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ⅱ. 문헌고찰-Fracture
1. 정의 및 원인
2. 분류
1) 피부손상에 따른 분류
2) 골절의 형태에 따른 분류
3. 골절의 증상
1) 동통과 압통(pain and tenderness)
2) 기능장애(impairment of function)
3) 변형(deformity)
4) 자세의 변화(attitude)
5) 부종
6) 반상출혈
7) 비정상적 운동과 염발음(abnormal mobility and crepitus)
8) 신경, 혈관의 손상(neurovascular injury)
9) 방사선 검사
4. 골절된 뼈의 치유과정
5. 골절의 치료
1) 응급처치
2) 정복(reduction)
3) 고정
4) 재활 및 기능의 회복
Ⅱ. 본론
ⅰ. CASE STUDY
1. 간호정보조사지
1. 일반정보
2. 입원동기
3. 과거병력
4. 최근투약
5. 가족병력
6. 알레르기
7. 영양위험검색
2. Admission note
3. Laboratory date
4. 낙상사정도구
5. Medication
6. 간호과정
#1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2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수면장애
#3 복합요인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Ⅳ. 참고
1. 정의 및 원인
2. 분류
1) 피부손상에 따른 분류
2) 골절의 형태에 따른 분류
3. 골절의 증상
1) 동통과 압통(pain and tenderness)
2) 기능장애(impairment of function)
3) 변형(deformity)
4) 자세의 변화(attitude)
5) 부종
6) 반상출혈
7) 비정상적 운동과 염발음(abnormal mobility and crepitus)
8) 신경, 혈관의 손상(neurovascular injury)
9) 방사선 검사
4. 골절된 뼈의 치유과정
5. 골절의 치료
1) 응급처치
2) 정복(reduction)
3) 고정
4) 재활 및 기능의 회복
Ⅱ. 본론
ⅰ. CASE STUDY
1. 간호정보조사지
1. 일반정보
2. 입원동기
3. 과거병력
4. 최근투약
5. 가족병력
6. 알레르기
7. 영양위험검색
2. Admission note
3. Laboratory date
4. 낙상사정도구
5. Medication
6. 간호과정
#1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2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수면장애
#3 복합요인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Ⅳ. 참고
본문내용
적절한 운동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침대위에서 할 수 있는 상. 하지 ROM을 실시/교육 하였다.(Fracture부위 제외)
→취침 2시간 전에는 운동을 삼가도록 교육했다.
5-①수면을 방해하는 주위환경자극을 최소화 하였다.
→만약 불빛이 비친다면 커튼을 쳤다.
→rounding이나 처치 후 병실의 문을 닫았다.
→공용 TV나 라디오를 끌 시간에 대해 기관의 방침에 대해 교육하였다.
평가
10/2일 보호자는 수면증진을 돕는 법(취침 전 마사지, 이완요법 등)을 알고 시 행하였다.
10/4일 대상자는 전실 전 까지 여전히 동일한 취침형태를 보였다.
#3 복합요인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사정
주관적
자료
None
객관적
자료
둔부에 욕창 발생으로 인해 피하 조직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음 (욕창 사정 3단계)
1단계
붉거나 자주빛으로 보이는 탈색되지 않은 반점(발적)
2단계
진피까지의 피부파괴(발적 지속, 부종, 수포, 경결생김)
3단계
피하조직까지의 피부파괴(열린 병변, 균열)
4단계
뼈, 근육 또는 관절에의 침투(굳고 검은 죽은조직인 가피가 생김)
감염의 징후를 나타내는 임상검사 수치 상승
ESR
34.0
H
남 0-15
여 0-20
mm/hr
CRP
10.58
H
0.5
mg/dL
구강영양섭취가 불충분함으로써 충분한 면역력 획득에 어려움이 있음 (카비벤을 통한 영양공급 중)
고령으로 인해 신체의 방어기전이 약화되어 있음
단기목표
일주일 이내 대상자의 임상검사상 ESR수치가 0-15mm/hr 범위 내로 회복될 것이다.
