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다.
가경제가 직접 대처하여 1802년경 백련교의 난이 평정되었으나, 광동(廣東), 복건(福建), 강소(浙江) 등 남동해안에서 채견(蔡牽)을 중심으로 한 난이 일어났고, 1813년 천리교(天理敎)의 난이 일어났으며, 그 중 1부대가 북경의 궁성에 난입하였다. 또 회족(回族), 마오족(苗族) 등의 반란이 일어났고, 한편 외국세력도 아편을 들여오는 등 중국으로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관료정치의 부패로 인하여 청 왕조의 지배는 뿌리부터 흔들리기 시작했으며, 유럽 자본주의의 세계 지배의 파두(波頭)가 중국에 들이닥침으로써 결정적인 청 왕조의 쇠퇴를 가져왔다.
<참고문헌>
『청사(淸史) 만주족이 통치한 중국』, 임계순, 신서원, 2000
『中國 上下 오천년사 2』, 풍국초(이원길 역), (주)신원문화사, 2004
가경제가 직접 대처하여 1802년경 백련교의 난이 평정되었으나, 광동(廣東), 복건(福建), 강소(浙江) 등 남동해안에서 채견(蔡牽)을 중심으로 한 난이 일어났고, 1813년 천리교(天理敎)의 난이 일어났으며, 그 중 1부대가 북경의 궁성에 난입하였다. 또 회족(回族), 마오족(苗族) 등의 반란이 일어났고, 한편 외국세력도 아편을 들여오는 등 중국으로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관료정치의 부패로 인하여 청 왕조의 지배는 뿌리부터 흔들리기 시작했으며, 유럽 자본주의의 세계 지배의 파두(波頭)가 중국에 들이닥침으로써 결정적인 청 왕조의 쇠퇴를 가져왔다.
<참고문헌>
『청사(淸史) 만주족이 통치한 중국』, 임계순, 신서원, 2000
『中國 上下 오천년사 2』, 풍국초(이원길 역), (주)신원문화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