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관골 골절][두개 골절][안면골 골절][골절 치료]골절의 정의, 골절의 증상, 골절의 응급처치와 관골 골절, 두개 골절, 안면골 골절 및 골절의 사례로 본 골절의 진단 그리고 골절의 치료에 관한 심층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골절][관골 골절][두개 골절][안면골 골절][골절 치료]골절의 정의, 골절의 증상, 골절의 응급처치와 관골 골절, 두개 골절, 안면골 골절 및 골절의 사례로 본 골절의 진단 그리고 골절의 치료에 관한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골절의 정의와 증상
1. 정의
2. 증상

Ⅲ. 골절의 응급처치

Ⅳ. 관골 골절

Ⅴ. 두개 골절

Ⅵ. 안면골 골절
1. 응급처치
1) 기도확보
2) 지혈
3) 쇽의 치료
2. 진단 및 일반적 치료원칙
1) 문진 및 이학적 검사
2) 방사선 검사
3) 수술시기
4) 절개방법
5) 골절편의 견고한 내고정
6) 악간고정
7) 두개골이식
8) 그 외 치료원칙
3. 치아의 관리
1) 치아 손상 시 치료원칙
2) 골절 선상에 있는 치아

Ⅶ. 골절의 사례와 진단
1. 일반적 사항
2. 질병의 기술
1) 정의 및 원인
2) 분류
3) 진단적 검사

Ⅷ. 골절의 치료
1. 단순골절
2. 복잡골절
1) 고정방법
2) 대용부목
3) 부분별 처치
4) 부목을 대주는 목적
5) 골절처치시 주의사항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선과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대조매체(iodine)가 사용되고 컴퓨터 스크린에 횡단면으로 영상이 나타난다. 완전한 촬영은 10장~30찍는다. 척추의 골절과 뼈 및 연조직의 종양을 사정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이 절차는 신체 부위별로 30분에서 1시간 30분이 소요된다.
부비강 조영술과 척추강 조영술
관절강조영술처럼 조영제를 주입하고 X선 촬영을 하는것이다. 부비강조영술(sinogrsphy)은 부비강track(깊은 배농상처)을 검사하는 것이다. 척수강조영술(myelography)은 추간판탈출증을 진단하 기 위하여 척주관과 척수를 검사하는 것이다.
관절경 검사(arthrocentesis)
굵은 바늘을 통해 관절의 구조(활막, 관절분절의 표면, 반월연골인대)를 내시경을 통해 직접 보는 것이다.
신경검사
신경말단압박, 근육질환(이영양증, 근염, 기타), 말초신경증, 중추신경계-전각세포 신경증, 신경근 연접부 문제 등과 구별하기 위함이다.
A. 근전도 - 근육이 수축과 이완시 발생시키는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것이다.
B. 신경전달속도 - 특정 신경을 따라 잠재적으로 전달속도를 측정한다(자극전도의 속도)
임상검사
항핵 항체(ANA), C-반응 단백질(CRP),적혈구 침강속도, 무기질대사, 칼슘, 인, 근육효소검사,Alkaline phosphatase 등이 있다.
Ⅷ. 골절의 치료
골절치료는 응급처치, 본치료, 재활의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골절의 경우 뼈가 부러진 것은 별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부러진 뼈가 그 주위의 조직(신 경, 근육, 혈관, 건)을 손상시켰을 때 문제가 된다. 신경 등이 손상 받았을 경우 치료기간이 장기화되거나 불구가 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것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하는 것이다. 움직여서 부러진 뼈가 신경등을 손상시키면(악화시키면) 안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조건 다 골절처치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잘못 골절처치를 하다가 또는 골절처치하는 동안 무리하게 움직여 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1. 단순골절
의사나 구급차가 오고 있는 중이면 부상자를 움직이지 않는다. 복잡골절이 되지 않도록 골절부위를 고정시킨다. 충격처치를 한다.
2. 복잡골절