일주일 이내 대상자의 임상검사상 CRP 수치가 0.5mg/이 이하로 감소 될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감염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대상자의 욕창 부위가 회복될 때까지 하루에 1번 드레싱이 이루어질 것이다.
계획
1. 대상자와 접촉하기 전 손 소독 을 철저히 한다.
2. 근무 시 3시간마다 V/S을 체크 하여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는 지 사정한다.
3. 처방에 따라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한다.
4. 욕창 단계에 따른 적절한 간호 를 실시한다.
5. 침습적 간호시술을 최소화한 다.
6. 의사의 Order에 따라 소변과 혈액을 수집하여 관찰한다.
7. 수액을 통해 적절한 영양을 공 급한다.
이론적
근거
1-①손으로 인한 감염이 병원에서 가장 쉽게 발생한다.
(변영순 외 2010.
김연희 외 2010.
서울대학교병원 2005.)
2-①BP, P, RR, BT의 abnomal은 감염 의 첫 증상일 수 있다.
(변영순 외 2010.
서울대학교병원 2005.)
4-①욕창의 단계별로 조금 다른 간호를 수행한다.
(변영순 외 2010.
서울대학교병원 2005.
Joanne C. McCloskey 1998.)
5-①침습적 간호시술 부위도 감염경로 가 된다.
(변영순 외 2010.
김연희 외 2010.
서울대학교병원 2005.)
6-①ESR, CRP 등은 감염sign을 나타 낸다.
(변영순 외 2010.
서울대학교병원 2005.
Joanne C. McCloskey 1998.)
수행
1-①대상자와 접촉하기 전 철저히 손 씻기를 실시하였다.
→rounding과 처지 전 손을 씻고 대상자 접촉전에는 손소독제를 이용하였다.
2-①매 Duty의 Routine 및 Special Vital Sign check를 통해 대상자의 감염징후를 확인하 였다.
측정시간
혈압
맥박
체온
호흡수
2013/10/02
13:30
101
48
111
36.8
20
16:00
91
40
98
37.5
20
21:00
140
66
112
37.3
20
2013/10/03
9:00
139
92
109
37.2
22
14:00
125
59
104
36.4
20
16:00
122
58
96
36.9
23
21:00
146
72
108
36.8
20
2013/10/04
9:00
142
70
99
36.8
21
13:40
130
62
102
36.9
21
3-①감염예방 차원으로 Gomcephin, Tazocin을 inject 하였다.
4-①욕창 단계에 따른 적절한 간호를 실시하였다.
→욕창부위의 삼출액, 열감, 변색, 침윤 등을 사정했다. (3단계 욕창)
→욕창 부위를 건조하고 청결하게 유지하며, 24시간 드레싱을 실시했다.
→체위변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보호자에게 시행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보호자에게 욕창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실시했다.
: 체위변경, 앙와위 유지의 중요성, 욕창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마사지 등
5-①의사의 Order에 따라 소변과 혈액을 수집하여 관찰하였다.
→지속적인 요검사와 혈액분석을 의뢰하고 있음
6-①수액을 통해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였다.
→단백아미노산제제(Kabiven)를 공급하고 있다.
평가
10/4일 전실 전 ESR(30.2), CRP(9.8)로 여전히 상승되어 있었다.
10/4일 전실 전 BT는 정상이었으나 ESR, CRP는 상승되어 있었다.
10/4일 전실 전 까지 매일 욕창 dressing을 실시하였다.
Ⅳ. 참고
고성희, 김명애, 이영희, 김현경. (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김금순, 임난영, 서순림, 김종임, 한혜숙, 권소희. (2011). ACE 건강사정. 군자출판사
염영희, 김문설, 박성애, 박정호. (1998). 간호중재분류. 현문사
변영순 외. (2010). 기본간호학 실습서. 정담미디어
성미혜, 강정희, 구윤정, 권경희, 서길희, 선정주, 손정태, 송정희, 이경민, 이은주. (2011).
간호과정-과학적, 체계적 문제 접근-. 정문각
서울대학교병원. (2005).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전시자, 김강미자, 김희경, 박순옥, 배영숙, 조경숙, 황옥남, 김영경, 서순림, 유양숙. (2011).
