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골절의 외과적 관리 간호 합병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골절의 외과적 관리 간호 합병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골절
1) 정의
2) 증상

2. 골절의 수술적 치료
1) 개방정복과 내부고정술
2) 외부고정술

3. 골절의 환자의 전반적인 간호
1) 신경혈관계 손상에 대한 간호
2) 불필요한 환부의 손상 예방
3) 통증 완화
4) 감염 예방
5) 운동
6) 영양공급

4. 골절의 합병증
1) 초기 합병증
2) 후기 합병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불유합
(Nonunion)
골절의 치유 과정이 정지된 상태
두 골절편 사이 섬유성 연골 또는 섬유성 조직만 존재하고, 뼈에 칼슘이 침착되지 않으면 가성관절 형성
상박골 중간 1/3선 골절, 노인의 대퇴경부골절, 경골하부 1/3선 골절에서 흔히 발생
골 이식이나 재수술과 같은 정형외과적 처치 필요
부정유합
(Malunion)
부적절한 체위 또는 부적절한 정복이나 고정으로 뼈의 해부학적 위치와 다르게 유합된 경우
심한 상태 시 뼈의 재조정이나 수술 치료
(2) 무혈관성 골괴사(Avascular necrosis of bone, = 무균성 골괴사)
정의 : 뼈로 가는 혈액공급이 차단됨으로써 골괴사가 발생하는 상태
원인 : 골절, 계속적 고단위 스테로이드 치료, 만성 신장염, 겸상세포 빈혈
진단 : X-선 상의 칼슘 소실과 구조적 붕괴 관찰
치료 : 괴사조직 제거, 인공관절이나 뼈 이식, 관절 고정술
(3) 석고붕대 증후군(Cast syndrome)
원인 : 꽉 조이는 석고붕대로 인해 상장간막 동맥이 십이지장을 압박하여 폐쇄하는 것
증상 : 지속되는 오심과 구토, 복부팽만과 복통
치료 : 위장관 감압과 금식, 수분과 전해질 균형, 석고붕대의 제거
(4) 동맥혈관 손상
원인 : 골절 시 타박, 열상, 혈전 형성으로 동맥혈관이 손상되거나, 압박석고붕대로
외부적인 압력이 가해질 시
증상 : 무맥, 부종, 창백증, 통증, 정맥혈류의 장애, 마비, 무감각 등
특징 : 슬개 관절의 골절이나 탈구 시, 슬와동맥의 손상과 상박골절 시 상박동맥이 손상되면 볼크만씨 허혈성 구축이 되기 쉬움
Ⅲ. 결론
골절의 외과적 수술방법으로는 우리가 흔히 ‘핀을 삽입한다.’ 라고 알고 있는 내부 고정술과 외부 고정술로 나눌 수 있는데 내부고정술은 핀과 같은 이물질을 사용하여 어긋난 뼈를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금속을 몸속에 삽입하는 방법이듯이 조직반응이 일어날 수 있고 석고붕대를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외부고정술은 뼈가 자연스럽게 붙을 수 있도록 외부에 금속틀을 부착시키고 핀을 뼈의 상하부 방향에 삽입하여 골절편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이러한 수술은 골절의 합병증이 일어난 경우 시행하기에 적합하지만 외부의 금속틀을 가지고 일상 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크다.
골절환자는 골절로 인한 신경혈관의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조기발견이 후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석고붕대나 견인장치를 적용한 전.후로 신경혈관의 순환 상태를 모니터 해야한다. 또한 감염예방을 위해 개방상처의 경우 파상품 등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항생제를 투여하고, 수술 후에는 운동을 통해 근육 강도를 유지하며 적절한 영양공급과 체중조절을 통해 치유속도를 최대화 시킨다.
골절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초기에 많은 혈액의 손실로부터 쇼크에 빠질수 있어 창백해지고 나중에는 뇌손상까지 나타날 수 있다. 그 외에도 신경손상 등이 올 수 있다. 수술 후에는 잘못된 고정방법과 석고붕대의 부적합 등으로 인해 골절의 치료정도가 늦거나 정지되는 상태에 까지 이를 수 있다.
이로써 우리는 골절의 외과적 수술과 간호중재를 통해 골절 환자에 알맞은 간호를 제공 할 수 있는 자세를 갖출 수 있을 것이며 합병증을 미리 예방하기 위한 관리에 대해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1. 전시자 외(2011). 성인간호학(하권) , 현문사: 서울, pp. 376~383
2. 이향련 외(2007).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서울, pp. 1048~1055
3. 이영휘 외(2011).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서울, pp. 561~565
4. 한국간호과학회 성인간호학회(2012), 성인간호학. 대한간호협회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8.03.23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2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