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어 정상적인 소엽구조가 결절세포로 된다. 경화의 첫변화는 간의 지방침윤이다. 퇴행성 과정이 계속될 경우 급성 알코올성 간염과 경화가 초래된다. 경화의 최종결과는 간기능의 상실과 간문맥 혈관의 폐색이다.
간은 예비 요량이 많기 때문에 생리적인 변화는 질병의 후기에 나타난다. 간의 3/4이 파괴되면 생리적 기능에 변화가 온다.
지속적인 손상으로 인한 간의 섬유화는 간 구조를 변화시키고 그 결과 내장정맥(splanchnic vein)과 문맥혈류의 폐쇄를 야기한다. 이러한 폐쇄는 수분정체, 부종의 악화, 복수, 수흉(hydro thorax)을 일으킨다.
문맥압의 증가와 내장정맥의 울혈은 비장비대와 비장기능의 변화를 초래하여 백혈구감소증(leukopenua), 혈소판감소증(thrombocytopenia), 빈혈을 일으킨다. 문맥성 고혈압은 정맥압증가, 혈관의 혈액정체, 치칠, 식도정맥류등을 초래한다.
◈ 간경화에 따른 문제 list ◈
체액량결핍 고위험
① 문맥혈관계 폐쇄 문맥압 상승 식도정맥 확장 식도 정맥류(출혈 위험성)
② 비타민 K흡수 부족, 응고인자 생성 감소, 혈소판 감소증, 문맥성 고혈압, 식도 정맥류, 알콜중독 소화성 궤양 위장계 출혈
③ 답즙분비 폐쇄 지방흡수 감소 비타민 K흡수 감소 응고인자 감소 출혈경향 (잇몸, 코출혈)
④ 문맥혈관계 페쇄 문맥압상승 비장비대 혈소판 감소증
⑤ aldosterone대사감소 칼륨과 수소이온 배설증가 저칼륨혈증 오심, 구토
⑥ 설사
체액과다
① 단맥질대사감소(알부민 합성 감소) 교질삼투압 감소 부종, 복수
② aldosterone대사감소 소듐과 수분정체 부종, 복수
③ 간의 섬유화 내장정맥과 문맥혈류 폐쇄 문맥압 상승 수분정체 부종악화, 복수, 수흉
④ 간성 신증후군(기전이 명백하지 않다) 갑작스럽게 신부전 신장내 혈관수축, renin 증가 수분정체
비효율적 호흡양상
① 단백질대사감소(알부민 합성 감소) 교질삼투압 감소 부종, 복수 횡격막 압박
② aldosterone대사감소 소듐과 수분정체 부종, 복수
③ 간의 섬유화 내장정맥과 문맥혈류 폐쇄 문맥압 상승 수분정체 부종악화, 복수, 수흉
④ aldosterone대사감소 소듐정체, 저칼륨혈증 복수, 부종, 식욕부진, 허약
⑤ 탄수화물대사 : 당원성 증가, 당원 분해와 당원 신생감소 glucose 대사변화 에너지 감소 피로, 허약
⑥ 지방대사 : 지방산화 감소와 triglyceride의 유리 에너지 생산 감소 피로, 허약
⑦ 비타민과 무기질의 대사와 저장 : 비타민과 무기질의 저장의 감소 에너지 생산 감소 피로, 허약
⑧ 문맥압 상승 비장비대 빈혈 피로, 허약
⑨ 간성신부전 피로, 허약
응고부전 고위험
① 답즙분비 폐쇄 지방흡수 감소 비타민 K흡수 감소 응고인자 감소
② 문맥혈관계 페쇄 문맥압상승 비장비대 혈소판 감소증
③ 응고인자 생성 감소 응고인자 수치의 변화 출혈경향 혈액의 상실 단백질합성 감소 면역기능과 치유기능의 장애
감염 위험성
① 문맥혈관계 폐쇄 문맥압 상승 비장비대 백혈구 감소증
② 문맥혈 간 측부순환 Kuffer세포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박테리아가 제거되지 않음
③ 응고인자 생성 감소 응고인자 수치의 변화 출혈경향 혈액의 상실 단백질합성 감소 면역기능과 치유기능의 장애
④ 대사저하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저혈당 피로, 허약
⑤ 비효율적 호흡 양상 시 발생할 수 있다.