의사나 구급차가 오고 있는 중이면 부상자를 움직이지 않는다. 출혈이 있으면 직접압박으로 지혈 시킨다. 골절부위를 고정시킨다. 충격처리를 한다. 골절의 의심이 있을 경우 골절로 간주하고 처치한다.
1) 고정방법
부목, 팔걸이, 베개, 담요 등을 사용함. 부목은 받침이 있어야 한다. 부목은 충분히 길어야 한다. 들것을 사용하여 후송한다.
2) 대용부목
담요 접은 것 / 신문지 접은 것 / 큰 잡지
3) 부분별 처치
코 골절
부목 사용 불능.
사두붕대를 사용한다.
상처에 대한 처치
턱 골절
움직이면 통증이 있다.
아래 윗 이가 맞지 않는다.
담화나 식사가 불가능하다.
입을 열고 있다.
부목 사용 불능.
턱을 부축하는 붕대를 한다. (단, 붕대를 한 뒤에 환자가 토할 기세가 있으면 풀어 주어야 한다.)
쇄골 골절
손으로 만져서 느낄 수 있다.
손을 올리지 못한다.
다친 쪽 팔이 축 처진다.
부목은 못 쓴다.
팔을 가슴에 붙이고 팔거리를 한 후, 팔을 몸통에 고정 시킨다.
늑골 골절
숨을 쉬거나 기침을 할 때 아프다.
흔히 손을 가슴에 대고 얕게 쉰다.
폐가 뚫렸으면 각혈을 한다.
폐가 상한 경우 아무 처치없이 단순히 환자의 호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편안히 눕히고 어깨를 약간 높혀서 안정하게 한 후 의사에게 간다.
폐의 상처가 없을 때 부목을 못쓰며 3개의 삼각건으로 매어준다.
주의
삼각건을 매는 매듭 아래에 고임을 한다.
순서를 중앙에 놓은 삼각건을 먼저 매고 아래쪽 위쪽을 맨다.
맬 때는 환자가 숨을 내 쉬게 한 다음에 맨다.
팔(상박) 골절
부목 한 개 / 부축 / 가슴에 부착한다.
팔꿈치(주 관절) 골절
펴져 있을 때는 부목 한개(겨드랑이로부터 손목 이상의 길이) / 몸에 부착 / 팔에 댄 부목과 몸 사이에 고임을 한다.
굽혀져 있을 때 : 부목을 사용하지 않는다 / 팔거리 / 몸에 부착한다.
요골 또는 척골(전박)골절
부목 2개 / 삼각건 팔걸이
대퇴골 골절
심한 충격
골절된 쪽의 발이 제켜진다.
움직이지 못한다.
부목 한 개를 겨드랑이에서 발끝까지, 또 한 개를 사타구니에서 발끝까지 닿게 한다.
부목이 하나일 때는 전자를 하고 다리를 둘 다 묶는다.
부목이 전혀 없을 때는 두 다리에 모포를 접어서 넣고 두 다리를 묶는다.
슬개골 골절
10cm 정도의 폭을 가진 부목 한 개를 엉덩이에서 발까지 닿도록 댄다.
무릎 위를 두 번 매어 주되, 반드시 슬개골은 개방시킨다.
무릎과 발굽 밑에는 반드시 고임을 대어 주어야 한다.
다리 골절(하퇴골 골절)
담요로 싸고 담요위에 양쪽으로 부목 한 개씩을 댄다.
만약 담요가 없으면 부목 두개만을 사용해도 좋다.
4) 부목을 대주는 목적
골절되었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통증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부드러운 조직에 대한 더 이상의 손상을 막는 것이다.
심한 출혈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단순골절이 복잡 골절로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5) 골절처치시 주의사항
부목은 골절된 뼈보다 길어야 한다.
부목은 부드러운 천으로 싸서 사용할 것.
부목은 가볍고 단단해야 한다.
부러진 뼈를 맞추거나 밀어 넣으려 하지 말 것.
뼈를 움직이지 않게 할 것.
완전한 처치와 준비 후 운반할 것.
늑골골절시 선홍색 거품의 피가 입으로 흐를 때에는 골절처치를 하지말고 호흡을 할 수 있도록 등 뒤에 고임을 넣어주고 안정을 시킨다. 골절처치후 30분 간격으로 관찰하여 혈액순환이 안되거나 그 부분이 아프다면 약간 늦추어 준다.
참고문헌
골절의 진단과 치료, 서광의학
박명식(2000) / 최신골절 및 탈구학, 고려의학
박병식(2000) / 골절 및 탈구학 제 2판, 고려의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1988) / 골절학, 일조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2003) / 골절학, 군자출판사
임경훈(1986) / 대퇴골 골절환자의 간호사례연구 대한간호
한윤복·노유자(1991) / 정형외과 간호학, 현문사
  • 가격5,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2.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46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