성인간호학-상권. 현문사
김연희 외. (2010). 성인간호학1. 예당
김연희 외. (2010). 기본간호학1,2. 도서출판 예당
KIMS 대한민국의학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Lab Tests Online KR. http://labtestsonline.kr/
KMLE 의학 검색 엔진. http://www.kmle.co.kr/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
→침대위에서 할 수 있는 상. 하지 ROM을 실시/교육 하였다.(Fracture부위 제외)
→취침 2시간 전에는 운동을 삼가도록 교육했다.
5-①수면을 방해하는 주위환경자극을 최소화 하였다.
→만약 불빛이 비친다면 커튼을 쳤다.
→rounding이나 처치 후 병실의 문을 닫았다.
→공용 TV나 라디오를 끌 시간에 대해 기관의 방침에 대해 교육하였다.
평가
10/2일 보호자는 수면증진을 돕는 법(취침 전 마사지, 이완요법 등)을 알고 시 행하였다.
10/4일 대상자는 전실 전 까지 여전히 동일한 취침형태를 보였다.
#3 복합요인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사정
주관적
자료
None
객관적
자료
둔부에 욕창 발생으로 인해 피하 조직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음 (욕창 사정 3단계)
1단계
붉거나 자주빛으로 보이는 탈색되지 않은 반점(발적)
2단계
진피까지의 피부파괴(발적 지속, 부종, 수포, 경결생김)
3단계
피하조직까지의 피부파괴(열린 병변, 균열)
4단계
뼈, 근육 또는 관절에의 침투(굳고 검은 죽은조직인 가피가 생김)
감염의 징후를 나타내는 임상검사 수치 상승
ESR
34.0
H
남 0-15
여 0-20
mm/hr
CRP
10.58
H
0.5
mg/dL
구강영양섭취가 불충분함으로써 충분한 면역력 획득에 어려움이 있음 (카비벤을 통한 영양공급 중)
고령으로 인해 신체의 방어기전이 약화되어 있음
단기목표
일주일 이내 대상자의 임상검사상 ESR수치가 0-15mm/hr 범위 내로 회복될 것이다.
일주일 이내 대상자의 임상검사상 CRP 수치가 0.5mg/이 이하로 감소 될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감염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대상자의 욕창 부위가 회복될 때까지 하루에 1번 드레싱이 이루어질 것이다.
계획
1. 대상자와 접촉하기 전 손 소독 을 철저히 한다.
2. 근무 시 3시간마다 V/S을 체크 하여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는 지 사정한다.
3. 처방에 따라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한다.
4. 욕창 단계에 따른 적절한 간호 를 실시한다.
5. 침습적 간호시술을 최소화한 다.
6. 의사의 Order에 따라 소변과 혈액을 수집하여 관찰한다.
7. 수액을 통해 적절한 영양을 공 급한다.
이론적
근거
1-①손으로 인한 감염이 병원에서 가장 쉽게 발생한다.
(변영순 외 2010.
김연희 외 2010.
서울대학교병원 2005.)
2-①BP, P, RR, BT의 abnomal은 감염 의 첫 증상일 수 있다.
(변영순 외 2010.
서울대학교병원 2005.)
4-①욕창의 단계별로 조금 다른 간호를 수행한다.
(변영순 외 2010.
서울대학교병원 2005.
Joanne C. McCloskey 1998.)
5-①침습적 간호시술 부위도 감염경로 가 된다.
(변영순 외 2010.
김연희 외 2010.
서울대학교병원 2005.)
6-①ESR, CRP 등은 감염sign을 나타 낸다.
(변영순 외 2010.
서울대학교병원 2005.
Joanne C. McCloskey 1998.)
수행
1-①대상자와 접촉하기 전 철저히 손 씻기를 실시하였다.
→rounding과 처지 전 손을 씻고 대상자 접촉전에는 손소독제를 이용하였다.
2-①매 Duty의 Routine 및 Special Vital Sign check를 통해 대상자의 감염징후를 확인하 였다.
