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화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경화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간
2. 간의 기능
3. 간경화증이란?
4. 간경화의 유형
5. 간경화증의 증상
6. 진단검사의 종류
7. 병태생리
8. 예방관리
9. 합병증
10. 간호


Ⅱ. 간호력

Ⅲ. Medication

Ⅳ. Diagnotic data

Ⅴ. Nursing process

Ⅵ. 실습을 마치며

본문내용

복용
빌리루빈토탈
2.78▲
2.93▲
1.85▲
0.2-1.1mg/dl
↑용혈성빈혈,간세포의 손상
ALT
34
38
24
4-41U/L
↑급성간염,간질환,근골격계질환
AST
54▲
62▲
58▲
21-37U/L
알부민
2.8
-
3.2
3.4-4.8g/이
↑탈수
↓간손상,신증후군
프로테인
6.3▼
-
6.8
6.4-8.3
↑탈수,간질환
Uric acid
5.3
-
5.4
3.4-7mg/dl
↑통풍
콜레스테롤
69▼
-
70▼
120-239mg/dl
↑동맥경화,심근경색
↓만성간질환,영양장애
크레아틴
0.89
0.99
0.90
0.7-1.2mg/dl
↑신혈류량감소,울혈성신부전
↓근영양실조,간장애
글루코즈
91
-
84
55-155mg/dl
↑당뇨병,혈압상승
⇒ 빌리루빈의 수치가 정상수치에 비해 약0.85~1.85mg/이 높게나왔고, 콜레스테롤이 정상수치 이하로 나온것을 바탕으로 만성간질환을 앓고 계신것을 알 수 있습니다.
⑤ Intake&Output(섭취량&배설량)
4/2
4/4
4/5
4/7
4/8
수축기BP(mmHg)
90
100
90
100
100
110
100
100
110
110
110
100
100
120
120
이완기BP(mmHg)
60
70
70
60
60
70
60
70
70
70
70
70
60
80
80
몸무게(kg)
76.25
75.85
76.5
73
73.5
복부둘레(cm)
96.5
98.5
98.5
93
91
섭취량(Intake)
1050
800
1300
1500
1350
배설량(Output)
1090(대변x)
1070
2270
1820
1400
⇒ 간경화증의 부작용중의 하나인 복수로 인해 4월 4일 복부둘레가 98.5cm였는데, 4월4일 이전 복막투석을 1번 시행하셨고, 약과 식이요법으로 조절하여 4월 8일 복부둘레가 91cm으로 측정되었다. 복부둘레가 감소된 것으로 보아 복수가 점점 빠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⑥ 혈액응고속도측정검사(4/2시행)
결과
정상치
PT(sec)
17.3▲
11~13(sec)
INR
1.66▲
0~1.2
APTT
41.3▲
22.5~36
* PT,APTT=혈액응고측정검사
Ⅶ. 간호과정
#1. 활동의 지속성 장애 위험성
주관적자료
“배가 나와서 돌아다니기 싫어요...”
“(보호자) 어디나가자고 해두 자꾸 싫대~”
객관적자료
신체에 비해 복부가 팽만의 되어있었다.
앙와위자세이거나 팔을 뒤로 하며 앉아있다.
하루종일 창밖을 보며 가만히 앉아있다.
간호진단
복부팽만과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위험성
목표
단기목표 : 활동의 양을 증가시킨다.
장기목표 : 복부팽만의 증상이 완화되고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계획
하루에 1번씩 걷도록 하거나 휠체어를 타고 움직이게 한다.
줄자로 복부둘레를 체크한다.
불편감을 덜기위해 이야기로 화제를 돌린다.(보호자함께)
중재
하루 2분정도 운동을 권유했다.(보호자함께)
줄자로 복부둘레를 체크했다.
보호자와 함께 여러 이야기를 하였다.(날씨이야기, 식사이야기)
평가
이전보다 활동의 양을 증가시켰다.
복부팽만의 증상이 완화 되면서(복부둘레 96.5cm~91cm) 이전에비 해 활동에 큰 불편함을 겪지 않게 되었다.
#2. 불안
주관적자료
“(보호자) 이거 자꾸 왜놓는거여~”
“(보호자) 왜 약은 안줘?”
“(보호자) 어떻게 되는건지 설명좀해줘요~”
“(눈을깜빡이며)난 잘 모르겠어요”
“이거 왜 계속해요?”
객관적자료
대상자는 Autism으로 기본적인 의사소통은 가능하였고 병에 대한 불안을 보이고 있다.(수액을 놓는다던가,검사실로이동시)
보호자는 자꾸 안절부절하며 치료가 되고 있는지에 대해 불안해하 고 있다.
간호진단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목표
대상자와 보호자가 불안해하지 않는다.
계획
약을 줄때, 수액을 줄때, 검사를 할때 이런것들을 왜 해야 하는지 설명을 해준다.
평소 식이에 대해 설명을 해준다.
중재
검사를 왜 하는것인지 수액은 왜 안 주는지에 대해 설명을 해드렸 다. (4/4이전 복막투석을 한 후 복부둘레가 크게 감소해 경구투약으 로 상태를 지켜보는 상황 이었음)
짜게 드시는 것 보다 싱겁게 드시는 것이 좋다고 설명해 드렸음.
(병원 식이에 적응을 잘하시고, 밥을 다 드심)
평가
대상자와 보호자가 불확실한 예후나 현재상태 대해 관심을 갖고 불 안해하지 않으셨다.
#3. 조직 관류 저하
주관적자료
"(보호자)얘,힘이없고 어지럽다는데 왜이런거유~?“
객관적자료
환자는 입술이 말라있었고 식사도 절반정도로 하였다.
혈액응고 속도측정 검사결과 출혈의 위험성이 있다.
결과
정상치
PT(sec)
17.3▲
11~13(sec)
INR
1.66▲
0~1.2
APTT
41.3▲
22.5~36
4/2일 BP가 갑자기 낮아졌다.(내시경시술을 미룬계기)
→ 90/60mmHg(4/3일 정상수치로 돌아왔음)
헤모글로빈의 수치가 11.7(4/2), 12.5(4/9) 로 측정되었음.
(정상수치 14~18g/dl)
PLT의 수치가 30(4/2), 36(4/9)로 측정되었음.
(정상수치 130~14010ˇ3/uL)
간호진단
저혈량에 의한 조직확산 저하와 관련된 조직 관류 저하
목표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온다.
혈액검사 수치가 정상적으로 돌아온다.
계획
우선 침상안정을 해준다.
vital을 수시로 체크한다.
어지러움을 호소하는지 수시로 체크한다.
중재
Side Rail을 올려주어 침상안정을 취해드렸다.
vital을 수시로 체크하여 혈압을 측정하였다(4/3일 혈압은 정상적으 로 돌아옴)
어지러움을 호소하는지 정신이 혼미해졌는지 체크하였다.
평가
4/3일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4/10일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알 수 없었다.
<<참고문헌&참고싸이트>>
- 참고문헌
1. 이은옥 외 6명 공저,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6
2. 정승은 외 5명 공저, “진단검사가이드북”.정담미디어, 2004.2
3. 김분한 외 다수, “성인간호학1”, 정담미디어, 2004.11
4. 정승은 외 25명 공저, “간호과정”, 현문사, 2004.3
- 참고싸이트
1. http://blog.naver.com/dantoo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04.16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