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과 관련된 합병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적

해부학과 생리학

분만 전(출산 전) 기간에 관련된 컨디션

자간전증과 전치태반

당뇨병

분만 단계(진통기)에 관련된 컨디션

조기 진통

태반 조기 박리

태반 전치

탯줄 탈출

어깨 난산

산과 진통제와 마취제

산과 진통제

산과 마취제

제왕절개 분만

본문내용

잠재적 합병증
1. 산모
a. 결과로서, 멘델슨 신드롬을 나타나며, 위내용물의 구토와 흡인
b. 호흡 장애
c. 심장 흥분과 마비
d. 저협압 또는 고협압
e. 빈맥
f. 후두경련
g. 분만 후 자궁이완
2. 태아/신생아
a. 심박 변동성과 움직임 감소
b. 신생아 호흡 장애와 저긴장성
c. 마취제 양과 비례하여 나타나는 태아 장애
B. 전신마취제와 관련된 평가와 관리
1. 전신 마취제를 투여할 가능성이 강하다면 분만 중 산모의 구강내에는 아무것 도 없어야 한다.
2. 산모의 마지막 식사 시간을 기록한다.
3. 내과의는 흡인에 대비하여 전신 마취를 하기 전에 pH를 올리기 위해 30ml의 제산제를 처방할 수도 있다.
4. 기관내 튜브와 환상연골 위 압박은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마취전문의가 사용 하는 테크닉이다.
5. 자궁이 대동맥과 대정맥에서 멀어지도록 그리고 수술동안 앙와위성 저혈압 증후군의 방지하기 위해 오른쪽 힙 아래에 wedge를 놓는다.
6. 수술 동안 그리고 수술 후의 산모의 심폐 상태와 수술 후 자궁 출혈을 모티 터한다.
7. 수술 후 신생아에 대한 합병증을 모니터한다.
C. 부위 마취와 관련된 잠재적 합병증
1. 산모
a. 척수 와 경막외 마취:
(1) 교감신경계 차단에 의한 저혈압
(2) 주입된 마취제에 대한 알러지 반응
(3) 과량투여 또는 정맥내 주입에 대한 발작 증상을 동반한 독성반응
(4) 부주의한 과량의 척수 마취제 투여로 인한 호흡 마비
(5) 척수 마취후에 두통
(6) 마취제 효과의 실패
(7) 분만동안 그리고 분만 이후에 요폐
(8) 마취제를 너무 일찍 투여할 경우, 옥시토신과 포셉을 이용해야 하는 것과 관련하여 분만이 늦어짐
(9) 영구적 손상의 잠재성을 지닌 척수를 압박하는 혈종의 형성
(10) 마비(드물게)
b. 경막 외 마취:
(1) 경막외 카테터의 shearing off
(2) 척수와 신경근의 외상
(3) 위치 이상 및 기구를 이용한 분만 증가에 대한 증거
(4) 장시간의 요통, 만성두통, 방광 기능 장애가 가능한 합병증이다;
하자만,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5) “경막외(eidural) shakes”, 와 “경막외 발열”(체온 상승을 유발하는 비자발적 몸의 떨림).
c. 회음부 차단 마취:
(1) 좌골 신경 외상
(2) 직장 천공
(3) 자궁 광간막 혈종
2. 태아/신생아
a. 과량 투여와 정맥내 주입에 대한 독성 반응
b. 지속적인 산모의 저혈압에 영향을 받으며, 이것은 후기 심박 감속, 서 맥, 그리고 증가 또는 감소된 심박 변이성
c. 경막외 마취로 인한 이상 고열
D. 부위 마취에 대한 평가와 관리
1. 국소 마취에 대한 알러지 반응을 기록한다.
2. 교감신경계 차단으로부터 혈압강하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척수와 경막외 마취 전 500~1000ml Ⅳ fluid 로 먼저 수화시킨다.
