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B형간염의 개념
Ⅲ. B형간염의 분류
1. 급성 B형 간염
2. 만성 B형 간염
3. 만성보균자
Ⅳ. B형간염의 감염 경로
Ⅴ. B형간염의 심각성
Ⅵ. B형간염의 증상
1. 전구기
2. 황달기
3. 회복기
Ⅶ. B형간염의 잘못된 상식
Ⅷ. B형간염의 진단과 치료
Ⅸ. B형간염의 예방 방법
1. 수동적 예방
2. 능동적 예방
3. 예방 수칙
Ⅹ. 결론
참고문헌
Ⅱ. B형간염의 개념
Ⅲ. B형간염의 분류
1. 급성 B형 간염
2. 만성 B형 간염
3. 만성보균자
Ⅳ. B형간염의 감염 경로
Ⅴ. B형간염의 심각성
Ⅵ. B형간염의 증상
1. 전구기
2. 황달기
3. 회복기
Ⅶ. B형간염의 잘못된 상식
Ⅷ. B형간염의 진단과 치료
Ⅸ. B형간염의 예방 방법
1. 수동적 예방
2. 능동적 예방
3. 예방 수칙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 사람, 심한 심·폐 장애자나 수유부는 신중히 접종함.
③ 간혹 통증(예방접종한 사람의 17%정도), 홍반, 종창, 경변 등의 국소반응이나 오한(7%), 피로(4%), 두통(4%), 발열(3%), 오심(2%), 근육통 및 관절통의 전신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수 일내에 소실.
④ 잠복기 및 진행성인 B형 간염 환자에게는 면역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음.
⑤ 과민 반응이 나타날 경우 epinephrine을 사용함.
⑥ B형 간염 백신(Vaccine)을 3회 맞아도 항체가 형성되지 않으면 3회 접종을 1번 더 되풀이하거나 인터루킨2(interleukin-2)을 백신과 같이 접종함.
3. 예방 수칙
· HBs Ag에 대한 혈액 검사로 B형 virus 의 보균자 알아냄.
· 수술 전 자기자신의 혈액의 헌혈.
· 불필요한 수혈(no 1-unit 수혈)과 상업적으로 얻어진 혈액이나 혈장의 사용금지.
· 임신, 혈액 투석 동안 HBs Ag에 대한 혈액 검사와 그 virus의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예방법지키기.
· B형 간염 virus 보균자인 임산부의 출산 후 신생아 혈액검사함.
- HBs Ag(+) : 수동적·능동적 면역 필요없음.
HBs Ag(-) : HBIG 접종후 백신 접종.
HBs Ag(+)인 어머니로부터 태어난 신생아의 약 96%가 예방됨.
B형 간염 virus에 접촉했을 시
① B형 간염 virus에 대한 예방접종을 받은 일이 없는 사람
: anti-HBs Ab검사
→(+) : B형 간염에 감염 우려 없음.
→(-) : B형 간염 면역 글로불린(HBIG) 즉시 맞고 B형간염 백신(Vaccine)을 3회 접종함.
② B형 간염 virus에 대한 예방접종을 3회 완전히 끝낸 사람
: anti-HBs Ab검사
→ 양 多 : 항체검사, 예방접종 필요 없음.
→ 양 小 : B형 간염 백신(Vaccine)을 1회 접종한다.
③ B형 간염virus에 대한 예방접종을 하고 있는 도중인 사람
: anti-HBs Ab검사
→ 양 多 : 계획대로 예방접종 끝낸다.
→ 양 小 : HBIG 1회 접종 후 계획대로 예방접종 끝냄.
Ⅹ. 결론
우리나라는 B형 간염바이러스 만연 지역이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B형 간염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많다. 실제로 20세 이상의 성인에서는 50% 이상에서, 특히 40세 이상에서는 70% 이상에서 B형간염바이러스가 몸 안에 들어왔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20세 이상의 성인에서 자연적으로 B형 간염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항체를 갖고 있는 비율이 40-50%나 된다. 우리 나라에서는 B형간염바이러스 감염 위험이 이렇게 높지만 현재 백신 접종이 일반화되어 있기 때문에 향후 B형간염바이러스 감염자수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참고문헌
김모임 외(2000) - 대상자중심의 지역사회간호학, 현문사
간염, 군자출판사
고금자 외(1999) - 성인간호학, 정담
고은 외(2006) - 병리생리학, 메디컬코리아
박석일(1997) - B형 C형 간염, 시대평론
오승자·민순(1997) - 검사와 간호편람, 청구문화사
③ 간혹 통증(예방접종한 사람의 17%정도), 홍반, 종창, 경변 등의 국소반응이나 오한(7%), 피로(4%), 두통(4%), 발열(3%), 오심(2%), 근육통 및 관절통의 전신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수 일내에 소실.
