 중교적인 질서를 발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깨달음인 종교적 질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