3. 마취가 진행되는 동안 산모의 자세를 바로잡고 안심시킨다. 저혈압을 방지하 기 위해, 작은 roll을 오른쪽 힙 아래에 받친다.
4. 척수와 경막외 마취 후 산모의 혈압을 모니터한다; 부위마취 후에 태아 심 장을 모니터한다.
5. 합병증과 관리
a. 저혈압
(1) 징후와 증상들
(a) 혈압 베이스라인의 감소
(b) 현기증 또는 시력에 영향
(c) 매스꺼움과 구토
(2) 관리
(a) Ⅳ fluid를 증가시킨다.
(b) 자궁을 대동맥과 대정맥에서 멀어지게 한다.
(c) 산소와 에페드린을 공급한다.
(d) 태아의 저산소증여부와 태아/신생아가 에페드린에 부작용(빈맥, 발한 신경과민, 근육활성증가)이 나타나지 않는지 모니터한다.
b. High spinal (고위척추)
(1) 징후와 증상들
(a) 마취제 레벨이 올라감에 따른 가슴마비
(b) 숨쉬기 힘듦
(c) 호흡정지
(2) 관리
(a) 즉시 마취전문의에게 통보한다.
(b) 기도와 환기장치를 유지한다.
(c) 태아의 심음을 모니터한다.
c. 독성 반응
(1) 징후와 증상들
(a) 금속맛을 느낌
(b) 귀가 울림
(c) 말을 얼버무림
(d) 혀와 입의 마비
(e) 발작
(f) 심혈관장애와 호흡 장애
(2) 관리
(a) 심폐 유지
(b) 발작을 제어하는 약물투여
(c) 신생아에 대해 발작, 서맥, 질식 저혈압 모니터
d. 알러지 반응
(1) 징후 및 증상들
(a) 기관지경련
(b) 후두부종
(c) 두드러기
(2) 관리: diphenhydramine(Benadryl)과 같은 Ⅳ 안티히스타민 이용
제왕절개 분만
A. 빈도. 2000년도에 미국에서 제왕절개비율은 22.9%였고, 1989년이후 최대비율이다; 이유는 처음 출산 시 제왕절개를 하는 산모의 수가 증대되고 제왕절개 후 차후 분만 시 질식 분만(VBACs)을 하는 산모의 수가 감소하였음을 반영한다. 이 비율은 다른 제도(나라)에 비하여 40%정도 높다.
B. 징후
1. 산모
a. 아두골반 불균형
b. 분만 진전이 안됨
c. 이전의 전통적(수직적) 방법의 자궁 제왕절개
d. 임신유도성 고혈압
e. 심장병
f. 당뇨병
g. 유도 실패를 동반한 조기 파막
h. 헤르페스 감염
2. 태반
a. 태반조기박리
b. 전치 태반
c. 태반 기능부전
3. 태아
a. 가사(distress)
b. 역위 내지 기타 잘못된 위치
c. 다중 임신
d. 조산
C. 잠재적 합병증
1. 산모
a. 감염
b. 빈혈증
c. 출혈
d. 마취제로 인한 질병또는 사망
e. 부주의한 수술로 인한 상해
f. 폐색전과 폐확장부전
g. 혈전성정맥염
2. 태아/신생아
a. 질식
b. 조산
c. 폐에 고인 액체로 인한 호흡 장애 증후군
d. 지속적인 폐고혈압
e. 태반절제로 인한 혈액 손실과 태반수혈 결여로 인한 빈혈증
D. 평가와 관리
1. 수술 분만을 위해 산모를 준비시키는 일반적 개입방법을 수행한다.
2. 신생아 담당 내과의에게 통지한다.
3. 처방된다면 제산제를 투여한다.
4. 수술 전에 태아두피전극을 제거한다.
5. 저혈압과 태아 저산소증을 피하기 위해 자궁을 왼쪽으로 위치하도록 산모의 오른쪽 힙 아래에 wedge를 놓는다.
6. 분만 후 신생아를 위한 neonatal resuscitation program(신생아 소생 프로그 램, NRP)프로토콜을 따른다.
  • 가격4,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9.01.01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22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