사고과정 장애
① 암모니아 대사의 감소 암모니아 수치 상승 간성뇌질환, 신경학적 변화 (조정, 기억, 지남력 둥)
② 간접적으로 암모니아 수치를 증가 시키거나 간기능을 감소 시키는 많은 대사장애
a. aldosterone대사감소 칼륨과 수소이온 배설증가 저칼륨혈증
( 세포 내액으로 수소이온 이동하여 세포내 구간에서 산증을 유발하고 세포외 구간은 알칼리증 초래 암모니움이온 NH₄으로부터 수소이온을 유리 암모니아 NH₃형성 증가)
b. 변비 (장에서 암모니아 형성과 흡수를 증가 시킴)
c. 운동, 감염 (암모니아 형성 증가시킴)
③ 간성 신부전 수분정체 저나트륨 혈증과 요삼투압 감소 계속적인 노폐물의 축적, 수분·전해질 변화 신경학적 변화
피부통합성 장애
① 단맥질대사감소(알부민 합성 감소) 교질삼투압 감소 부종, 복수 횡격막 압박
② aldosterone대사감소 소듐과 수분정체 부종, 복수
③ 간의 섬유화 내장정맥과 문맥혈류 폐쇄 문맥압 상승 수분정체 부종악화, 복수, 수흉
④ aldosterone대사감소 소듐정체, 저칼륨혈증 복수, 부종, 식욕부진, 허약
⑤ 순환혈액으로부터 빌리루빈 흡수의 감소 비포합 빌리루빈 증가
⑥ 빌리루빈의 포합과 유리감소 포합 빌리루빈과 소변내 빌리루빈의 증가 황달, 소양증, 긁기, 피부병변
⑦ 대사저하(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저혈당 피로, 허약, 영양결핍
⑧ 문맥압 상승 비장비대 빈혈 피로 부동
⑨ 간성 신부전 피로, 허약
⑩ 문맥압 상승 측부순환 형성 현저해진 복부정맥
영양결핍
① 대사저하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영양불량
② 위장계로부터 혈류 흐름을 유지하지 못함 위장관 정맥울혈 위장기능 변화 복부통증 , 식욕부진, 위염, 위장출혈, 오심, 구토
③ aldosterone대사감소 칼륨과 수소이온 배설증가 저칼륨혈증 오심, 구토, 식욕부진, 장운동의 감소
④ 간성신증후군 식욕부진
⑤ 문맥혈관계 폐쇄 문맥압 상승 식도정맥 확장 식도정맥류
신체상 장애
① 성호르몬 대사감소
a. 남성 : 남성화 감소화 과도한 estrogen으로 인한 여성화 발현
b. 여성 : 여성화 감소와 과도한 testosterone으로 인한 남성화 발현
② 단백질대사감소(알부민 합성 감소) 교질삼투압 감소 부종, 복수 횡격막 압박
③ aldosterone대사감소 소듐과 수분정체 부종, 복수
④ 간의 섬유화 내장정맥과 문맥혈류 폐쇄 문맥압 상승 수분정체 부종악화, 복수, 수흉
⑤ aldosterone대사감소 소듐정체, 저칼륨혈증 복수, 부종, 식욕부진, 허약
⑥ 순환혈액으로부터 빌리루빈 흡수의 감소 비포합 빌리루빈 증가
⑦ 빌리루빈의 포합과 유리감소 포합 빌리루빈과 소변내 빌리루빈의 증가 황달, 소양증, 긁기, 피부병변
⑧ 문맥압 상승 측부순환 형성 현저해진 복부정맥
간은 예비 요량이 많기 때문에 생리적인 변화는 질병의 후기에 나타난다. 간의 3/4이 파괴되면 생리적 기능에 변화가 온다.
지속적인 손상으로 인한 간의 섬유화는 간 구조를 변화시키고 그 결과 내장정맥(splanchnic vein)과 문맥혈류의 폐쇄를 야기한다. 이러한 폐쇄는 수분정체, 부종의 악화, 복수, 수흉(hydro thorax)을 일으킨다.
문맥압의 증가와 내장정맥의 울혈은 비장비대와 비장기능의 변화를 초래하여 백혈구감소증(leukopenua), 혈소판감소증(thrombocytopenia), 빈혈을 일으킨다. 문맥성 고혈압은 정맥압증가, 혈관의 혈액정체, 치칠, 식도정맥류등을 초래한다.
◈ 간경화에 따른 문제 list ◈
체액량결핍 고위험
① 문맥혈관계 폐쇄 문맥압 상승 식도정맥 확장 식도 정맥류(출혈 위험성)
② 비타민 K흡수 부족, 응고인자 생성 감소, 혈소판 감소증, 문맥성 고혈압, 식도 정맥류, 알콜중독 소화성 궤양 위장계 출혈
③ 답즙분비 폐쇄 지방흡수 감소 비타민 K흡수 감소 응고인자 감소 출혈경향 (잇몸, 코출혈)
④ 문맥혈관계 페쇄 문맥압상승 비장비대 혈소판 감소증
⑤ aldosterone대사감소 칼륨과 수소이온 배설증가 저칼륨혈증 오심, 구토
⑥ 설사
체액과다
① 단맥질대사감소(알부민 합성 감소) 교질삼투압 감소 부종, 복수
② aldosterone대사감소 소듐과 수분정체 부종, 복수
③ 간의 섬유화 내장정맥과 문맥혈류 폐쇄 문맥압 상승 수분정체 부종악화, 복수, 수흉
④ 간성 신증후군(기전이 명백하지 않다) 갑작스럽게 신부전 신장내 혈관수축, renin 증가 수분정체
비효율적 호흡양상