④ 잠복기 및 진행성인 B형 간염 환자에게는 면역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음.
⑤ 과민 반응이 나타날 경우 epinephrine을 사용함.
⑥ B형 간염 백신(Vaccine)을 3회 맞아도 항체가 형성되지 않으면 3회 접종을 1번 더 되풀이하거나 인터루킨2(interleukin-2)을 백신과 같이 접종함.
3. 예방 수칙
· HBs Ag에 대한 혈액 검사로 B형 virus 의 보균자 알아냄.
· 수술 전 자기자신의 혈액의 헌혈.
· 불필요한 수혈(no 1-unit 수혈)과 상업적으로 얻어진 혈액이나 혈장의 사용금지.
· 임신, 혈액 투석 동안 HBs Ag에 대한 혈액 검사와 그 virus의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예방법지키기.
· B형 간염 virus 보균자인 임산부의 출산 후 신생아 혈액검사함.
- HBs Ag(+) : 수동적·능동적 면역 필요없음.
HBs Ag(-) : HBIG 접종후 백신 접종.
HBs Ag(+)인 어머니로부터 태어난 신생아의 약 96%가 예방됨.
B형 간염 virus에 접촉했을 시
① B형 간염 virus에 대한 예방접종을 받은 일이 없는 사람
: anti-HBs Ab검사
→(+) : B형 간염에 감염 우려 없음.
→(-) : B형 간염 면역 글로불린(HBIG) 즉시 맞고 B형간염 백신(Vaccine)을 3회 접종함.
② B형 간염 virus에 대한 예방접종을 3회 완전히 끝낸 사람
: anti-HBs Ab검사
→ 양 多 : 항체검사, 예방접종 필요 없음.
→ 양 小 : B형 간염 백신(Vaccine)을 1회 접종한다.
③ B형 간염virus에 대한 예방접종을 하고 있는 도중인 사람
: anti-HBs Ab검사
→ 양 多 : 계획대로 예방접종 끝낸다.
→ 양 小 : HBIG 1회 접종 후 계획대로 예방접종 끝냄.
Ⅹ. 결론
우리나라는 B형 간염바이러스 만연 지역이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B형 간염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많다. 실제로 20세 이상의 성인에서는 50% 이상에서, 특히 40세 이상에서는 70% 이상에서 B형간염바이러스가 몸 안에 들어왔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20세 이상의 성인에서 자연적으로 B형 간염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항체를 갖고 있는 비율이 40-50%나 된다. 우리 나라에서는 B형간염바이러스 감염 위험이 이렇게 높지만 현재 백신 접종이 일반화되어 있기 때문에 향후 B형간염바이러스 감염자수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참고문헌
김모임 외(2000) - 대상자중심의 지역사회간호학, 현문사
간염, 군자출판사
고금자 외(1999) - 성인간호학, 정담
고은 외(2006) - 병리생리학, 메디컬코리아
박석일(1997) - B형 C형 간염, 시대평론
오승자·민순(1997) - 검사와 간호편람, 청구문화사
추천자료
간경화증
법정전염병에 대한 조사자료
업무상 질병과 간질환의 포함 문제
아동간호 )케이스스터디 /발열과 관련된 안위변화 /체액손실 증가, 수분섭취 감소와 관련된 ...
고위험 신생아 case study
내과 의학용어 및 의학약어 해설 및 풀이(소화기내과)총 172개
위식도염 간호중재 (Gastroenteritis)
간암 간호 사례 연구 - HCC 원인, 병태생리
[헌혈][헌혈 유래][헌혈 종류][헌혈과 헌혈증][헌혈 사실과 오해][헌혈증]헌혈의 유래, 헌혈...
성인간호학 국가고시 대비 1주일전 이것만은 꼭 보자
만성질환 ppt
간, 담낭 및 췌장 질환(임상영양학, 간질환, 담도계질환, 췌장질환) PPT, 파워포인트
노인간호학,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경화 (Liver Cirrhosis. LC) , 저알부민...
간경변증의 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