측정시간
혈압
맥박
체온
호흡수
2013/10/02
13:30
101
48
111
36.8
20
16:00
91
40
98
37.5
20
21:00
140
66
112
37.3
20
2013/10/03
9:00
139
92
109
37.2
22
14:00
125
59
104
36.4
20
16:00
122
58
96
36.9
23
21:00
146
72
108
36.8
20
2013/10/04
9:00
142
70
99
36.8
21
13:40
130
62
102
36.9
21
3-①감염예방 차원으로 Gomcephin, Tazocin을 inject 하였다.
4-①욕창 단계에 따른 적절한 간호를 실시하였다.
→욕창부위의 삼출액, 열감, 변색, 침윤 등을 사정했다. (3단계 욕창)
→욕창 부위를 건조하고 청결하게 유지하며, 24시간 드레싱을 실시했다.
→체위변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보호자에게 시행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보호자에게 욕창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실시했다.
: 체위변경, 앙와위 유지의 중요성, 욕창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마사지 등
5-①의사의 Order에 따라 소변과 혈액을 수집하여 관찰하였다.
→지속적인 요검사와 혈액분석을 의뢰하고 있음
6-①수액을 통해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였다.
→단백아미노산제제(Kabiven)를 공급하고 있다.
평가
10/4일 전실 전 ESR(30.2), CRP(9.8)로 여전히 상승되어 있었다.
10/4일 전실 전 BT는 정상이었으나 ESR, CRP는 상승되어 있었다.
10/4일 전실 전 까지 매일 욕창 dressing을 실시하였다.
Ⅳ. 참고
고성희, 김명애, 이영희, 김현경. (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김금순, 임난영, 서순림, 김종임, 한혜숙, 권소희. (2011). ACE 건강사정. 군자출판사
염영희, 김문설, 박성애, 박정호. (1998). 간호중재분류. 현문사
변영순 외. (2010). 기본간호학 실습서. 정담미디어
성미혜, 강정희, 구윤정, 권경희, 서길희, 선정주, 손정태, 송정희, 이경민, 이은주. (2011).
간호과정-과학적, 체계적 문제 접근-. 정문각
서울대학교병원. (2005).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전시자, 김강미자, 김희경, 박순옥, 배영숙, 조경숙, 황옥남, 김영경, 서순림, 유양숙. (2011).
성인간호학-상권. 현문사
김연희 외. (2010). 성인간호학1. 예당
김연희 외. (2010). 기본간호학1,2. 도서출판 예당
KIMS 대한민국의학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Lab Tests Online KR. http://labtestsonline.kr/
KMLE 의학 검색 엔진. http://www.kmle.co.kr/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
추천자료
검사실견학한 곳의 검사조사
소변검사,대변검사
[B형간염][간염][간염바이러스]B형간염의 개념, B형간염의 분류과 B형간염의 감염 경로, B형...
[에이즈]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 AIDS)의 발견과 원인,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 AIDS)의 ...
[간호학] Conference 요로 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케이스
AIDS(에이즈) 심층 분석-AIDS(에이즈)바이러스의 최초발생, AIDS(에이즈)의 잠복기, AIDS(에...
CRP(C-반응단백 / C-reactive protein)와 검사방법 (CRP 검사, CRP 검사의 임상응용)
[아동간호실습] 급성 연쇄상구균 감염후 사구체신염 (PSGN :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
아동 특수질환아 고찰 4개 - 폐렴(Pneumonia), 요로감염증(urinary tract infection), 경련성...
(식품위생) 식품위생학, 식품위생, 방통대, 방송대, 식중독 세균, 식중독, 감염형, 독소형
[간호관리학] 병동환경관리 (안전,감염관리)
비뇨기계건강사정, 건강사정, 비뇨기계건강진단, 배뇨통증, 임상진단검사, 요검사, 요로조영...
신기능검사(신장기능검사)
[건강과 간호] 투상간 package2 시나리오 (근육주사 정맥주사 피하주사 병원감염 MRSA 욕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