① 단백질대사감소(알부민 합성 감소) 교질삼투압 감소 부종, 복수 횡격막 압박
② aldosterone대사감소 소듐과 수분정체 부종, 복수
③ 간의 섬유화 내장정맥과 문맥혈류 폐쇄 문맥압 상승 수분정체 부종악화, 복수, 수흉
④ aldosterone대사감소 소듐정체, 저칼륨혈증 복수, 부종, 식욕부진, 허약
⑤ 탄수화물대사 : 당원성 증가, 당원 분해와 당원 신생감소 glucose 대사변화 에너지 감소 피로, 허약
⑥ 지방대사 : 지방산화 감소와 triglyceride의 유리 에너지 생산 감소 피로, 허약
⑦ 비타민과 무기질의 대사와 저장 : 비타민과 무기질의 저장의 감소 에너지 생산 감소 피로, 허약
⑧ 문맥압 상승 비장비대 빈혈 피로, 허약
⑨ 간성신부전 피로, 허약
응고부전 고위험
① 답즙분비 폐쇄 지방흡수 감소 비타민 K흡수 감소 응고인자 감소
② 문맥혈관계 페쇄 문맥압상승 비장비대 혈소판 감소증
③ 응고인자 생성 감소 응고인자 수치의 변화 출혈경향 혈액의 상실 단백질합성 감소 면역기능과 치유기능의 장애
감염 위험성
① 문맥혈관계 폐쇄 문맥압 상승 비장비대 백혈구 감소증
② 문맥혈 간 측부순환 Kuffer세포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박테리아가 제거되지 않음
③ 응고인자 생성 감소 응고인자 수치의 변화 출혈경향 혈액의 상실 단백질합성 감소 면역기능과 치유기능의 장애
④ 대사저하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저혈당 피로, 허약
⑤ 비효율적 호흡 양상 시 발생할 수 있다.
사고과정 장애
① 암모니아 대사의 감소 암모니아 수치 상승 간성뇌질환, 신경학적 변화 (조정, 기억, 지남력 둥)
② 간접적으로 암모니아 수치를 증가 시키거나 간기능을 감소 시키는 많은 대사장애
a. aldosterone대사감소 칼륨과 수소이온 배설증가 저칼륨혈증
( 세포 내액으로 수소이온 이동하여 세포내 구간에서 산증을 유발하고 세포외 구간은 알칼리증 초래 암모니움이온 NH₄으로부터 수소이온을 유리 암모니아 NH₃형성 증가)
b. 변비 (장에서 암모니아 형성과 흡수를 증가 시킴)
c. 운동, 감염 (암모니아 형성 증가시킴)
③ 간성 신부전 수분정체 저나트륨 혈증과 요삼투압 감소 계속적인 노폐물의 축적, 수분·전해질 변화 신경학적 변화
피부통합성 장애
① 단맥질대사감소(알부민 합성 감소) 교질삼투압 감소 부종, 복수 횡격막 압박
② aldosterone대사감소 소듐과 수분정체 부종, 복수
③ 간의 섬유화 내장정맥과 문맥혈류 폐쇄 문맥압 상승 수분정체 부종악화, 복수, 수흉
④ aldosterone대사감소 소듐정체, 저칼륨혈증 복수, 부종, 식욕부진, 허약
⑤ 순환혈액으로부터 빌리루빈 흡수의 감소 비포합 빌리루빈 증가
⑥ 빌리루빈의 포합과 유리감소 포합 빌리루빈과 소변내 빌리루빈의 증가 황달, 소양증, 긁기, 피부병변
⑦ 대사저하(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저혈당 피로, 허약, 영양결핍
⑧ 문맥압 상승 비장비대 빈혈 피로 부동
⑨ 간성 신부전 피로, 허약
⑩ 문맥압 상승 측부순환 형성 현저해진 복부정맥
영양결핍
① 대사저하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영양불량
② 위장계로부터 혈류 흐름을 유지하지 못함 위장관 정맥울혈 위장기능 변화 복부통증 , 식욕부진, 위염, 위장출혈, 오심, 구토
③ aldosterone대사감소 칼륨과 수소이온 배설증가 저칼륨혈증 오심, 구토, 식욕부진, 장운동의 감소
④ 간성신증후군 식욕부진
⑤ 문맥혈관계 폐쇄 문맥압 상승 식도정맥 확장 식도정맥류
신체상 장애
① 성호르몬 대사감소
a. 남성 : 남성화 감소화 과도한 estrogen으로 인한 여성화 발현
b. 여성 : 여성화 감소와 과도한 testosterone으로 인한 남성화 발현
② 단백질대사감소(알부민 합성 감소) 교질삼투압 감소 부종, 복수 횡격막 압박
③ aldosterone대사감소 소듐과 수분정체 부종, 복수
④ 간의 섬유화 내장정맥과 문맥혈류 폐쇄 문맥압 상승 수분정체 부종악화, 복수, 수흉
⑤ aldosterone대사감소 소듐정체, 저칼륨혈증 복수, 부종, 식욕부진, 허약
⑥ 순환혈액으로부터 빌리루빈 흡수의 감소 비포합 빌리루빈 증가
⑦ 빌리루빈의 포합과 유리감소 포합 빌리루빈과 소변내 빌리루빈의 증가 황달, 소양증, 긁기, 피부병변
⑧ 문맥압 상승 측부순환 형성 현저해진 복부정맥
소개글